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제 군주)] |||||| '''{{{#ece5b6 제(齊)나라 19대 국군 {{{+1 소공}}} 昭公}}}''' |||||||||| |||| '''[[성씨|{{{#ece5b6 성}}}]]''' |||| 강(姜) || |||| '''[[본관|{{{#ece5b6 씨}}}]]''' |||| 여(呂) || |||| '''[[휘|{{{#ece5b6 휘}}}]]''' |||| 반(潘) || |||| '''{{{#ece5b6 아버지}}}''' |||| [[제환공]](齊桓公) 강소백(姜小白) || || '''{{{#ece5b6 생몰 기간}}}''' || 음력 || 기원전 ???년 ~ 기원전 613년 || || '''{{{#ece5b6 재위 기간}}}''' || 음력 || 기원전 632년 ~ 기원전 613년|| [목차] == 개요 == [[제(춘추전국시대)|제나라]]의 제19대 [[군주]]. [[제환공]]의 아들. [[공자무휴]], [[제효공]]의 이복 동생. [[제의공]]의 이복 형. [[제군사]]의 아버지. 개방[* 원래 [[위나라|위(衛)나라]]의 공자였다.]의 지지를 받아 즉위했다. 어머니는 갈영이다. 이 때 [[진문공]](晉文公)의 재위 기간과 겹친다. == 재위 기간에 일어난 일 == 제소공 원년([[기원전]] 632년), 그는 [[진문공]](晉文公)과 함께 [[성복 전투]]에 참여해 초나라를 물리치고 천토에서 제후들과 회맹해 [[주나라]]에 입조하니 [[양왕(주)|양왕]]은 진문공을 [[패자]]로 봉했다. 그래서 진문공은 제환공의 뒤를 이어 당당히 [[춘추오패]]가 된 것이다. 제소공 6년(기원전 627년), 적족이 제나라를 침략했다. 제소공 7년(기원전 626년), 진문공이 죽었다. 이때 [[진목공]](秦穆公)이 효산에서 [[진양공]](晉襄公)과 싸워 패했다. 제소공 12년(기원전 621년), 진목공이 죽었다. 제소공 20년(기원전 613년), 제소공이 죽자 아들인 강사(姜舍)가 뒤를 이어 즉위했으나, 제소공의 아우인 강상인(姜商人)이 그를 죽이고 즉위하니 그가 [[제의공|제의공(齊懿公)]]이다. [각주] [[분류:제나라의 군주]][[분류:기원전 613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