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다른 뜻, rd1=정수(동음이의어))] [include(틀:대수학)] [include(틀:수 체계)] [목차] == 개요 == {{{+1 [[整]][[數]] / integer[*英 [[영어]]] / zahlen[*獨 [[독일어]]][* 임의의 정수의 미지수나 집합 기호로 독일어의 약자인 [math(Z)] 내지 [math( \mathbb{Z} )]를 쓰기도 한다.]}}} [math(n)]이 0 또는 [[자연수]]일 때, [math(n+x=0)][* 이때 [math(x)]를 'n의 덧셈에 대한 역원'이라고 한다.]을 만족하는 모든 [math(x)], 모든 [math(n)]을 통틀어 '정수'라고 한다. 그리고 특정 [math(n)]에 대한 [math(x)]의 표기를 [math(x=-n)]으로 한다. 정수 내에서는 자연수를 양의 정수라 부르며, [math(\{ -1,\,-2,\,-3,\cdots \} )]를 음의 정수라고 한다. [math(0)]은 양의 정수도, 음의 정수도 아닌 정수이다. 집합 기호 표현으로는 독일어의 Zahlen의 앞글자에서 따온 [math( \mathbb{Z} )]를 사용한다.[* 정수 한정이 아니라 그냥 '숫자', '수'라는 의미도 있다. 간단히, Zahlen 의 동사형인 zahlen 이 하나하나 '세다'라는 의미이다. 친숙한 용례로는 Zahlenteufel([[수학 귀신]]). 영어로도 [[정수론]]을 number theory 라고 하고, 독어로도 Zahlentheorie 니 맥락이 닿아 있는 표현.] 한자 '정([[整]])-'은 가지런하다는 뜻을 담고 있다. [[유리수]]의 기약분수 표현에서 [[분모]]가 [math(1)]인 것들만이 정수가 된다. 임의의 [[실수(수학)|실수]]는 정수 [math(n)]과 [math(0 \le x < 1 )]인 소수 [math(x)]의 합으로 유일하게 나타낼 수 있다는 성질이 있고, 여기서 [math(x)]가 [math(0)]일 때만이 정수가 되는 것은 당연하다. 이때 [math(n)]을 정수부분, [math(x)]를 소수부분이라 한다. 상용로그의 지표와 가수를 생각하면 된다. [* 이렇게 보면 실수가 먼저이고 정수가 나중이라고 보기 쉽고 고등학교 과정까진 (심지어 수학과를 뺀 다른 대학교 과정에서도) 이런 식으로 배우는 것이 보통이다. 하지만 현대수학에선, 당장 대학교 수학과 학부 과정에 이르러선, 오히려 그 반대로 가는 것이 맞는다. 현대수학에서는 공리적으로 접근하므로 가장 구성하기 쉬운 자연수에서 시작해서 정수, 유리수, 실수 등으로 확장해나가는 방식을 사용한다. 즉, 정수로부터 (일단 유리수를 만든 다음 여기서) 실수를 '만들어내는' (정확히 말하자면 '확장하는') 것이 맞는다. 물론, 정수도 자연수로부터 만들어지는 것이다. 물론 이건 수학적인 관점, 특히 대수학(algebra)적 관점에 치중한 것이고, 자연계에서 측정되는 물리량들이 모두 실수인 것을 생각하면 생각보다 복잡한 문제이겠다. 사실, 현대수학이 탄생하기 이전 약 백수십여 년 전만 해도 유리수까지만 수(number) 취급을 하였고, 실수는 수가 아닌 다른 것(magnitude) 취급을 하였다.) ] 정수(와 자연수)의 성질을 연구하는 학문을 [[정수론]]이라 한다. 항목을 참고하면 알겠지만 정수론은 수학의 굵직한 분야 중 하나고, 어찌 보면 이는 정수가 실수보다 복잡한 성질을 갖고 있다는 의미이다.[* 그렇다고 실수의 성질이 복잡하지 않다는 이야기는 아니다. [[실해석학]]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실수에는 별별 희한한 성질이 나온다.] 이 정수론에서는 정수 뿐만 아니라, 정수와 비슷하게 덧셈과 곱셈이 정의되고 닫혀 있는 여러 가지 '정수 비슷한 집합'들도 생각한다.[* 엄밀하게는 [[대수학]]의 [[환(대수학)|환]](Ring)을 참고하면 된다.] 대표적인 예로 정수 [math(a)]가 square free일 때[* [math(n^{2}\mid a)]면 [math(n=\pm 1)] ] [math(\mathbb{Z}\left[\sqrt{a}\right] = \left\{ n + m \sqrt{a} : n, m\in \mathbb{Z} \right\})] 같은 집합을 생각할 수 있다. [math(a=-1)]일 때 이 집합은 실수부와 허수부가 모두 정수인 [[가우스 정수]](Gaussian integer)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이 가우스 정수에서는 [math(2)]가 소수가 아니게 된다. [math(2=\left(1+i\right)\left(1-i\right))]이기 때문. [math(\sqrt{a})]를 공통수학에서 나오는 [[1의 거듭제곱근/세제곱근|3차 단위근]] [math(\omega)][* [math(\omega^2 + \omega + 1 = 0)]의 복소근이며, [math((\omega - 1)(\omega^2 + \omega + 1) = \omega^3 -1)] 이므로 [math(\omega^3 = 1)] 의 허근이기도 하다.]으로 바꾸면 이 집합은 [[아이젠슈타인 정수]](Eisenstein integer)라는 이름이 붙고,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에서 [math(n=3)]인 경우를 증명할 때 사용된다. [* 이런 게 무슨 쓸모냐며 까는 이들도 있지만, 이 개념은 현대정수론에서 무척 중요한 역할을 하는 녀석이다.] 컴퓨터 분야에서는 정확도 손실이 불가피한 실수보다는 표현이 확실한 정수가 선호된다. 어찌 보면 [[암호학]]이나 [[전산학]] 등의 [[이산수학]]이 발전하면서, 쓸모없는 정수론에 그나마 눈곱만큼의 수요가 생겼다고 볼 수도 있겠다. == 정수 집합의 크기 == 정수 집합 [math(\mathbb{Z})]은 자연수 집합 [math(\mathbb{N})]과 그 [[초한기수|농도]]가 같은데, 자연수 집합 [math(\mathbb{N})]에서 정수 집합 [math(\mathbb{Z})]으로 가는 일대일 함수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기 때문이다. ||[math(f\left(n\right)=\displaystyle\left(-1\right)^{n}\cdot\lfloor\frac{n}{2}\rfloor)] || == int형 변수(정수형 변수) == int형 변수는 실생활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지만 [[C언어]]와 아두이노에서 아주 많이 사용된다. [[비트]] 수에 따라 다르며, 정수형 중 가장 작은 short 형의 경우 최소값이 -32768, 최댓값이 32767이다. == 닫혀 있는 연산 == * 나눗셈을 제외한 [[사칙연산]] 전부. * 실수부 함수 [math(\Re)][* [math(\Re(x) = x \in \mathbb{Z})]], 허수부 함수 [math(\Im)][* [math(\Im(x) = 0 \in \mathbb{Z})]] * [[부호 함수]] [math(\mathrm{sgn})] * [[집합 판별 함수]] [math(\bold{1}_{\mathbb P}, \bold{1}_{\mathbb N}, \bold{1}_{\mathbb Z}, \bold{1}_{\mathbb Q}, \bold{1}_{\mathbb I}, \bold{1}_{\mathbb R})] 등 * [[어림]]할 때의 [[최대 정수 함수|함수]] [math(\lfloor \, \rfloor,\lceil \, \rceil)] == [[:분류:정수|목록]] == [include(틀:상세 내용,문서명=분류:정수)] == 여담 == 일본어와 중국어에서는 [[양수(수학)|양수]]를 나타내는 正数(정수)와 발음이 같아서 종종 혼동된다. 整数와 正数는 일본어로 せいすう로 발음이 같고, 중국어에서는 각각 zhěngshù, zhèngshù로 성조만 다르다.[* 이와 비슷한 사례로 한국어의 [[소수]]가 있다. [[소수(기수법)|소수점 이하의 수로 나타낼 수 있는 수]]는 [소:수\]로, [[소수(수론)|나머지가 1과 자기 자신뿐인 수]]는 [소쑤\]로 발음하는데, 이 발음 구분이 모호해지고 있다.] 문화어로는 '옹근수'라고 한다. == 둘러보기 틀 == [include(틀:수와 연산)] [include(틀:정수론)]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정수(동음이의어), version=58)] [[분류:대수학]][[분류:정수론]][[분류:정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