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평라선에 있는 동명의 역, rd1=정평역(평라선))] {{{+1 正坪驛 / Jeongpyeong Station}}} ||<-3> {{{+2 '''정평역'''}}} || ||<-3> [[대구 도시철도 2호선|[[파일:Daegu2.svg|width=30]]]] || || [[문양역|{{{#!html
문양 방면}}}]][[사월역|사 월]][br]← 1.2 ㎞ || [[대구 도시철도 2호선|{{{#!html
2호선
(242)
}}}]] || [[영남대역|{{{#!html
영남대 방면}}}]][[임당역|임 당]][br]1.1 ㎞ → || ||<-3>{{{#!wiki style="margin: -5px -10px -11px" [include(틀:지도, 장소=정평역, 너비=100%, 높이=100%)]}}}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Jeongpyeong || || [[한자]] ||<-2><|2> 正坪 || || [[간체자]] || || [[가나(문자)|가나]] ||<-2> [ruby(正坪, ruby=チョンピョン)] || ||<-3> '''주소''' || ||<-3> [[경상북도]] [[경산시]] [[대학로#s-2.13]] 지하60 ([[정평동]]) || ||<-3> '''관리역 및 고객센터''' || ||<-3> 신매관리역 / 2고객센터 || ||<-3> '''운영 기관''' || || [[대구 도시철도 2호선|{{{#ffffff 2호선}}}]] ||<-2> [[대구교통공사]] || ||<-3> '''개업일''' || || [[대구 도시철도 2호선|{{{#ffffff 2호선}}}]] ||<-2> 2012년 9월 19일 || ||<-3> '''역사 구조''' || ||<-3> 지하 2층(심도 20.4m) || ||<-3> '''승강장 구조''' || ||<-3>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4px -10px" [[파일:정평역대합실.jpg|width=100%]]}}} || || '''{{{#ffffff 역 대합실}}}'''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242번. [[경상북도]] [[경산시]] [[대학로#s-2.13]] 지하60 ([[정평동]]) 소재. 역명은 역의 소재지인 [[경산시]] 정평동에서 따 온 것인데, 남천 부근을 개간하여 넓고 평평한 곳에 마을을 만들었다고 하여 역 일대를 정평(正坪)동이라 명명했다. 실제로 정평역에서 [[롯데시네마]] 경산점/[[영대교]] 쪽에 보이는 하천이 [[남천(경산)|남천]]이다. == 역 정보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경산시|경산]] 연장 공사의 첫번째 구간이며[* 시계외 구간이지만 [[대구도시철도공사]]에서 운영하는 데다가 단일요금제이기 때문에 [[영남대역]]까지 구간요금이 없다.], 중산삼거리와 경산네거리 사이에 있다. 정평동은 [[경산시]]의 신 주택개발 단지 중 하나이기 때문에 역 근처에 아파트 단지들이 많이 있지만, 경산시장 일대에 비해 경유하는 시내버스 노선이 적은 곳이고 배차간격도 상대적으로 긴 편이다[* 중산삼거리에서 정평역으로 직진하는 노선은 449번, 509번(사동행), 649번, 991번([[경산버스]])밖에 없다.]. 따라서 [[경산시]]의 중심가인 [[경산역]] 및 경산시장 일대에서도 정평역으로 가는 시내버스가 적은 편[* 그나마 잘 오는 노선이 [[경산 버스 남천1|남천1번]]이다. 980번은 반야월에서 영대 방향에 한해 편도운행이며, 719번은 2009년 1월 17일 경산시장 편도운행이 폐지되어 경산네거리에서 영대오거리로 바로 좌회전한다. 509번은 [[영남대학교|영대]]행만 경산시장으로 들어가며, 사동행은 경산오거리에서 [[경산시]]청 방향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경산시장으로 들어갈 수 없다.]이라 경산 시민들 중 경산시장 일대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정평동 대신 상대적으로 시내버스편이 많은 시경계 인근의 [[사월역]]까지 와야 한다. 정평역, 임당역, 영남대역은 현재 경상북도에 있는 단 셋 뿐인 도시철도 역이다. 역이 꽤 큰 규모로 건설되었는데, [[이곡역]]에만 있던 큰 아치형 천장의 대합실이 생겼다. 아울러 운임 구역 내외에 [[화장실]]이 1곳씩 있다. 운임 구역 내에서 승강장으로 가는 엘리베이터는 각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하나씩 설치되어 있으며 승강장 횡단이 가능하다. 일부 [[대학교]]들의 [[스쿨버스]]가 정차한다. 정평역이 영업을 시작한 후 일부 [[경산시 시내버스]]들은 [[사월역]] 대신 정평역에서 운행을 종료하는 것으로 변경했다. 정평역 못 가서 있는 LIG건영아파트에서 운행을 끝냈으나, 이 정류장이 폐지된 현재는 정평역 2번 출구에서 운행을 종료한다. 여담이지만 경산네거리에 있는 [[롯데시네마]] 경산점 뒤에 있는 모 [[레스토랑]] 3층에 [[피규어]] [[박물관]]이 있다. 박물관이라기보다는 작은 전시관 규모지만 관심있으면 한 번쯤 갈만한 곳이다. 정평역 4번 출구에서 내려 영대교를 따라 가면 도보로 약 10분 정도 걸리는데 버스 정류장 하나 차이나므로 걷기 귀찮다면 영대교 위에서 시내버스를 타고 내려도 된다. 곡선 승강장이기 때문에, 승강장과 열차 사이의 단차가 있다. 다만 발빠짐 안내방송은 [[칠성시장역]]처럼 승강장에서만 하고, 열차 내에서는 하지 않는다. == 일평균 이용객 == 정평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대구 도시철도 2호선|[[파일:Daegu2.svg|width=25]]]] || {{{#ffffff '''비고'''}}} || || 2012년 || 7,626명 || [* 2012년 자료는 개통일인 9월 19일부터 12월 31일까지 104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 2013년 || 8,304명 || || || 2014년 || 8,760명 || || || 2015년 || 8,634명 || || || 2016년 || 8,694명 || || || 2017년 || 8,505명 || || || 2018년 || 8,369명 || || || 2019년 || {{{#00aa80 8,984명}}} || || || 2020년 || 6,167명 || || || 2021년 || 7,505명 || || || 2022년 || 8,349명 || || ||<-3> {{{#ffffff '''출처'''}}} || ||<-3> {{{#!wiki style="margin: -0px -10px" [[https://www.dtro.or.kr/index.do?menu_link=/icms/bbs/selectBoardList.do|대구교통공사[br]사전정보 공개게시판]]}}} ||}}} 위에서 언급된 이유로 경산시내와 가장 가까우면서도 경산시내 수요를 잡기 어려운 면이 있으나, 정작 [[2022년]] 기준 하루 평균 이용객은 8,349명이다. 절대적인 수치가 많다고 보기는 어렵고, 특히 [[정평동]] 전역 및 [[수성구]] [[사월동]] 동부, [[중산동(경산)|중산동]] 아파트 단지 대부분이 역세권에 포함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기대 이하의 수요를 보여준다. 전형적인 주택가 한복판의 역이라서 하루 평균 1만 명 정도는 충분히 나올 만한 배후 인구를 두었기 때문이다. 만약 경산시내 버스 개편이 이루어져 [[사월역]]이 아닌 이곳으로 버스가 집중되는 구조가 된다면, 그동안 사월역에서 환승했던 사람들의 상당수가 이 역으로 목적지를 변경하여 큰 폭으로 이용객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 그렇게 되면 하루 평균 1만 명 돌파가 무리는 아닐 것이다. == 승강장 == ||
{{{#!wiki style="margin: -5.4px -10px" [[파일:정평역 승강장.jpg|width=100%]]}}} || || '''{{{#ffffff 역 승강장}}}''' || ||
{{{#!wiki style="margin: -5.4px -10px" [[파일:attachment/정평역(도시철도)/station.jpg|width=100%]]}}} || || '''{{{#ffffff 역 안내도}}}''' || ||<-4> [[사월역|사월]] ↑ || || {{{#ffffff 하}}} || ㅣ || ㅣ || {{{#ffffff 상}}} || ||<-4> ↓ [[임당역|임당]] || || {{{#ffffff 상}}} ||<|2> [[파일:Daegu2.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2호선]] ||[[반월당역|반월당]]·[[용산역(대구)|용산]]·[[계명대역|계명대]]·[[문양역|문양]] 방면|| || {{{#ffffff 하}}} ||[[임당역|임당]]·[[영남대역|영남대]] 방면|| == 연계 교통 == || 정류소(대구/경산 ID) || 시내버스 || || 정평역1번출구[br](05601/11001) || [[경산 버스 809|809]], [[경산 버스 991|991]], [[경산 버스 경산1, 경산1-1|경산1-1]], [[대구 버스 449|449(대구)]], [[대구, 경산 버스 509|509(대구, 경산/사동행)]], [[대구 버스 649|649(대구)]], [[대구 버스 980|980(대구)]] || || 정평역2번출구[br](없음/17010) || [[경산 버스 809|809]], [[경산 버스 991|991]], [[경산 버스 경산1, 경산1-1|경산1]], [[경산 버스 남천1|남천1]], [[대구 버스 449|449(대구)]], [[대구, 경산 버스 509|509(대구, 경산/사동행)]], [[대구 버스 649|649(대구)]] 외 노선은 종점이라 연계 안 됨[* [[경산 버스 100|100]], [[경산 버스 100-1|100-1]], [[경산 버스 399|399]], [[경산 버스 990|990]]번의 야간 정평역 종료 막차] || || 정평역3번출구[br](05600/11004) || [[경산 버스 809|809]], [[경산 버스 991|991]], [[경산 버스 남천1|남천1]], [[대구 버스 449|449(대구)]], [[대구, 경산 버스 509|509(대구, 경산/사동행)]], [[대구 버스 649|649(대구)]] || || 정평역4번출구[br](05599/11003) || [[경산 버스 809|809]], [[경산 버스 991|991]], [[경산 버스 남천1|남천1]], [[대구 버스 449|449(대구)]], [[대구, 경산 버스 509|509(대구, 경산/사동행)]], [[대구 버스 649|649(대구)]], [[대구 버스 980|980(대구)]] || || 중산하늘채퍼스트 동편 || [[경산 버스 남산1|남산1]], [[경산 버스 남산2|남산2]], [[경산 버스 남천1|남천1]], [[경산 버스 압량1|압량1]], [[경산 버스 용성1|용성1]] || || 정평현대A || [[경산 버스 경산1, 경산1-1|경산1-1]] || == 역 주변 정보 == 주거지구면서 주변에 LG, [[하이마트]] 등의 전자제품 매장이 널려 있고, 좀 멀리 떨어진 곳에는 삼성전자서비스센터가 존재한다. [[롯데시네마]] 경산관이 [[영대교]] 쪽에 있다.[* 영대교 사월동 방향 정류장이 2개 있는데, 그 중 다리를 건너는 쪽에는 449번과 649번만 정차하고 나머지 노선들은 [[롯데시네마]] 앞에 정차한다. 그래도 두 정류장 모두 거리 차이는 무시해도 될 정도로 가깝다. [[롯데시네마]] 경산관은 대평동 소재.] 정평초등학교, 경산우방아파트, 정평동한솔아파트, 태왕귀빈타운, 정평동LIG건영아파트, 한서신혼하이츠 등이 있고 멀리 북쪽의 남천변에 대평주공아파트(대평그린빌)가 있다.[* 정작 경산시장 근처에는 아파트가 없다. 대신 중산삼거리와 [[경산역]] 사이에 아파트가 몰려 있다.] 그리고 대평주공아파트에서 좀 더 북쪽에는 [[대구광역시]]에서 가장 큰 시내버스 회사인 [[세진교통]]의 대평동차고지가 있다. [각주] == 둘러보기 == [include(틀:대구 도시철도 2호선의 역 목록)] [[분류:2012년 개업한 철도역]][[분류:경산시의 도시철도역]][[분류:대한민국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대구 도시철도 2호선]][[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