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MBC 라디오|[[파일:MBCRadio.png|width=80]]]] || ||<-5> [[MBC 표준FM|[[파일:mbc-fm-gray.png|width=170]]]] || ||<:> 06:00 - 07:00 ||<|7><:> → ||<#F7F5D7,#525147><:> '''07:00 - 08:00''' ||<|7><:> → ||<:> 08:00 - 09:00 || ||<:> [[MBC 뉴스투데이|뉴스투데이]] 1부 수중계 ||<|2><:> [[7시 뉴스#s-3|뉴스]] ||<|3><:> [[시선집중|김종배의 시선집중]](3부)[*독자 일부 지역 독자 편성.] || ||<|2><:> [[6시 뉴스#s-3.2|뉴스]](주말) || ||<#F7F5D7,#525147> '''잠깐만'''(07:03)[*독자 ] || ||<:> [[아침&뉴스]] 류수민입니다 ||<:><|3> [[시선집중|김종배의 시선집중]](1, 2부) ||<:>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08:30)[*독자 ] || ||<:> 노중훈의 [[여행의 맛]](토) ||<:> [[8시 뉴스#s-3.2|뉴스]](주말) || ||<:> [[라디오 북클럽]](일) || [[차카차카(MBC)|권용주, 김나진의 차카차카]](주말)[*독자 ] || ||<:>12:00 - 14:00 ||<|4><:> → ||<#F7F5D7,#525147><:>'''14:00 - 16:00 ''' ||<|4><:> → ||<:>16:00 - 18:00 || ||<:> [[MBC 정오 종합뉴스|정오 종합뉴스]]/[[1시 뉴스#s-3|뉴스]] ||<:> [[2시 뉴스#s-3.2|뉴]][[3시 뉴스#s-3.2|스]] ||<:> [[4시 뉴스#s-3.3|뉴]][[5시 뉴스#s-3.3|스]] || ||<:> [[싱글벙글쇼|이윤석, 신지의 싱글벙글쇼]](12:20, 12:10) ||<:> [[박준형, 박영진의 2시만세]][*독자 ] ||<:> [[지금은 라디오 시대|정선희, 문천식의 지금은 라디오 시대]] || ||<:> [[김현우의 손경제 상담소]](13:52) ||<#F7F5D7,#525147><:> '''잠깐만'''(15:03)[*독자 ] ||<:> 잠깐만(17:03) || ||<:>14:00 - 16:00 ||<|4><:> → ||<#F7F5D7,#525147><:>'''16:00 - 18:00''' ||<|4><:> → ||<:>18:00 - 19:00 || ||<:> [[2시 뉴스#s-3.2|뉴]][[3시 뉴스#s-3.2|스]] ||<:> [[4시 뉴스#s-3.3|뉴]][[5시 뉴스#s-3.3|스]] ||<:> [[6시 뉴스#s-3.2|뉴스]] || ||<:> [[박준형, 박영진의 2시만세]] ||<:> [[지금은 라디오 시대|정선희, 문천식의 지금은 라디오 시대]] ||<:> 신장식의 [[뉴스 하이킥]][*독자 ] || ||<:> 잠깐만(15:03) ||<#F7F5D7,#525147><:> '''잠깐만'''(17:03)[*독자 ] ||<:> 김치형의 [[뉴스 하이킥]] || ||<-5> [[MBC FM4U|[[파일:mbc-4u-gray.png|width=170]]]] || ||<:> 07:00 ~ 09:00 ||<|3><:> → ||<#F7F5D7,#525147><:> '''09:00 ~ 11:00''' ||<|3><:> → ||<:> 11:00 ~ 12:00 || ||<|2><:> [[굿모닝FM|굿모닝FM 테이입니다]][*독자 ] ||<:> [[오늘아침|오늘아침 정지영입니다]] ||<|2><:> [[이석훈의 브런치카페]][*독자 ] || ||<#F7F5D7,#525147><:> '''잠깐만'''[*독자 ] || ||<:>16:00 ~18:00 ||<|3><:> → ||<#F7F5D7,#525147><:> '''18:00 ~ 20:00''' ||<|3><:> → ||<:> 20:00 ~ 22:00 || ||<|2><:> [[4시엔 윤도현입니다]][*독자 ] ||<:> [[배철수의 음악캠프]] ||<:> [[FM데이트|윤태진의 FM데이트]] || ||<#F7F5D7,#525147><:> '''잠깐만'''[*독자 ]||<:> 잠깐만 || ||<:> 18:00 ~ 20:00 ||<|3><:> → ||<#F7F5D7,#525147><:> '''20:00 ~ 22:00''' ||<|3><:> → ||<:> 22:00 ~ 00:00 || ||<:> [[배철수의 음악캠프]] ||<:> [[FM데이트|윤태진의 FM데이트]] ||<|2><:> [[별이 빛나는 밤에|김이나의 별이 빛나는 밤에]] || ||<:> 잠깐만 ||<#F7F5D7,#525147><:> '''잠깐만'''[*독자 ]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LNHlqXOQP_Q)] 구버전 [[https://www.facebook.com/watch/?v=358897327653578|신버전]] 구버전과는 달리 '잠깐만!' 하는 부분이 아카펠라다. 적어도 2015년 기준으로는 신버전으로 바뀐 상태이다. >잠깐만! 우~리 이제 한번 해봐요~ 사랑을 나!눠요! [[http://www.imbc.com/broad/radio/moment/moment.html|다시듣기]],[* [[팟캐스트]]는 로그인 없이 들을 수 있으며, 표준FM과 FM4U도 그냥 들을 수 있다.] [[http://kostat.go.kr/media/mbc_radio_one.wav|링크]] [[MBC 표준FM]]과 [[MBC FM4U|FM4U]]의 최장수 [[캠페인]] 방송. 이름 그대로 [[라디오]] [[정규방송]]이 끝나고 1분짜리 분량으로 '''잠깐만''' 나오는 [[공익광고]] 캠페인 방송이다. == 특징 == [[1990년]] [[10월 1일]]부터 계속 방송한 최장수 [[공영방송]] 캠페인 방송으로, [[2009년]] 5월 기준으로 55,000회 이상 방송되었으며, 출연했었던 인원만 2,000명이 넘는다. 캠페인의 구성은 시작 시 “잠깐만~”이라는 노랫말과 함께[* [[기아]]가 협찬했을 당시에는 "생방송~"이라는 노래 가사로 시작했다.] 유명한 사람들이 나와서 자신이 어떤 것을 느끼고 생각한 이런저런 이야기들을 경이로울 정도로 반주 시간에 딱 맞춰서 내레이션을 한다.[* 하지만 때때로 노래반주, "잠! 깐! 마아아안~"의 발성법을 색다르게 바꾸기도 하는 등 가끔 변화를 주기도 한다.] [[성우]]나 [[아나운서]]가 아닌, 목소리만 들어도 누구인지 알 수 있는 유명 [[연예인]]이나 [[저명인사]]를 내레이션으로 출연시킨 덕에 자연스러우면서도 호소력 짙은 효과를 내게 되었으며, 때때로 일반인들도 출연시키며 평범함 속의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게끔 변화를 주고 있다. 초기엔 대국민 캠페인 비슷하게 약간은 거시적이고 무거운 주제들도 다루었던 반면에, 시간이 지나면서 내레이션 하는 개인의 경험담에서 비롯된 이야기를 주로 소개하는 식으로 이야기를 푸는 방식이 바뀌었다. [[MBC 표준FM|표준FM]]의 경우는 [[7시 뉴스#s-3|7시 뉴스]]가 끝나는 07시 03분과 [[MBC 3시 뉴스|3시 뉴스]]가 끝나는 15시 03분, [[5시 뉴스#s-3.4|5시 뉴스]]가 끝나는 17시 03분경에 방송하며 이게 끝날 경우 M~B~C라는 남성 발라드가 나온다. [[MBC FM4U|FM4U]]의 경우에는 [[오늘아침|오늘아침 정지영입니다]]가 끝나는 10시 56분, [[배철수의 음악캠프]]가 끝나는 19시 56분, [[FM데이트]]가 끝나는 21시 56분에 틀어준다.[* 참고로 1990년대에도 21시 57분경에 틀어주었다.] 또한 [[MBC mini|미니]]에서도 잘리지 않고 송출된다. 정규 라디오 프로그램이 시작하기 전, 끝난 직후 광고 시간 대에 55초 분량으로 자투리 편성된 방송이라 사람들에게 존재감이 없다는 것이 다소 흠. MBC 라디오 방송[* 특히 [[MBC 표준FM|표준FM]]이 절대적이다.]을 애청하는 [[버스 기사]] 및 [[택시 기사]]들이나 시골의 노인들은 조금은 인지한다. [[MBC 표준FM]]과 [[MBC FM4U]]랑 인물이 다르다. 표준FM은 주로 저명 인사나 일반인을 쓰는 반면, FM4U는 주로 유명 연예인을 쓴다. 아무래도 표준FM의 주 청취자는 중·장·노년층, FM4U의 주 청취자는 젊은 층이란 점을 고려해서 인듯이지만 경우에 따라 표준FM에서도 유명 연예인이 출연하는 경우도 있다. [[MBC FM4U|FM4U]] 기준으로는 MBC에서 새로 방영을 시작한 드라마 관련 배우가 [[https://www.jjan.kr/article/20191111696070|나오기도 한다.]] 협찬주는 [[1990년대]] 중반에는 [[기아]], 1990년대 후반에 잠깐 [[동아제약]] [[박카스]], 그 이후부터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까지 [[교보생명]], 2000년대 후반에는 [[DB손해보험]](당시 동부화재)이었다가, [[2010년대]] 초반에는 [[잡코리아]]를 거쳐 2010년대 후반까지는 [[린나이#s-3|린나이코리아]]로 바뀌었다. [[2019년]] 들어서는 계약이 만료됐는지 협찬 고지 없이 마무리되었다가 6월부터 자체 엔딩(세상을 만나다 MBC 라디오, 라디오에서 즐거움이 들린다 MBC FM4U)을 넣고 있다. 이후 [[2020년]] 2월부터 7월에 [[흥국생명]]이 후원하다 2020년 7월부터 2021년 7월까지 [[DB손해보험]]이 후원했다. 이후 [[2021년]] [[7월]]부터 [[흥국생명]]이 다시 후원하다 10월부터 자체 엔딩이 나왔다. 다시 [[2022년]] 들어서는 [[DB손해보험]]이 후원하다 동년 8월부터 [[하나금융그룹]]이 후원하였다가 동년 10월부터 [[LG U+]]가 후원하였다. 2023년 1월부터 다시 자체 엔딩(오늘도 당신편 MBC 라디오(MBC FM4U))이 나오다가 동년 4월부터 다시 [[하나금융그룹]]이 후원하였으며, 동년 6월 14일부터 다시 [[DB손해보험]]이 후원하고 있다. 비슷한 유형의 프로그램으로 [[KBS 제1라디오]]에서 하는 '우리는'이 있는데, 차이점이라면 유명인이 아닌 일반인이라는 점이다. 초창기에는 각계각층 인터뷰했지만, 최근에는 20대 대학생, 취업준비생을 중점적으로 인터뷰한다. SBS 라디오([[SBS 파워FM|파워FM]], [[SBS 러브FM|러브FM]] 포함)에도 <사랑으로 하나되는 세상>이라는 프로그램이 있다. 거의 모든 지역에서 들을 수 있으나, '''[[부산문화방송|부산MBC]]에서는 방송을 해주지 않으므로 들을 수 없다.''' 그 시간에 부산 지역의 미담 등을 캠페인 형식으로 방송한다. 표준FM이나 FM4U 둘 다 잠깐만을 들을 수 없는 유일한 지역이 바로 부산이다. 이게 좀 많이 집요해서 시간대를 옮기더라도 잠깐만이 나올 만한 타이밍에 기가 막히게 잘라낸다. 이 때문에 부산 사람들은 잠깐만을 굉장히 낯설어한다. 다만 [[울산문화방송|울산MBC]]가 수신되는 기장군 일부 지역과 [[MBC경남]] 창원 방송이 수신되는 서부산권[* 단 부산-창원 또는 부산-울산 방송이 비슷하게 잡히거나, 부산 방송이 더 잘 잡히는 만덕, 주례, 감전, 학장, 오시리아, 철마 일부 지역 주민들은 여느 부산 지역과 마찬가지로 잠깐만을 낯설어하는 편이다.]은 제외. 표준FM의 경우 2005년(서부산)/2007년(기장) 이후로는 이들 지역에서도 소출력 중계소 전파로 부산MBC를 청취할 수 있게 되었으나, 서부산권은 더 깨끗하게 들리는 MBC경남 창원 방송을 듣는 경우가 많으며 아예 창원 주파수만 잡히는 지역도 있다. [[2018년]]부터는 표준FM 한정으로 '''[[대전문화방송|대전MBC]]'''에서도 지역 캠페인을 송출하면서 잠깐만이 송출되지 않는다.[* 다만, 아침 7시 3분에는 잠깐만을 그대로 송출한다.] [[포항문화방송|포항MBC]], [[춘천문화방송|춘천MBC]]도 언제부턴가 지역뉴스 분량을 연장해 잠깐만 시간을 아예 덮어버린다. 단, 세 지역사 모두 FM4U는 자르지 않고 그대로 릴레이한다. [[신동엽]]은 이 노래를 [[음란마귀|음란한 노래]]라고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117&aid=0002398058&sid1=001|했다]](...). --우리 이제 [[성관계|한번 해봐요. 사랑을 나눠요.]]-- 사실 예전부터 많이 쓰이던 [[섹드립|유머]]이다.[* 한편 [[천사소녀 네티]] 주제가를 이용하여 [[섹드립|비슷한 유머]]를 구사 할 수 있다.--오늘 밤엔 [[성관계|무슨 일을 할까.]] [[오르가즘|누구에게 기쁨을 줄까.]]--] 풀빵닷컴은 아예 동영상까지 포함한(…) 플짤을 광고로 사용한 적도 있다. [[2017년]] [[서민정]]이 복귀한 이후 [[8월 9일]]부터 13일까지 서민정이 잠깐만에 나왔다. [[몬더그린|듣기에 따라 '청정보'라고 들린다.]] [[나혼자산다]]에서 [[기안84]]가 잠깐만을 청정보~ 우~리집 이라고 알고있었다고 했다. '[[청정원]]'으로 들리기도 한다. [[2020년]] 2월동안 영화 [[기생충(영화)|기생충]]의 한국 최초 [[오스카상]] 수상 기념으로 기생충 배우들의 잠깐만을 다시 들려주었다. [[춘천문화방송]] 라디오에서도 자체적으로 잠깐만 캠페인을 제작, 방송한다.[* 다만, 캠페인적인 내용보다는 춘천MBC 방송 홍보 성격이 강하다.] 2023년 6월 9일, [[MBC 글로벌미디어센터]](상암동 MBC 사옥) 골든마우스홀에서 잠깐만 최초의 토크콘서트가 열렸다. 진행은 [[배철수]][* 오후 7시 30분에 열려 동시간대 진행되는 [[배철수의 음악캠프]] 1, 2부는 생방송으로 진행했고 3, 4부는 녹음방송으로 진행하였다. 3, 4부는 음악캠프 라이브 코너로 [[자우림]]이 출연한 사전녹음본이 방송되었다.]가 맡았고, 게스트로 [[피식대학]]이 출연하였다. 이 토크콘서트는 녹화 및 녹음되어 녹음본은 동년 6월 16일 오전 11시부터 정오까지 1시간 분량으로 편집[* 풀녹화본은 2시간 13분 41초 분량이다.]되어, [[MBC FM4U]]에서 방송되었다.[* 이로 인해 본래 그 시간대에 방송을 하는 [[브런치카페]]는 결방되었다. 다만, 그 시간대에 방송하는 지역MBC의 자체방송([[목포문화방송]]의 [[전세영의 브런치카페]], [[부산문화방송]]의 [[가정음악실]], [[원주문화방송|원주]], [[춘천문화방송|춘천]], [[MBC강원영동|강원영동]]의 [[김용석의 브런치카페]])은 결방없이 그대로 지역별로 자체 방송되었다. ] 녹화본은 유튜브 므흐즈 채널에 [[https://youtu.be/6byuudOjVGI|올라갔다.]] == 캠페인송 == 잠깐만 캠페인은 사실 '도덕성 회복을 위한 캠페인'이란 타이틀로 기획된 단발성 아이템이었으며, 지금과 같은 BGM이 아닌 다른 [[클래식 음악]]을 깔고 성우나 아나운서가 사회 계도성 멘트를 읽는 방식이었다. 그러다가 당시 첫 연출을 맡았던 주승규 PD가 누구라도 쉽게 흥얼댈 수 있는 '캠페인송'을 만들자는 제안을 하였고, 부족한 제작비 환경 때문에 개인적 친분이 있던 '''[[빛과 소금(밴드)|빛과 소금]][* 당시 [[빛과 소금(밴드)|빛과 소금]]은 1집 앨범을 발표하던 시기였다.]의 [[장기호]]에게 [[https://news.heraldcorp.com/view.php?ud=20230713000117|작곡]]을 부탁'''했다. 노래 가사는 주 PD가 직접 썼으며, 보컬은 성악을 전공하는 [[장기호]]의 당시 여자 친구[* 현재는 [[장기호]]의 부인이다. 현재도 성악가로 활동중.]와 쌍둥이 여동생[* 지금은 당연히 [[장기호]]의 처제.]이 불렀다. 30년 가까이 청취자의 귀를 중독시키는 잠깐만의 캠페인송은 이렇게 탄생하게 된 것이다. [[2001년]] 보컬을 남성으로 아주 '''잠깐만''' 바꾼 적이 있었다. 반주도 피아노 음이 아닌 입으로 소리 내는 [[아카펠라]]로 반주하였는데 사람들의 반응이 시원찮았는지 인기가 없었는지 모르겠지만 금방 기존 버전으로 복귀하였는데 거의 [[흑역사]]급이다. 그래서 현재까지도 표준 FM의 경우 여전히 오리지널 버전의 곡이 나오고 있다. 참고로 [[MBC 표준FM|표준FM]]과 [[MBC FM4U|FM4U]]의 반주음이 다르다. 표준FM은 전통적인 그 반주고, [[MBC FM4U|FM4U]]는 약간 [[아카펠라]] 풍이 감미된 여성 보컬(가수 미상)의 반주 버전. 언젠가 표준FM에도 도입된 적 있으나 현재는 원상복귀된 상태.[* [[2015년]] 10월 마지막 주엔 양 채널의 반주음이 원조 버전인 표준FM 버전으로 공유되었다가, 11월부터는 원상복귀 되었다. 해당 주차에 [[한국관광공사]] 사장이 출연했는데, 그와 관련이 있는지는 불명.] 시그널 송 중 표준FM에 방송되는 구 버전은 원본은 아날로그 [[오픈릴 테이프]]로 녹음되었던 것[* 물론 [[2002년]] 전후로 [[테이프리스 시스템]]으로 전환하여 지금은 MP2 파일로 변환된 것이 쓰인다.]이라 약한 탁한 감이 있지만, FM4U에 방송되는 리메이크 버전은 애초부터 [[MP2]] 파일로 녹음된 것이라 그리 탁하지 않다. 2015년부터 표준FM의 반주의 박자가 느려졌는데, 그러다 보니 음질이 갈라지는 현상이 있다. 현재는 초반부의 '잠깐만' 음성만 원상복귀되었다. == 패러디 == 2000년대 초반에 [[코미디하우스]]에서 [[패러디]]한 적이 있다. [[풀빵닷컴]]의 (현재) '김교수'라는 사람이 '잠깐만'을 패러디한 '''[[http://series.pullbbang.com/list.pull?AM=L&pb1_code=2&pb2_code=8&pb3_code=44&page=1|잠깜만]]'''을 만들어 인기를 끌었고, '드라큘라'라는 사람은 '[[http://mmsmo.imbc.com/BbsList.asp?EvtDiv=147&CateDiv=1&CateSub=1&WH=+AND+photo%5Ftitle+like+%27%25%C0%E1%B1%F1%B8%B8%25%27+&MODE=|잠깐만]]'을 패러디해 MBC 드라마 중 주인공 혹은 캐릭터가 자신의 심정을 구구절절 이야기 하는 등 패러디 요소 중 하나로써 인기가 꽤 높다. [[배철수의 만화열전]][* 선술했듯이 [[배철수]]와 연관되는 게 많은데 [[배철수의 음악캠프]]가 끝나고 이 프로그램이 나오고, 공교롭게도 배철수의 음악캠프가 시작한 같은 1990년에 이 프로그램도 시작했다.]에서는 장비가 [[노식]]장군을 데려가는 관병들을 처지하려고 할 때도 "잠깐만~"하면서 나온다. 이 때 장비는 아주 조곤조곤하게 "군대를 지휘하는 총사령관이 뇌물을 안 줬다고 이렇게 잡혀가는게 말이 됩니까? 내 당장 저놈들을 죽이고 노식 장군을 구해드리겠습니다!"라고 말한 뒤 병사들을 모두 죽이려고 드는데 "우~리 이제 한번 해봐요~"라고 나오니 이거 뭐야 무서워……. 나중에 [[적벽대전]]편에서도 화용도에서 조조를 보내줘서 처형 당하게 된 관우를 구하기 위해 유비가 제갈량을 설득할 때 이런 식으로 설득하는 장면이 나온다. 협찬은 [[배철수의 음악캠프]]. [[개그콘서트]]의 코너 [[애정남]]에서 패러디된 적이 있다. 사실 개콘에서 많이 가져다 썼다. --타 방송국 라디오 캠페인 시그널 음악인데도-- [[리액션 야구단]]에서도 나온 적이 있다. 그 외에도 은근히 많이 가져다 쓰는 편. 힙합 그룹 트레스패스도 1집 '옆집 형들이 들려준 노래'에서 5번 트랙 '잠깐만'으로 패러디. 클럽에 놀러와서 지켜야 할 매너에 대해 --욕을 섞어가며-- 이야기한다. [[신서유기]] 4에서도 패러디되었다. [[나영석]]이 신서유기 멤버들한테 내기를 걸다가 [[송민호|송가락]]이 발동한 탓에 --티비엔 기둥뿌리를 뽑는 대신-- 드래곤볼 5개로 --퉁친--합의한 후에 잠깐만이 나온다. 내용은 내기할 때 신중하게 생각하고 내기하라는 내용. 참고로 협찬은 용볼이다. 코오롱제약의 구강 치료제 아프니벤큐의 [[https://www.youtube.com/watch?v=umSsWsPC998|광고]]에도 나왔다. --1분 가글~ 치료해봐요~ 입병이 끝나요~-- [youtube(aOAHhJj8aGA)] > '''갑분싸~''' > 분위기가 싸해졌어요~ 분위기 살려요~ [[지라라]]가 [[갑분싸]]라는 내용으로 개사해서 불렀다. [[코미디빅리그]] 갑분싸 코너에서 활용되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잠깐만, version=121)] [[분류:MBC 라디오]][[분류:1990년 방송 프로그램]][[분류:인터넷 밈/음악/대한민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