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MBC 공채 탤런트)] ||<-2> '''{{{+2 정소녀}}}[br]鄭少女'''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image.sportsseoul.com/20171228072553_03.jpg|width=100%]]}}}|| || '''본명''' ||정애정 || || '''출생''' ||[[1954년]] [[1월 21일]] ([age(1954-01-21)]세) || || '''학력''' ||서라벌예술대학 {{{-2 (연극영화학 / 중퇴)}}}[br][[중앙대학교 예술대학]] {{{-2 (연극영화학 / [[학사]])}}} || || '''종교''' ||개신교 || || '''데뷔''' ||[[1973년]] MBC 공채 6기 탤런트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前 [[배우]]이자 前 방송인이다. 서라벌예술대학교 연극영화학과를 중퇴한 뒤에 중앙대학교 연극영화학과를 졸업했다. == 활동 == 1972년에 연극배우로 데뷔한 뒤 1973년 MBC 6기 공채 탤런트로 정식 데뷔했으며 1974년에는 [[이두용]] 감독의 영화 돌아온 외다리에서 조연을 맡았다. 그 뒤 1974년 11월에 개봉한 김수형 감독의 영화 이름 모를 소녀에서 주연을 맡았을 때 김 감독의 권유로 예명을 사용했다. 이후 TBC에도 출연하기 시작했는데, 1975년에는 TBC 연기대상을 받은 뒤 TBC의 간판쇼프로 [[쇼쇼쇼]]에서 [[허참]]과 공동MC를 맡아 오랫동안 활동했다. 장노년층들은 정소녀를 배우보다는 TBC 쇼쇼쇼 진행자로 기억하는 경우도 많다. 이후 [[언론통폐합]]으로 인해 KBS에서도 쇼쇼쇼 폐지 때까지 진행을 맡았고, 1985년에는 KBS [[가족오락관]]에서 허참과 함께 2대 MC를 맡았다.[* 다만 가족오락관=허참이라는 공식이 생길 정도로 허참은 가족오락관의 시작과 끝을 같이했지만 정소녀의 포지션은 이후 근 스무 명의 여성출연자가 바뀌었다.] 결혼과 함께 연예계를 은퇴했으나, 방송계로 다시 컴백하여 간간히 얼굴을 내밀었다. 가장 최근의 레귤러 방송활동은 2010년대 중반 [[MBN]]에서 방송한 [[엄지의 제왕]]이다. 이후 [[1대100]]에도 출연했다. 한 때 가봉 대통령인 [[오마르 봉고]]와의 관계로 아이를 낳았다는 근거 없는 루머 때문에 마음 고생을 많이 한 적이 있었으며 다행히 가봉에 취재한 기자 덕분에 누명을 벗을 수 있었다.[* 이는 본인이 [[1대 100]]에 1인으로 나왔을 때 밝혔다.] 이 때 흑인 아이를 낳았다는 루머로 마음고생을 심하게 해서 연예계에 일한 것을 처음으로 후회했다고 한다. [[https://www.news1.kr/articles/?5117572|#]] 밝혀진 근황에 따르면 지금은 연예계를 떠나 [[보험설계사]]를 하고 있다고 한다.[[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1588664&memberNo=36645352&vType=VERTICAL|#]] == 방송 내역 == * TBC [[쇼쇼쇼]] - 정소녀의 대표 커리어. * [[가족오락관]] * [[엄지의 제왕]] * [[1대 100]] * [[그대 웃어요]] * 그 외 MBC, TBC, KBS 드라마 다수([[글로리아(드라마)|글로리아]], [[TV 손자병법]] 등) == [[가족오락관]] == * 1990년 7월 24일 * 1994년 5월 22일 * 1996년 10월 30일 * 2008년 1월 5일 [[분류:1972년 데뷔]][[분류:1954년 출생]][[분류:중앙대학교 출신]][[분류:전직 배우]][[분류:은퇴한 방송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