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보물)] [[파일:정조필 국화도.png]] [목차] == 개요 == 正祖筆 菊花圖. [[조선]]의 22대 왕 [[정조(조선)|정조]]가 그린 [[국화]] 그림. 현재 [[동국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대한민국의 보물|대한민국 보물]] 제744호이다. == 내용 == 86.5㎝×51.3㎝. 조선의 22대 왕 정조가 자신의 재위 기간 사이에 그린 그림이다. 보물 제743호인 [[정조필 파초도]](正祖筆 芭蕉圖)와 함께 쌍폭에 해당된다. 우리 나라의 국왕이 직접 그려 남긴 수묵화(水墨畵)로 한국 회화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 중 하나이다. == 외부 링크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47706&cid=46660&categoryId=46660|한국 민족 문화 대백과 : 정조필 국화도]]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40779&cid=40942&categoryId=33383|두산 백과 : 정조대왕필국화도]] == 보물 제744호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7440000,11|문화재청 홈페이지 : 정조필 국화도 (正祖筆 菊花圖)]] >정조필(正祖筆) <국화도(菊花圖)>는 조선 시대 정조(재위 1776년 ∼ 1800년)가 그린 국화그림이다. 정조는 시와 글에 능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림에도 뛰어났다고 한다. > >가로 51.3㎝, 세로 86.5㎝ 크기의 이 그림은 화면 왼쪽에 치우쳐 그린 바위와 풀위에 세 방향으로 나 있는 세송이의 들국화를 그렸다. 돌과 꽃잎을 묽은 먹으로, 국화잎은 짙은 먹으로 표현하여 구별하였는데, 이러한 농담 및 강약의 조화를 통하여 생동감을 느끼게 한다. > >꾸밈이나 과장없이 화면을 처리한 점은 다른 화가의 그림에서 찾아볼 수 없는 특징으로 파초도(보물 제 743호)와 함께 몇 점 남지 않은 정조의 그림으로 회화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분류:대한민국의 보물]][[분류:조선의 회화]][[분류:정조(조선)]][[분류:동국대학교박물관 소장품]][[분류:서울특별시의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