[include(틀:이라크의 역사)] [include(틀:이란의 역사)] [include(틀:아제르바이잔의 역사)] 14세기 초중반에 [[일 칸국]]이 분열하여 [[이라크]]와 [[아제르바이잔]], 이란 서부([[후제스탄]])에 세워진 일 칸국의 후계 국가. 1336년~1432년 존속. 건국, 아니 독립 직후인 1338년에 (일 칸국의 수도였기에 정통성 측면에서) 아제르바이잔 지역의 [[타브리즈]]를 노리던 [[추판 왕조]]에게 패한후 이라크 지역과 이란 중서부로 축소되었으나, 두번째 군주 우웨이스 1세 (1356 - 1374) 때에 전성기를 맞았다. [[킵차크 칸국]]에게 결정타를 맞은 북동면의 숙적 추판 왕조의 영토(아제르바이잔, 타브리즈)를 1360년에 합병하여 건국 당시의 강역을 회복하였고, [[무자파르 왕조]]의 내분에도 개입하여 자신의 사위의 왕위 계승을 도왔다. 그 후 본국 [[바그다드]]에서의 반란을 진압한 우웨이스 샤는 서북면의 바이람 크와자가 이끌던 [[흑양 왕조]]와 북쪽의 캅카스(코카서스)의 시르반 샤도 격파하여 왕국의 완전한 안정을 가져왔다. 또한, 이란 중북부의 아미르 발리의 세력을 격파하여 왕국의 영토를 엘부르즈 산맥 이남, 즉 [[테헤란]] 일대까지 확장하였다. 당시 주변(서아시아)에 잘라이르 왕조를 위협할 만한 세력은 없었다.[* 시리아와 이집트의 '[[맘루크 왕조]] 정도면 몰라도.. 오스만이 비빌수도 있는데 본거지가 유럽에 있었으므로 생략, [[모굴리스탄 칸국]]은 티무르에게 박살나던 와중이었다,] '''[[티무르|그런데]]'''(...) 그러나 1374년에 원정에 지친 우웨이스 1세가 타브리즈에서 눈을 감자 곧바로..티무르의 공격을 받았고, 잘라이르 왕조는 [[티무르 제국]]의 속국이 되었다가 티무르 사후 더욱 강해진 체로 돌아온 [[흑양 왕조]] (카라 코윤루) 에게 정복당하여 멸망에 이르렀다. 영토는 200여년 후의 [[오스만 제국]]과 [[사파비 왕조]]의 뺏고 뺏기던 분쟁 지역과 거의 겹친다. [[징기스칸 4]]의 파워업키트에서 추가된 1370년 시나리오에서 플레이 가능 세력으로 등장했다. [각주] [[분류:15세기 멸망]] [[분류:서아시아사]] [[분류:캅카스의 역사]] [[분류:역사적 이슬람 국가]] [[분류:아시아의 술탄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