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동음이의어]][[분류:한자어]][[분류:공장]][[분류:스타크래프트 시리즈/건물]][[분류:워크래프트 2]][[분류:얼라이언스(워크래프트 시리즈)]][[분류:호드(워크래프트 시리즈)]] [목차] == 정제 시설 == [include(틀:시설)] [[파일:Refinery.jpg]] {{{+1 精製所 | Refinery}}}. 물질의 불순물을 없애는 작업과, 재료의 순도를 높이기 위한 정제 과정을 하는 시설. 각종 천연 자원에서 산업에 사용할 수 있는 원재료를 추출하거나, 추출된 재료를 보다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정제/정련을 한다. 소금이나 설탕, 실리콘 등 원재료의 순도가 중요한 제품이 주된 대상이 되며, 제품에 따라 가공하는 시설의 이름도 달라진다. * [[광석]]: [[제련소]] * [[목재]]: [[제재소]] * [[미곡]]: [[정미소]] * [[석유]]: 정유소 == [[스타크래프트 시리즈]]의 [[테란]] 건물 == >{{{+1 '''정제소'''}}}, 精製所, Refinery, 리파이너리 >---- >비록 엉성하지만 베스핀 정제소는 황량한 지역 환경에서 힘들기 그지없는 [[베스핀 가스]]의 채굴을 빠른 속도로 진행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베스핀 [[간헐천]] 위에 건설된 정제소는 가스를 자동적으로 상자에 담아[* 게임상에선 "베스핀 탱크", [[드럼통]]모양이다.] [[건설로봇]]이 쉽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해 준다. === 스타크래프트 === [include(틀:스타크래프트 1/테란)] [[파일:SCR_307_Refinery.png]]{{{#!wiki style="float:right" || 건설 비용 || [include(틀:스타크래프트/비용,terran=,mineral=100,time=40)] || 단축키 || R || || 생명력 || [[파일:SC_Icon_HP.png|height=16]] 750 || 방어력 || 1 || || 특성 || 지상, 건물, 기계 || 크기 || 대형 || || 면적 || 4 × 2 || 시야 || 8 || [[파일:Jc9ro4I.png|align=right]]}}}[clearfix] 테란의 [[베스핀 가스]]를 채취하기 위해 필요한 가스 채취 건물. 별 다른 특징은 없다. 배기구가 [[추출장]]과 마찬가지로 1개인데[* 건설 중에는 3개 전부 노출되지만, 완성시 2개가 막히고 하나의 큰 배기구만 남는다.] 불순물 중에 황화수소같이 윤활제나 시약들로 쓰이는 물질들을 분리·정제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로 인해 현실 유정 설비 명칭을 따온 것. 건설로봇은 건설 도중에 건물에 계속 붙어 있으면서 직접 주위를 빙빙 돌며 건설하므로 [[가스 러시]]를 시도하다가 건설 중에 얻어맞아 죽는 경우가 잦아서 하기 힘들다. 그러나 역으로 건설로봇이 떨어지면 건설이 일시 정지된다는 것을 이용해서 일부러 일정 수준까지만 건설을 한 뒤 적에 의해 파괴되기 직전에 건설을 취소해 자원을 회수하는 방법을 쓸 수도 있다. 뭐 아주 못 하는 건 아니라 [[저그]] 상대로 저그의 가스타이밍을 늦춰 꼬이게 하는 방법으로 종종 쓴다. 일꾼 자체가 [[추출장|익스트랙터]]가 되는 [[저그]]나 간헐천 위에 [[융화소|어시밀레이터]]를 '소환'하는 [[프로토스]]와 달리 건설 후 일꾼이 건물 옆에 남게 된다는 게 차이점인데, 그래서인지 건설이 완료되면 건설을 완료한 SCV는 자동적으로 그 건물에서 가스를 채집하기 시작한다. 이는 테란만의 유일한 특성으로, 추가 명령 없이도 자동으로 가스를 채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후속작인 스타크래프트 2에선 탐사정도 융화소를 소환하고 아무 명령 안 내리면 자동으로 가스를 채취하는 기능을 추가하였다. [[https://ygosu.com/community/st1/211447|[분석글] 테란이 아래쪽 가스를 못 캐는 이유 [데이터 주의\]]] 정제소, 사령부의 크기 + 이동 메커니즘 때문에 정제소가 아래쪽에 있으면 잘못캐는 경우가 종종 생긴다. 아래쪽이면 한두번 캐는걸 봐서 일꾼 한기를 더 붙이는 것도 고려해볼만 하다. 소진 전: [[파일:SCR_403_gas_orb_t_l.png]]   소진 후: [[파일:SCR_403_gas_orb_t_s.png]] 소진 후에는 작은 용기로 담아서 일꾼에게 건넨다. 다른 종족 가스 용기는 방향별로 살짝식 이미지가 다르지만 이건 원통형인 드럼통이라 방향에 무관하게 동일한 이미지다. 다른 가스 채취 건물들과 마찬가지로, 유즈맵을 위해 지도상에 간헐천이 아닌 가스 채취 건물을 배치해두면 유즈맵 플레이시에는 정상적으로 등장하지만 해당 맵을 유즈맵이 아닌 일반 모드로 플레이하면 가스 채취 건물도 간헐천도 나오지 않는다. 애초에 유즈맵을 일반 모드로 진행할 일이 잘 없긴 하지만. === 스타크래프트 2 === [include(틀:스타크래프트 2/테란)] || [[파일:btn-building-terran-refinery.png]] 기본 || [[파일:btn-building-terran-refinery-covertops.png]] 특수 부대 || [[파일:btn-building-terran-refinery-silver.png]] [[티라도]] || ||
<^|1>{{{#!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tn-building-terran-refinery.png|width=76]]}}}||{{{+1 '''정제소'''}}} ,,Refinery,, 베스핀 가스 채취를 위해 베스핀 간헐천 위에 건설하는 구조물입니다. || {{{#!wiki style="text-align:center; max-width:80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50%" [[파일:SC2Pic_Tst_refinery_normal.png]] [br] 일반 정제소}}}{{{#!wiki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50%" [[파일:SC2Pic_Tst_refinery_rich.png]] [br] 풍부한 간헐천의 정제소}}}}}} ||
비용 || [include(틀:스타크래프트 2/비용,terran=,mineral=75,time=30 (아주 빠름 21))] || 단축키 || B-R ||<|4>{{{#!wiki style="margin:-4px -9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파일:btn-upgrade-terran-buildingarmor.png|width=76]]{{{#!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margin:0 20px 0 10px" '''테란 건물 장갑''' [br] ,,Terran Building Plating,,}}}}}}}}}|| || 체력 || 500 || 방어력 || 1 → 3[* [[공학 연구소]]에서 '신소재 강철 장갑' 업그레이드] || || 크기 || 3 × 3 || 시야 || 9 || || 특성 ||<-3> 중장갑 - 기계 - 구조물 || 건설 비용이 75 광물로 감소했지만 체력도 500으로 줄었다. 또한, 가스가 고갈되어도 2원씩 캘 수 있었던 전작과는 달리, 스타2에서는 가스가 고갈되면 굴뚝이 빨간색으로 빛나면서 채취가 불가능해진다. ---- || [[파일:btn-building-terran-refineryautomated.png]] [br] 자동 정제소 || [[파일:btn-building-nova-refinery.png]] [br] 노바 비밀 작전의 정제소 || [[자유의 날개 캠페인]](+[[협동전 노바]]) 전용 업그레이드로 프로토스의 기술을 연구해서 가스를 일꾼이 '운반'하는 것이 아니라 사령부로 직접 '워프'시키는 [[자동 정제소]] 연구가 있다. 다만 자동화의 페널티로 건설비용과 시간이 광물 100/45초로, 채취 주기 - 즉 한번 채취에 걸리는 시간이 1.9810초에서 2.1초로 약 6% 늘어난다. 해당 항목에서도 언급되지만 기술력의 출처인 프로토스는 굳이 이런 걸 만들지 않았었는데 어차피 탐사정 자체가 무인자동화 시스템이니까. 헌데 [[공허의 유산]] 캠페인 시점에서 멸족의 위기에 처하자 탐사정마저 없앤 자동화를 쓴다.[* 이쪽은 아예 우주에 있는 아둔의 창으로 전송한다. 그래서 이름이 "궤도 융화소"다.] [[노바 비밀 작전]] DLC에서는 다른 스킨의 정제소를 쓰며, 협동전과 달리 자동정제소는 아니다. ---- || [[파일:btn-building-terran-refinery.png]] [br] 레이너, 스완 || [[파일:btn-building-nova-refineryautomated.png]] [br] 노바 자동 정제소 || [[파일:btn-building-hornerhan-refinery.png]] [br] 한과 호너 || [[파일:btn-building-terran-tychusrefinery.png]] [br] 타이커스 || [[파일:btn-building-terran-refinerymengsk.png]] [br] 멩스크 || [[파일:btn-building-stukov-infestedrefinery.png]] [br] 스투코프 || [[협동전]]에서는 각 테란 사령관들 + 스투코프가 사용한다. == [[워크래프트 2]]의 건물 == [include(틀:워크래프트 2/얼라이언스)] [include(틀:워크래프트 2/호드)] {{{#!wiki style="text-align:center;margin:1px auto;" {{{#!wiki style="display:inline-block;margin:6px;" [[파일:HumanRefinery.gif]][br]얼라이언스 정제소}}}{{{#!wiki style="display:inline-block;margin:6px;" [[파일:OrcRefinery.gif]][br]호드 정제소}}}}}} Oil refinery. 워크래프트 2의 석유 저장 건물로 석유 생산량을 100에서 125로 늘린다.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에서는 전장 [[정복의 섬]]의 건물로 나온다. 정유소라고 번역할 것을 그냥 정제소라고 번역했다. == [[클래시 오브 클랜]]과 [[클래시 로얄]]의 엘릭서 정제소 == [[클래시 오브 클랜/마을/건물]] 문서의 [[클래시 오브 클랜/마을/건물#s-3.1|3.1번째 문단]]과 [[엘릭서 정제소]] 문서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