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신부 정일우, rd1=정일우(신부))] [include(틀:정일우)] ||<-2>
'''{{{+1 정일우}}}[br]丁一宇|Jung Il Woo'''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정일우_프로필.jpg|width=100%]]}}} || ||<|2> '''출생''' ||[[1987년]] [[9월 9일]] ([age(1987-09-09)]세) || ||[[서울특별시]] [[동작구]] [[대방동(서울)|대방동]]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본관''' ||[[나주 정씨(丁)|나주 정씨]] (羅州 丁氏)[* 초암공파 30세 ○영(榮) 또는 ○식(植) 항렬이지만, 쓰지 않았다. 대사헌공파 29세인 [[정해인]]과 같은 나주 정씨이긴 하지만 정일우는 [[정약용]]의 직계후손은 아니며, 정일우의 15대조 정윤우(丁允祐, 초명 丁胤祐, 1539. 8. 19 ~ 1605. 7. 8)가 정해인의 14대조인 대사헌 정윤복(丁胤福, 1544. 6. 28 ~ 1592. 10. 10)의 셋째 형으로 두 사람은 족보상으로 31촌 지간이다.] || || '''신체''' ||184cm[* 인터뷰에서 여러 번 언급하였다. [[https://n.news.naver.com/entertain/article/108/0002108686|#]]]|64kg[* 네이버 프로필 기준.]|[[O형]]|250mm[* [[https://youtu.be/zIFMjG2s15k?t=4m49s|#]]] || || '''가족''' ||아버지 [[정해훈]]^^(1956년 2월 10일생)^^[* 丁海勳. 나주정씨족보 권6 317쪽에는 정해혼(丁海渾)으로 등재되어 있다.][br]어머니 [[심연옥(교수)|심연옥]]^^(1960년 7월 29일생)^^[* 沈蓮玉. [[청송 심씨]] 심재구(沈載九)의 딸이다.][* 키가 169cm라고 한다. 이러한 유전 덕분에 아들인 본인이 180cm대로 나왔다고.][br]누나 정시선^^(1982년 10월 16일생)^^[* 丁施先.] || || '''학력''' ||[[서울대림초등학교]] {{{-2 (졸업)}}}[br][[성남중학교(서울)|성남중학교]] {{{-2 (졸업)}}}[br][[영등포고등학교]] {{{-2 (졸업)}}}[br][[서울예술대학교|서울예술대학]] {{{-2 (방송연예과[* 現 영상학부 방송영상과. 본래 [[서울예술대학교]]는 연극, 영화, 방송연예 세 학과에 연기전공을 설치하여 운영해 왔는데 2007년, 각 학과에 나뉘어져 있는 연기전공을 한 데 모아 연기과를 신설했고 방송연예과는 방송영상과로 학과명을 변경했다. 고로 정일우가 방송연예과로 입학한 마지막 학번이 되었다. 배우 [[박은석]]과 06학번 동기이며 바로 윗 선배는 배우 [[이시언]], [[김선호]]이다. 서울예대는 출결 문제에 민감하여 데뷔한 연예인의 경우 학업 유지에 어려움을 겪는다. 정일우 또한 2006년, [[거침없이 하이킥]]으로 활동이 많아져 학업 유지에 어려움을 겪었고 다른 곳으로 적을 옮기게 되었다.] / 중퇴)}}}[br][[한양대학교]] [[한양대학교/서울캠퍼스/학부#s-2.13|예술체육대학]] {{{-2 (연극영화학[* 2008학년도 수시모집 연기특기자 전형으로 합격했다.] / 학사)}}}[br][[한양대학교|한양대학교 대학원]] {{{-2 (연극영화학 / 석사)}}} || || '''병역''' ||[[사회복무요원]] 소집해제[* 사유는 [[#여담|문단]] 참조. [[충청남도]] [[논산시]] [[육군훈련소]]로 입소 후 [[기초군사훈련]]을 마치고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구립노인요양센터에서 근무했다.][br]{{{-2 (2016년 12월 8일 ~ 2018년 11월 30일)}}} || || '''종교''' ||[[가톨릭]] {{{-2 ([[세례명]]: 안토니오)}}} || || '''소속사''' ||스튜디오252 || || '''데뷔''' ||[[2006년]] [[MBC]] 시트콤 《[[거침없이 하이킥]]》[br]{{{-2 (데뷔일로부터 '''[dday(2006-11-06)]일, [age(2006-11-06)]주년''')}}} || || '''MBTI''' ||[[INFJ]] || || '''링크''' ||[[https://www.jungilwoo.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2]]]]|[[https://www.instagram.com/jilwww|[[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2]]]]|[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Actorjungilwoo, 크기=22)]|[[http://ko-kr.facebook.com/Officialjungilwoo|[[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2]]]]|[[https://weibo.cn/u/2302554251|[[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width=22]]]] | [[https://youtube.com/@11JUNGILWO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 '''서명''' ||[[파일:정일우 서명.svg|width=40%]]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정일우화보.jpg]] [[대한민국]]의 [[배우]]. 데뷔작인 2006년에 방영된 시트콤 [[거침없이 하이킥]]으로 단숨에 라이징 스타가 되었다. 이후 TV 드라마의 로맨스물과 퓨전 사극 위주로 커리어를 쌓고 있으며 [[사회복무요원]]으로 복무를 마쳤다. 데뷔 전 교통사고 후유증으로 뇌동맥류 진단을 받아 군 면제 사유가 있음에도, 본인의 의사에 의해 보충역으로 복무한 것으로 알려졌다. == 배우 활동 == [[파일:이윤호경례.gif]] MBC 시트콤 [[거침없이 하이킥]]의 남주연 '[[이윤호(거침없이 하이킥)|이윤호]]' 역을 뽑는 '''오디션 1차 통과자 250명 중 최종 합격자로 데뷔.''' 후에 김병욱이 말하기를 '''웃는 모습이 예뻐서''' 뽑았다고 한다. 현재 김병욱 x 송재정 콤비의 마지막 시트콤인 이 작품은 알려진 바와 같이 [[순풍 산부인과]]와 함께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양대 시트콤이 되었고, 이 작품에서 [[이민용|삼촌]]의 애인인 [[서민정(거침없이 하이킥)|담임 선생]]을 사랑하는 학교 짱 [[이윤호(거침없이 하이킥)|이윤호]] 역을 실제 본인 성격인 것처럼 실감나게 연기해 데뷔와 동시에 청춘스타 반열에 올랐다. 2008년엔 하이킥의 외전인 [[크크섬의 비밀]]에 같은 배역으로 출연했으며, 다음년에 [[돌아온 일지매]]에 일지매로 복귀했으나, 대박을 친 [[일지매(2008년 드라마)|SBS 판 일지매]]와 대비되게 시청률 측면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지 못했다. 그러나 동년에 [[아가씨를 부탁해(드라마)|아가씨를 부탁해]]의 평가와 별개로 캐릭터의 인기가 나쁘지 않았다. 2011년에 [[49일]]과 [[꽃미남 라면가게]]에 출연하며 연기 활동을 이어가다 [[해를 품은 달(드라마)|해를 품은 달]]이 대박이 나며 하이킥 이후 4년 만에 다시 인기가도에 올랐다. [[신데렐라와 네 명의 기사]]를 마지막으로 군 입대를 했고, 2019년 [[해치(드라마)|해치]]에서 복귀를 했는데, 드라마가 좋은 평을 얻으며 성공적으로 복귀를 했다. 2021년 MBN 드라마 [[보쌈-운명을 훔치다]]에서 남자주인공 바우 역을 맡았다. MBN 드라마 역사상 최고 시청률을 경신하며 흥행가도에 올랐다. == 출연 작품 == === 영화 === ||
{{{#white '''개봉 연도'''}}} || {{{#white '''제목'''}}} || {{{#white '''배역'''}}} || {{{#white '''비고'''}}} || || 2006년 || [[조용한 세상]] || 류정호 || [[김상경]] 아역 • 조연 || || 2007년 || 내 사랑 || 대학생 지우 || 주연 || || 2015년 || 여장부 || 갈량 || 중국영화 • 주연 || || 2018년 || [[1급기밀]] || 강영우 || 특별출연 || || 2022년 || [[고속도로 가족]] || 장기우 || 주연 || === 드라마 === ||
{{{#white '''방영 연도'''}}} || {{{#white '''방송사'''}}} || {{{#white '''제목'''}}} || {{{#white '''배역'''}}} || {{{#white '''비고'''}}} || || 2006년~2007년 ||<|3> [[MBC TV|[[파일:MBC 로고(2005-2011).svg|width=40]]]] || '''[[거침없이 하이킥]]''' || '''[[이윤호(거침없이 하이킥)|이윤호]]''' || 데뷔작 • 주연 || || 2008년 || [[크크섬의 비밀]] || 윤호 || 1회 특별출연 || ||<|3> 2009년 || '''[[돌아온 일지매]]''' || '''일지매''' ||<|2> 주연 || ||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아가씨를 부탁해(드라마)|아가씨를 부탁해]] || 이태윤 || || [[MBC TV|[[파일:MBC 로고(2005-2011).svg|width=40]]]] || [[지붕뚫고 하이킥]] || [[지붕뚫고 하이킥/등장인물#s-5|정일우]] || 35회 특별출연 || ||<|3> 2011년 || [[SBS TV|[[파일:SBS 로고.svg|width=40]]]] || [[49일]] || [[49일/등장인물#스케줄러|스케줄러 송이수]] ||<|2> 주연 || || [[tvN|[[파일:tvN 로고(2008-2012).svg|width=40]]]] || [[꽃미남 라면가게]] || 차치수 || || [[MBC TV|[[파일:MBC 로고(2005-2011).svg|width=40]]]] || [[하이킥! 짧은 다리의 역습]] || 정일우 || 40회 특별출연 || || 2012년 || [[MBC TV|[[파일:MBC 로고.svg|width=40]]]] || '''[[해를 품은 달(드라마)|해를 품은 달]]''' || '''[[양명(해를 품은 달)|양명]]''' || 주연 || || 2013년 ||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직장의 신]] || 차성[br]광고모델 || 3회 특별출연 || || 2013년~2014년 ||<|2> [[MBC TV|[[파일:MBC 로고.svg|width=40]]]] || '''[[황금무지개]]''' || '''[[서도영(황금무지개)|서도영]]''' ||<|2> 주연 || || 2014년 || '''[[야경꾼 일지]]''' || '''이린''' || ||<|2> 2015년 || [[후난 방송영상 그룹|[[파일:후난위성TV 로고.png|width=55]]]] || 여인화사몽 || 김문호 || 중국드라마 • 주연 || || [[파일:Sohu_logo.png|width=40]] || [[고품격 짝사랑]][* 2015년 중국 소후닷컴을 통해 공개하였으며, 2018년 MBN을 통해 국내방영을 했다.] || 최세훈 || 웹드라마 • 주연 || || 2016년 || [[tvN|[[파일:tvN 로고(2012-2021).svg|width=40]]]] || [[신데렐라와 네 명의 기사]] || 강지운 || 주연 || || 2017년 || [[파일:True4U_Logo.png|width=40]] || Love and Lies || Tim || 태국드라마 • 주연 || || 2019년 || [[SBS TV|[[파일:SBS 로고.svg|width=40]]]] || [[해치(드라마)|해치]] || [[영조|연잉군 이금]] ||<|4> 주연 || || 2020년 || [[JTBC|[[파일:JTBC 로고.svg|width=40]]]] || [[야식남녀]] || 박진성 || || 2021년 || [[MBN|[[파일:MBN 로고.svg|width=40]]]] || '''[[보쌈-운명을 훔치다]]''' || '''바우''' || || 2022년 || [[ENA|[[파일:ENA 로고.svg|width=40]]]] || [[굿잡]] || 은선우 || === 뮤직비디오 === ||
'''{{{#white 발표 연도}}}''' || '''{{{#white 아티스트}}}''' || '''{{{#white 곡명}}}''' || ||<|4> 2007년 ||<|3> 구정현 || [[https://www.youtube.com/watch?v=1r1N_F1snHo|오죽했으면]] || || [[https://www.youtube.com/watch?v=xh4vUyjGf1M|그러니까]] || || Goodbye Sadness || || SAT || [[https://youtu.be/S7BVfLbrAgQ|이게 나예요]] || || 2011년 || 정일우 || 너란 사람 || || 2014년 || [[알리(가수)|알리]] || [[https://www.youtube.com/watch?v=l8DW837R9xw|서약]][* 황금무지개 OST] || === 라디오 === ||
'''{{{#white 출연 연도}}}''' || '''{{{#white 방송사}}}''' || '''{{{#white 프로그램}}}''' || '''{{{#white 비고}}}''' || || 2011년 3월 9일 || [[SBS 러브FM|[[파일:1035.png|width=50]]]] || [[김창열의 올드스쿨]] ||<|3> 게스트 || || 2011년 12월 22일 || [[SBS 파워FM|[[파일:1077.png|width=50]]]] || 공형진의 씨네타운 || || 2019년 2월 11일 || [[SBS 파워FM|[[파일:SBS 파워FM 로고.svg|width=50]]]] || [[두시탈출 컬투쇼]] || === 방송 === ||
'''{{{#white 출연 연도}}}''' || '''{{{#white 방송사}}}''' || '''{{{#white 프로그램}}}''' || '''{{{#white 역할}}}''' || '''{{{#white 비고}}}''' || || 2009년 7월 11일 || [[후지 테레비|[[파일:후지 테레비 로고.svg|width=40&theme=light]][[파일:후지 테레비 로고 화이트.svg|width=40&theme=dark]]]] || チョナン・カン2 || || || || 2011년 8월 13일~9월 17일 || [[SBS MTV|[[파일:SBS MTV 로고.svg|width=40]]]] || One More Time 정일우 || 고정출연 || [* 캐나다 여행기를 담은 프로그램] || || 2011년 10월 25일 ||<|5> [[후지 테레비|[[파일:후지 테레비 로고.svg|width=40&theme=light]][[파일:후지 테레비 로고 화이트.svg|width=40&theme=dark]]]] ||<|5> 韓流α「私の期限は49日」 || || || || 2011년 10월 27일 || || || || 2011년 10월 31일 || || || || 2011년 11월 16일 || || || || 2011년 11월 21일 || || || || 2011년 12월 24일 || [[JTBC|[[파일:JTBC 로고.svg|width=40]]]] || 깜놀 드림 프로젝트 ||<|12> 게스트 || || || 2012년 5월 11일 || [[후난 방송영상 그룹|[[파일:후난위성TV.png|width=40]]]] || 천천향상(天天向上) || || || 2012년 6월 27일 || [[TBS 테레비|[[파일:TBS 테레비 로고(1994~2020).svg|width=40]]]] || ツボ娘 || || || 2012년 || [[파일:SETTV_Metro_Chinnel.png|width=50]] || 완전오락(完全娛樂) || || || 2012년 11월 14일 || [[GTV(대만)|[[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Gala_Television_logo_2011.png|width=40]]]] || 오락백분백(娛樂百分百) || || || 2014년 3월 31일 || [[일본방송협회|[[파일:NHK 로고.svg|width=40]]]] || 테레비로 한글강좌(テレビでハングル講座) || || || 2014년 6월 14일~28일 || [[MBC TV|[[파일:MBC 로고.svg|width=40]]]] || [[무한도전]] 브라질 월드컵 응원단 특집 || || || 2015년 || [[파일:장쑤위성TV 아이콘.png|width=40]] || 성주가도(星厨驾到) 시즌2 || || || 2015년 4월 12일 || [[SBS TV|[[파일:SBS 로고.svg|width=40]]]] || [[일요일이 좋다]] - [[런닝맨]] || || || 2015년 9월 21일 || [[MBC TV|[[파일:MBC 로고.svg|width=40]]]] || 한중공동기획 2015 신한류시대 <찰리우드의 도전자들> || || || 2016년 1월 24일 || [[SBS TV|[[파일:SBS 로고.svg|width=40]]]] || [[일요일이 좋다]] - [[런닝맨]] || || || 2016년 2월 8일 || [[후난 방송영상 그룹|[[파일:후난위성TV.png|width=40]]]] || 춘절 특집 프로그램 화인춘만(华人春晚) || || || 2016년 3월 6일~13일 || [[SBS TV|[[파일:SBS 로고.svg|width=40]]]] || [[일요일이 좋다]] - [[런닝맨]] || || || || 2016년 || [[요우쿠|[[파일:요우쿠 로고.svg|width=40]]]] || 씽씽라이라(星星来啦) || || 웹예능 || || 2019년 2월 3일 ||<|2> [[SBS TV|[[파일:SBS 로고.svg|width=40]]]] ||<|2> [[일요일이 좋다]] - [[런닝맨]] ||<|2> 게스트 || with [[고아라]], [[권율(배우)|권율]], [[박훈(배우)|박훈]] || || 2019년 2월 17일 || || || 2019년 10월 4일~24일 || [[KBS 1TV|[[파일:KBS 1TV 로고.svg|width=40]]]] || 야생탐사 프로젝트 와일드 맵 ||<|2> 고정출연 || || || 2019년 10월 25일~2020년 3월 2일 ||<|2> [[KBS 2TV|[[파일:KBS 2TV 로고.svg|width=40]]]] || [[신상출시 편스토랑]] || || || 2019년 12월 12일 || [[해피투게더(KBS)|해피투게더 4]] || || || || 2020년 8월 19일 ||<|2> [[MBC TV|[[파일:MBC 로고.svg|width=40]]]] || [[라디오 스타(황금어장)|라디오 스타]] || 스페셜 MC || || || 2021년 2월 9일 || 사진정리서비스 폰클렌징 ||<|2> 게스트 || || || 2021년 4월 18일 || [[MBN|[[파일:MBN 로고.svg|width=40]]]] || 더 먹고 가 || with [[유리(소녀시대)|권유리]] || || 2021년 10월 29일 ||<|2> [[MBC TV|[[파일:MBC 로고.svg|width=40]]]] || 다큐플렉스 청춘다큐 거침없이 하이킥 1부 ||<|3> 출연자 || || || 2021년 11월 12일 || 다큐플렉스 청춘다큐 거침없이 하이킥 2부 || || || 2021년 11월 29일~2022년 1월 17일 || [[파일:MBC every1 로고(2011-2022) 가로형.svg|width=60]] || 마을애가게 || 웹예능 || || 2022년 3월 19일 || [[쿠팡플레이|[[파일:쿠팡플레이 로고.svg|width=60]]]] || [[SNL 코리아|SNL 코리아 리부트 시즌 2]] || 호스트 || || || 2022년 5월 28일~6월 4일 ||<|2> [[SBS TV|[[파일:SBS 로고.svg|width=40]]]] || [[편먹고 공치리]] ||<|2> 게스트 || || || 2023년 1월 5일 ||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 || || || 2023년 7월 15일~ || [[MBN|[[파일:MBN 로고.svg|width=40]]]] || 떴다! 캡틴 킴 ||<|2> 크루멤버 || === 광고 === ||
{{{#white '''기업'''}}} || {{{#white '''제품명'''}}} || || [[삼성전자]] || Anycall || || CJ || 햇반 - 갓 지은 밥만, 햇반 || || 빙그레 || 바나나맛 우유 || || 광동제약 || 비타500 || || Daum || UCC || || [[나이키]] || 기업PR || || [[롯데호텔]] || 기업PR || ||<|2> 엔프라니 || 홀리카홀리카 || || 기업PR || || 롯데제과 || 도리토스 || || [[LG전자]] || 옵티머스II LTE || || [[도미노피자]] || 기업PR || || FILA 코리아 || FILA Sports || || BIOTHERM China || 기업PR || || MVIO || 기업PR || == 그 외 활동 == === 홍보대사 === ||
'''{{{#white 연도}}}''' || '''{{{#white 기업/기관}}}''' || '''{{{#white 직함}}}''' || || 2011년 || || 제12회 전주국제영화제 홍보대사 || || 2015년 || || 우먼스 라운드 테이블 10주년 기념 자선행사 홍보대사 || || 2016년 || || K 트래블 버스 홍보대사 || || 2018년 12월 3일~ || || 국립중앙박물관 홍보대사 || || 2019년 || || 서울가톨릭사회복지회 홍보대사 || === 음반 === ||
'''{{{#white 발매일}}}''' || '''{{{#white 표지}}}''' || '''{{{#white 음반명}}}''' || '''{{{#white 곡명}}}''' || '''{{{#white 비고}}}''' || || 2011.03.25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정일우 스케줄러 송.jpg|width=100]]}}} || 정일우 스케줄러 송 || 정일우 스케줄러 송 || || || 2011.03.3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49일 OST Part 4.jpg|width=100]]}}} || 49일 OST Part.4 || 허수아비 || || || 2011.11.25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꽃미남 라면가게 OST Part 3.jpg|width=100]]}}} || 꽃미남 라면가게 OST Part.3 || 너란 사람 || || || 2014.10.21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야경꾼 일지 OST.jpg|width=100]]}}} || 야경꾼 일지 OST || [[https://youtu.be/GR2wx4Tp3qY|차라리 비눈물에]] || with [[니콜(카라)|니콜]] || == 수상 경력 == ||
'''{{{#white 수상 연도}}}''' || '''{{{#white 시상식}}}''' || '''{{{#white 부문}}}''' || '''{{{#white 작품}}}''' || ||<|4> 2007년 ||<|2> 제1회 [[Mnet 20's Choice]] || 드라마 스타상 ||<|2> [[거침없이 하이킥]] || || 뉴스타상 || || Mnet KM 뮤직페스티벌 || 뮤직비디오 연기상 || Goodbye Sadness || || [[MBC 방송연예대상]] || 코미디시트콤부문 남자 신인상 || [[거침없이 하이킥]] || || 2009년 || 코리아 주니어 스타 어워즈 || TV드라마 대상 || [[돌아온 일지매]] || ||<|5> 2012년 ||<|2> 아시아 모델상 시상식 || 모델특별상 || || || 패셔니스타상 || || || 행복나눔인 || 보건복지부 장관상 || || || 상해 TV 페스티벌 || 작품상 은상 || 해를 품은 달 || || 중국 화정상 시상식 || 아시아 남자배우 대상 || || ||<|2> 2014년 || 코스모 뷰티 어워즈 || Forever Young Icon 남자스타상 || || || [[MBC 연기대상]] || '''특별기획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 [[야경꾼 일지]] || || 2015년 || 중국 아시아 영향력 동방시상식 || 최고 인기 배우상 || || || 2016년 || Asia Model Awards || 아시아특별상 || || || 2019년 || [[KBS 연예대상]] || 쇼•오락부문 신인상 || [[신상출시 편스토랑]] || == 여담 == * 현재는 사어가 됐지만 2000년대 후반에 잠시 유행했던 '''완소남'''이라는 유행어가 정일우로부터 시작됐다. [[거침없이 하이킥]]에서 보여준 미소년, 반항기, 순정남이라는 여심 저격 코드로 큰 인기를 끌었고, [[싸이월드]] 시절 남친짤의 단골 손님이기도 했다.[* [[정준혁(지붕뚫고 하이킥)|후속작의 비슷한 포지션]]을 연기한 [[윤시윤]]보다 1살이 적다.] 하지만 배우 본인은 이 당시, 매일 밤샘 촬영을 하느라 지쳐 있어서 인기를 즐길 틈도 체감할 틈도 없었고 종영 후에는 교통사고로 인해 후유증 치료와 재활 치료를 하느라 시간을 쏟는 바람에 물 들어올 때 노를 젓지 못 했다며 아쉬운 소회를 털어놓기도 했다. * 데뷔하자마자 스타덤에 올랐지만 20년 가까이 활동하면서 사건사고는 물론이고 그 흔한 열애설 하나 없는 건실한 행보를 이어가는데 이는 거침없이 하이킥에서 할아버지 역할이었던 [[이순재]]의 조언 덕분이라고 한다. 이순재는 신인 때부터 큰 사랑을 끈 정일우에게 우쭐해지거나 안주하지 말라는 조언을 해주었는데 이를 모토로 삼고 있다고 한다. * 상당한 엘리트 집안 출신으로 아버지 정해훈 씨는 [[KBS]] 기자 출신이자 [[경남대학교]] 석좌교수이며 어머니 심연옥 씨는 [[한국전통문화대학교]]의 전통미술공예학과의 전임교수로서 국내 직물 분야의 권위자이기도 하다. 누나 정시선 씨는 해외 유학을 10년 간 다녀오고 현재는 패션 디자이너로 샵을 운영하고 있다. 배우 본인이 밝히길 학창시절 누나가 전교 1~2등을 할 정도로 학업성적이 우수했는데 이 때문에 비교를 자주 당해서 하이킥에서 이윤호의 캐릭터에 몰입이 쉬웠다고 한다. 큰 논란 없이 연예계 생활을 해온 것은 이러한 가정환경의 영향도 크다. * 어머니와 돈독한 사이인데 이는 어머니가 그를 낳고 얼마 지나지 않아 중국으로 3년 간 유학을 다녀왔기 때문이라고 한다. 유년시절 함께 있어주지 못 한 미안함 때문인지 아들과 시간을 자주 보내고 촬영이 있을 때 스태프와 기자들까지 챙겨주신다고 한다. * 2010년 팬미팅에서 팬들에게 선물받은 [[샤페이]] 종의 반려견에게 '아우'라는 이름을 붙여주고 9년 간 애지중지 키웠는데 [[해치(드라마)|해치]] 촬영 도중 아우가 무지개다리를 건너는 바람에 한동안 정신적으로 힘들어했다고 한다. * 같은 배우로 활동 중인 [[정해인]]과 같은 [[나주 정씨(丁)|나주 정씨]]에 같은 [[동작구]] [[대방동(서울)|대방동]] 출신이며, [[성남중학교(서울)|성남중학교]]와 [[영등포고등학교]] 동문이기도 하며 정해인이 정일우보다 1년 후배라고 한다. 정일우의 말에 따르면, 정해인이 데뷔하고 나서야 이 사실을 알게 되었다고 한다. * 2016년 12월 8일, 논산 [[육군훈련소]]에 입소하여 4주 간의 기초군사훈련을 마치고 2017년 1월부터 [[서초동]] [[서초구]]립 서초요양센터에서 [[사회복무요원|대체복무]]를 하고 2018년 12월 2일에 소집 해제됐다. 단축 전에는 12월 7일이었으나, 무려 5일이나 단축됐다. * 2006년 8월 데뷔 전 교통사고 후유증으로 [[뇌동맥류]] 진단을 받아 '''군 면제 사유가 있음에도, 본인의 의사에 의해''' [[보충역]]으로 병역을 이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사고로 가해 차량 운전자와 동승자가 사망했고, 배우 [[이민호(1987)|이민호]]는 반 년이 넘는 7개월 간 입원 치료. 정일우와 이민호는 데뷔 전부터 절친이라 여행길에 올랐다가 사고를 당했다고 한다. 이때 이민호와 하이킥 캐스팅이 같이 되었는데 이 사고로 정일우만 하이킥을 찍었다는 루머가 있으나 이민호는 '하이킥' 오디션을 본 적도 없다. 이민호는 서로 하이킥에 캐스팅이 되었었다는 소문을 듣고 "도대체 왜 그 얘기가 나와서 우리 사이를 갈라놓으려 하나. 갑자기 왜 너는 못된 놈 되고 내가 불쌍한 놈 되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당시 이민호는 다른 데 오디션을 보고 있었다고 한다.[[https://n.news.naver.com/entertain/article/076/0001983784]] 어쨌든 이 사고로 인해 이민호도 공익 판정을 받았고, 둘 다 사회복무요원으로 복무했다.] 뇌동맥류는 [[병역판정검사]] 5급, 즉 [[전시근로역]] 사유.[* 2016년 11월 30일부터 징병검사는 [[병역판정검사]]로, 제1국민역은 [[병역준비역]]으로, 제2국민역은 [[전시근로역]]으로 개정.][* 5급은 평시병역면제로 전시에만 병역 의무를 진다. 민방위 훈련만 받으면 되므로 사실상 병역 면제로 통하는 것. 완전병역면제인 6급은 불치병, 중증 장애인 등 일상 생활이 불가능한 자에 한해 받을 수 있다.] 병역 면제 사유를 규정한 현행 법령 참조. [[http://www.law.go.kr/lsSc.do?menuId=0&p1=&subMenu=1&nwYn=1§ion=&tabNo=&query=%EB%B3%91%EC%97%AD%ED%8C%90%EC%A0%95%20%EC%8B%A0%EC%B2%B4%EA%B2%80%EC%82%AC%20%EB%93%B1%20%EA%B2%80%EC%82%AC%EA%B7%9C%EC%B9%99#undefined|시행 2016년 11월 30일 국방부령 제907호 2016년 11월 29일 타법개정 병역판정 신체검사 등 심사규칙 별표2 질병·심신장애의 정도 및 평가기준(제11조·제20조 및 제21조 관련)]] * 데뷔작이자 대표작인 〈[[거침없이 하이킥]]〉의 배경이 [[동작구]] [[흑석동(서울)|흑석동]]과 대방동인데, 정일우는 실제로 [[동작구]] 대방동에서 초중고를 나왔고, 아버지 [[이준하]] 역을 맡았던 [[정준하]]도 본적이 [[동작구]]인데, 정준하와 정일우는 대림초등학교 선후배다. 다만, [[본관#s-1]]은 서로 다른데, 정일우는 맨 위에서 봤듯이 압해 정씨고, 정준하는 [[하동 정씨]]다. * 2009년 방영한 [[하이킥 시리즈]] 두번째 시즌인 [[지붕뚫고 하이킥]]의 [[정준혁(지붕뚫고 하이킥)|정준혁]] 캐릭터와 이를 연기한 [[윤시윤]]과도 공통점이 많다. 둘 다 껄렁하고 괄괄한 성격인데다 싸움과 오토바이를 좋아하는 문제아이며 배우들 역시 모두 오디션을 통해 하이킥 시리즈로 데뷔했다. 하지만 이윤호와 정준혁은 포지션은 같지만 캐릭터 자체는 많이 다르다. 이윤호가 드라마틱한 순정만화 남주인공이라며 정준혁은 보다 현실적인 고등학생이다. * 배우로서 명성을 가져다준 이윤호의 캐릭터와는 달리 실제 성격은 낯을 많이 가리고 내성적이며 섬세하고 진중한 면이 있다. 반대로 내성적인 형 [[이민호(거침없이 하이킥)|이민호]]역할을 한 [[김혜성(배우)|김혜성]]이 실제로는 이윤호 캐릭터와 비슷하다고 한다. * 평소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한다고 한다. SNS에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사진을 이따금씩 올리기도 한다. * 흥미로운 점은 [[2010년]] [[KBS 2TV]] 〈[[제빵왕 김탁구]]〉에서 [[윤시윤]] 아역이었던 [[오재무]]는 [[2013년]] MBC [[황금무지개]]에서 정일우 아역을 맡았으며 [[거침없이 하이킥]]에서 [[이순재(거침없이 하이킥)|이순재]]의 아역을 연기했던 [[이태리(배우)|이태리]]는 [[해를 품은 달]]에서는 정일우 아역을 맡았다. * [[이민호(1987)|이민호]]와는 동네 친구이자 데뷔 전부터 절친이었으며 하이킥에서 만난 [[김범]]과도 현재까지 인연을 이어오고 있다. 개인 유튜브 채널에 김범을 게스트로 데려와 라면 먹방을 찍은 영상에 이민호가 댓글을 달기도 했다. [[김혜성(배우)|김혜성]]과는 하이킥 촬영기간 동안 친하게 지냈다가 최근에야 다시 연락을 하게 됐다고 한다. [* [[다큐플렉스]]에서 나온 바에 의하면 하이킥 종영 후 김혜성이 활동이 뜸해지며 교류가 끊겼고, 서로 13년 동안 연락이 없다가 어느날 갑자기 정일우가 먼저 연락을 해왔다고 한다. 13년 만에 연락한 정일우의 첫 마디는 "이런 XXX야." 그 욕을 듣고 김혜성은 여전히 자신을 스무살 그 시절 친구처럼 편히 대해주는 정일우에게 진심으로 고마움을 느꼈다고 한다.] * MBC 〈[[해를 품은 달(드라마)|해를 품은 달]]〉에서 만난 [[김수현(배우)|김수현]], [[송재림]]과도 친분이 있다고 한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117&aid=0002218295|마이데일리 기사]]. * 인터넷 소설가 [[백묘(작가)|백묘]]의 작품을 원작으로 하는 드라마의 남자 주인공을 2번 했다.[* [[꽃미남 라면가게]], [[신데렐라와 네 명의 기사]]. 방송사도 모두 tvN.] * 2013년 4월 KBS 2TV 〈[[직장의 신]]〉 4회에서 극 중 배경 '와이장'의 경쟁사 '차성기업'의 간장 모델로 등장했다. '여심을 훔쳐간 차치수'라며 우리나라 3대 도둑이라는 설정. 직장의 신의 윤난중 작가의 전작이 tvN 꽃미남 라면가게인 인연 때문인걸로 보인다.[* 직장의 신도 꽃미남 라면가게처럼 원작이 있는 작품이다. 원작은 2007년 1월 일본 NTV ハケンの品格(파견의 품격).] * [[거침없이 하이킥]]과 [[꽃미남 라면가게]]에서 여선생을 좋아하는 고등학생 캐릭터를 연기했다.[* 하지만 '하이킥'의 이윤호를 기대하고 〈꽃미남 라면가게〉를 보는 건 추천하지 않는다. 전혀 다른 [[캐릭터]]이기 때문이다.] * 2014년 인터뷰에서 술은 [[유이(배우)|유이]]와, 키스신 호흡은 [[이요원]]과 잘 맞았다고 밝혔다. [[http://www.ajunews.com/view/20140413180003460|기사보기]] * 차는 2016년형 [[포르쉐 911]] 1대뿐이다. 차가 여러 대인 사람을 이해하지 못한다고 한다. * 퇴소 후 2017년 3월 [[사회복무요원]] 직무교육에서 모범요원(학생장)으로 선정되어 표창을 받았다고 하며, 구립서초요양센터에서 어르신들을 주로 상대하고 있는데 [[파킨슨병]]으로 투병했던 외할머니가 생각난다고 정일우 본인이 언급한 것을 보면 어르신들의 마음을 잘 이해하면서 복무를 잘 하고 있는 듯하다. 그리고 본인이 복무하는 요양센터에 2,000만 원을 기부했다. * 2015년 중국 온라인 사이트 소후닷컴을 통해 공개하였던 [[고품격 짝사랑]]이 2018년 4월 4일부터 [[MBN]]에서 매주 수요일 국내 방영을 시작하였다. * 184cm의 상당한 장신이나, [[꽃미남 라면가게]] 촬영당시 190cm의 배우 [[이기우(배우)|이기우]]와 188cm의 [[박민우(배우)|박민우]] 등 다른 배우들에 비해서는 본인이 작기 때문에 스트레스라 항상 신발에 깔창을 깔고 다닌다 했었다고 하며 또한 키에 비해 발 사이즈가 작은 편이다. 본인은 이걸 콤플렉스로 여기는듯 하다. * 예능 출연이 많지는 않은데, 드문드문 출연한 것도 거의 대부분 [[유재석]]이 진행하는 프로그램이다. 2019년에 해피투게더에 출연했을 때 밝힌 바로는 어느 정도 의도적인 선택인 모양. [[라디오 스타(황금어장)|라디오 스타]]에도 출연한 바가 있으나 게스트가 아닌 특별MC로 출연했다. * [[신상출시 편스토랑]]에서 [[달고나 커피]]를 소개해 유행시킨 주인공이다. 발견한 곳은 [[폭찹번]]을 파는 [[마카오]]의 한 맛집이었다. * 평소 [[요리]]를 즐겨하고 다른 사람들이 자신이 한 요리를 먹는걸 보면 행복하다고 한다. 편스토랑에 따르면 요리실력이 상당한 것으로 보인다. 요리뿐 아니라 음식을 복스럽게 잘 먹기도 한다. * 퓨전 사극의 비운의 왕자 캐릭터 전문이다. 대부분 서자 출신에 왕은 이미 포기하고 망나니처럼 사는 왕자 캐릭터를 자주 맡았다. 다행히 대부분 왕이 되는 결말로 맺어지지만, 그렇지 못한 캐릭터도 있다. * 데뷔작인 [[거침없이 하이킥]]의 출연진 상당수와 연을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일단 본인이 [[나문희]]를 할머니로 부르며 연기 스승으로 모신다 하고, [[이순재]] 역시 설마다 찾아간다고 한다. [[김범]]과도 꽤 친한 듯, 김범이 유튜브 영상에 출연했다. * [[거침없이 하이킥]] 출연 이후로 [[지붕뚫고 하이킥]]과 [[하이킥! 짧은 다리의 역습]]에 카메오로 나올 때는 병에 걸린 역으로 카메오 출연했었다. * 27살 때 [[뇌동맥류]] 진단을 받고 충격이 큰 나머지 우울증이 심해져 집밖에 한 달 동안 안 나간 적도 있었다고 한다. 그 뒤에 산티아고 순례길을 3번이나 다녀오고 긍정적으로 바뀌었다고 한다.[[https://www.youtube.com/watch?v=F2Go6GjxiyM|영상]] * 자신의 이름이 들어간 [[정일우폰]]이라는 피처폰이 존재한다. * SNL 코리아 녹화 참여 이후 코로나에 확진되었다. 오미크론이어서 다행히 무증상이라고 한다. * [[다이나믹 듀오 5집]]의 5번 트랙의 죽일 놈(Guilty)의 도입부 나레이션을 이민정과 함께 했다.[[https://youtu.be/CqBAVQOkui0|영상]] * 지금 기준으로 30대 중후반인데도 리즈시절과 다름없는 여전히 [[동안]]이다. 이건 본인이 출연했던 하이킥 후속작의 비슷한 포지션 역할 [[윤시윤]]도 마찬가지이다. * 어린시절부터 LG 트윈스 팬이였다고 한다. [[https://sports.news.naver.com/news?oid=109&aid=0004917585|기사]] [각주] [[분류:한국의 정치인 자녀]][[분류:한국 남배우]][[분류:대한민국의 영화 배우]][[분류:한국의 드라마 배우]][[분류:1987년 출생]][[분류:2006년 데뷔]][[분류:나주 정씨(丁)]][[분류:동작구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가톨릭 신자]][[분류:영등포고등학교 출신]][[분류:한양대학교 출신]][[분류:사회복무요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