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의 인터넷 방송인, rd1=진호(인터넷 방송인), other2=영화, rd2=장진호(영화), other3=장진호에서 일어났던 전투, rd3=장진호 전투)] ||<-6> {{{+2 '''장진호'''}}}[br]長津湖 / Changjin Lake[* 그러나 영미권에는 장진호를 일본어식으로 읽은 Chosin Reservoir (초신 저수지) 쪽이 더 널리 알려져 있다. [[장진호 전투]]의 영향이 큰 듯.] || ||<-6>[include(틀:지도,장소=長津湖,너비=100%,높이=250px)]||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img.imbc.com/si186.jpg]]}}}|| || 장진호의 풍경 || [[북한]] [[함경남도]] [[장진군]]에 있는 [[호수]]. 장진호라고 부르던 호수는 세 개가 있지만 지금은 하나만 장진호라고 부른다. 세 호수 모두 조선시대~광복 당시까지 장진군 지역에 있으며 [[수력발전]]을 위해 [[댐]]을 쌓아 형성된 인공호수이다. 또 댐 건설을 위해 [[협궤]] 철도가 부설되었다. [[장진호 전투]]의 주무대였던만큼, 당시 참전한 [[미합중국 해병대|미해병대]] 전사자 유해가 여기에 많이 묻혀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실제로, 북한이 송환하는 미군 유해 중 상당수가 여기 장진호 근처인 장진군 신흥리 주변에서 발견된다고 한다. === 제1장진호(장진호) === 일반적으로 '장진호'라고 했을 때 가리키는 호수로 세 호수 중 가장 남쪽에 있으며 가장 규모가 크다. 장진군 장진면·중남면(中南面)·서한면(西閑面)(광복 당시. 이하 모두 같음)에 걸쳐 있었으며, [[황초령]]을 분수령으로 하여 북으로 흐르는 장진강을 막아 그 물을 함흥쪽의 성천강으로 돌려 유역변경식 발전을 하는 호수이다. [[장진선]]도 이 호수 때문에 건설되었다. 지금은 장진호 주변이 장진군 중심지이지만 원래는 이곳이 중심이 아니라 아래의 제3장진호로 수몰된 동문면 읍상리 일대가 장진군의 중심지였다. 1938년 완공. 만수(滿水)면적 64㎢. 일제강점기에는 장진읍에서 갈전리까지 유람선이 운항했던 것으로 보인다. [[장진호 전투]]의 배경이 되었다. === 제2장진호 === 장진군 상남면에 위치한 호수. 세 호수 중 가운데에 있는 호수로 제1장진호나 제3장진호에 비해 규모가 작기 때문에 이걸 생략하고 제3장진호를 대신 제2장진호로 부르기도 한다. === 제3장진호(랑림호) === 장진군 동문면·북면·상남면에 걸쳐 있는 호수. 세 호수중 가장 북쪽에 있다. 북한에서는 랑림호라고 부른다. 1941년 장진강의 더 하류쪽 지점인 북면 이상리에 댐을 지어 만든 호수이다. 이 호수를 만들기 위해 [[강계선]]이 동문거리역까지 부설됐다. 건설로 수몰된 곳이 원래 장진군의 중심지였는데, 군청은 결국 제1장진호 주변으로 옮겨갔고 원래 중심지 주변은 군내면에서 동문면으로 바뀌었다. 현재 북한에서 [[랑림군]]으로 독립시켰다. == 참고 문서 == * [[부전호]] * [[장진호 전투]] [[분류:북한의 호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