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경영학 세부전공)] [목차] == 정의 == {{{+1 Information Systems (IS)}}} 초창기 [[기업]]의 [[컴퓨터]]들은 [[직원|종업원]]들의 [[임금(경제학)|임금]]을 계산하거나 [[회계]][[장부]]를 관리하는데 사용되곤 했지만, [[판매]], [[재고관리]], [[고객 서비스]], 그리고 기업 [[경영]]에 도움을 주는 여러 [[데이터]]들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업무 프로그램들이 개발되면서부터, MIS라는 용어는 이러한 여러 종류의 업무 [[프로그램]]들을 총칭하는 용어로 발전되었다. 오늘날 이 용어는 여러 상황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데, 때로는 의사결정지원시스템, [[인적자원관리]]시스템, [[프로젝트 관리]]시스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등을 모두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쓰이는 경우도 있다. [[20세기]] 중반에 태동한 분과 학문이다. 정보시스템(Information Systems)은 대외적으로 [[경영학]]의 한 분과라는 것을 알리기 위해 경영정보시스템(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즉 MIS라는 명칭을 많이 사용하지만, 정보시스템 분야 안에서는 정보시스템(Information Systems), IS라는 명칭을 쓴다. == 종류 == === 기능 === * 생산 정보시스템: 생산 기계 통제, 컴퓨터 기반 설계, 생산계획, 설비배치, [[생산운영관리]] 등 * 마케팅: 주문처리과정, 시장분석, 가격분석, 판매예측, [[마케팅 전략]], [[광고]] 등 * 인사: 훈련, 개발, 경력경로(커리어패스), 보상분석, [[인적자원]]개발계획, 직무설계 등 * 재무 및 회계: [[재무관리]] 흐름, 포트폴리오 분석, 예산관리, 수익계획, 자금조달 계획, 회계자료처리 등 === 자원 관리 수준 === * 거래처리시스템 (TPS: Transaction Processing System): [[조직]]에서 매일 발생하는 경영 업무에 대해 자료 처리. [[1960년대]]부터 단순 거래를 처리하기 위해 기업 경영에 처음으로 도입된 것이 이런 종류의 시스템이다. 당시에는 정보시스템, 거래처리시스템이라는 말이 없었고, 전자자료처리시스템(EDPS: Electronic Data Processing System)이라고 불렀는데, 오늘날에는 거래처리시스템(TPS)이라고 부른다. * 정보 보고 시스템, 경영 정보 시스템 (MIS): 산출한 정보를 정보 보고, 경영 관리 목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한 것. [[1970년대]]부터 쓰이기 시작했다. [[IBM 5100]]이라는 휴대용 컴퓨터 관련 문서를 보면 그 [[1970년대]] 컴퓨터가 어떻게 [[프레젠테이션]]을 보조했는지 확인할 수 있다. * 전문가 시스템 (ES: Expert System): [[1970년대]] 즈음부터 개발되기 시작. 특정 분야에서 Y/N의 질문을 계속하면 저장된 지식 [[데이터베이스]]에 근거하여 답에 이르게 된다. * 의사결정지원시스템 (DSS: Decision Supporting System): 다양한 대안 중 최적의 대안을 선택하도록 [[CEO|경영자]]의 의사결정을 지원. [[1970년대]] 후반부터 경영진의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기 시작했다. * 집단의사결정시스템 (GDSS: Group Decision Support System) *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 : [[1990년대]]부터 [[인터넷]], [[인트라넷]]을 통해 [[기업]]의 경영 활동을 통합한 시스템. == 연구 분야 == MIS의 주된 연구분야는 크게 '''Behavioral MIS'''와 '''Technical MIS''', '''Economical MIS'''로 나뉜다. * '''Behavioral MIS''' 정보 이용자의 행태 정보를 연구한다. 결제 내역, [[정보]]를 누가 어떤 목적으로 사용했는지, 어떤 [[정보]]에 어떤 유형의 [[사용자]]들이 많이 접근하는지 등 이용자에 관련된 [[정보]]를 연구한다. [[인지과학]], [[심리학]], [[신경과학]], [[사회과학]]과 관련되어 있다. * '''Technical MIS''' [[정보]]의 기술적 측면을 다룬다. [[데이터]]의 [[압축]]과 [[요약]], 정보 브라우징 속도 최적화, 데이터 분류 능력의 상승 등 [[컴퓨터과학]], [[수학]], [[통계학]], [[암호학]], [[정보과학]], [[정보통신공학]], [[암호학]], [[언어학]] 등과 관련되어 있다. * '''Economical MIS''' [[정보]]의 [[가치]]를 다룬다. [[시장]]에 대한 정보는 [[경제학]]적 관점에서, 국내 여론에 대한 [[정보]]는 [[정치학]], [[사회학]]적 관점에서, [[군대]]의 동태에 대한 [[정보]]는 [[군사학]]과 관련되어서 연구할 수 있다. MIS의 최근 학문적 경향은 Behavioral 쪽으로 기우는 경향이 있다. 이는 Technical MIS의 [[연구방법론 관련 정보|연구방법론]]이 [[컴퓨터과학]](Computer Science)과 많이 겹치지만, [[컴퓨터과학과]]에 비해 비교우위를 점하기 힘들기 때문으로 보인다. [[경영학과]]에서는 대부분 Behavioral MIS와 Technical MIS을 다 다루고 있으나, [[문과]]에 속해 있는데다가 최근의 트렌드에 따라 Behavioral MIS에 좀 더 치우친 경우가 많지만, 학교에 따라 편차는 큰 편이다. 일부 [[지방대]]의 경우, 실무적인 측면에서 학생들에게 [[프로그래밍]]을 가르치는 것이 [[취업]]에 도움이 된다는 판단 하에 Technical 부분을 강조하고 있다고 한다. 보통 [[대학]]에서 [[경영학과]]에 임용되는 [[교수]]들의 [[학과]]는 [[경영학]]을 전공하지 않은 사람이 매우 드물지만[* [[생산관리]]는 [[산업공학]]에서도 매우 중요하게 다루는 논제이기 때문에 이쪽은 예외.], MIS에서는 보통 양쪽 [[인재]]들이 섞여서 들어오는 경우가 많다. [[학과]]의 이러한 특성상 [[리스코프 치환 원칙]]과도 같은 프로그래밍 공학적 설계 컨셉과 [[MECE]][* [[맥킨지]]의 [[전략컨설팅]] 원칙 중 가장 중요한 원칙이다. 공학적 설계논리랑 별반 다르지 않다.]와도 같은 [[경영학]]적 사고방식 원칙 등을 동시에 배우게 되는 경우가 많다. 초창기 Technical 분야가 강세를 보일 때는 [[미국]] 경영대에서도 실제 [[프로그래밍]]을 중요한 부분 중 하나로 다루었다. 때문에 교수진 중에는 [[경영학]] 박사 말고도 컴퓨터공학/과학 출신의 [[공학]]박사나 [[자연과학|이학]]박사들도 있었다. 한국에서 가장 큰 [[학회]]는 [[http://www.kmis.or.kr/|한국경영정보학회]]. 본좌 논문 저널은 [[http://www.misq.org/|MIS Quarterly]]과 [[http://pubsonline.informs.org/journal/isre|ISR]]이 [[양대산맥]]을 이루고 있다. == 관련 문서 == * [[경영학]] * [[경영정보학과]] * [[전사적 자원관리]] (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경영정보학과, version=223)] [[분류:정보 시스템]] [[분류:경영학]] [[분류:공학]] [[분류:산업공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