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광둥성의 행정구역)] ||<-3> [[파일:중국 국기.svg|height=20]] {{{#000,#ddd '''[[중국|{{{#000,#ddd 중화인민공화국}}}]] [[광둥성|{{{#000,#ddd 광둥성}}}]]의 [[지급시|{{{#000,#ddd 지급시}}}]]'''}}} || ||<-3> {{{#ff0 '''{{{+1 [ruby(揭阳, ruby=Jiēyáng)][ruby(市, ruby=Shì)] | [ruby(揭阳市, ruby=Kiat-iông-chhī)]}}}'''[br]제양시 | Jieyang City}}}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揭阳市, 너비=100%, 높이=100%)]}}} || ||<-2> '''{{{#ffff00 시정부 소재지}}}''' || [[광둥성]] 제양시 룽청구 린장베이루39호[br]广东省揭阳市榕城区临江北路39号 || ||<-2> '''{{{#ffff00 지역}}}''' || [[중난]] || ||<-2> '''{{{#ffff00 면적}}}''' || 5,240.5km² || ||<-2> '''{{{#ffff00 하위 행정구역}}}''' || 1시할구 1현급시 2현 || ||<-2> '''{{{#ffff00 시간대}}}''' || UTC+8 (北京时间) || ||<-3> '''{{{#ffff00 인문 환경}}}'''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2> '''{{{#ffff00 전체인구}}}''' || 2,672,819명 ^^(2020)^^ || ||<-2> '''{{{#ffff00 인구밀도}}}''' || 550명/km² || ||<-2> '''{{{#ffff00 HDI}}}''' || 0.724 ^^(2016)^^ || ||<-2> '''{{{#ffff00 서기}}}''' || 왕성(王胜) || ||<-2> '''{{{#ffff00 시장}}}''' || 즈광난(支光南) || ||<|2> '''{{{#ffff00 GRDP}}}''' || '''{{{#ffff00 전체}}}''' || $304억 7,700만 ^^(2020)^^ || || '''{{{#ffff00 1인당}}}''' || $5,464 ^^(2020)^^ || ||<|2> '''{{{#ffff00 상징}}}''' || '''{{{#ffff00 시화}}}''' || [[부상화]] || || '''{{{#ffff00 시목}}}''' || 봉황목 || ||<-2> '''{{{#ffff00 차량번호}}}''' || '''粤V''' || ||<-2> '''{{{#ffff00 행정구역 약칭}}}''' || '''揭''' || ||<-2> '''{{{#ffff00 행정구역코드}}}''' || '''44'''5200 || ||<-2> '''{{{#ffff00 지역전화번호}}}''' || '''0663''' || ||<-2> '''{{{#ffff00 우편번호}}}''' || '''5220'''00 || ||<-2> '''[[ISO 3166-2|{{{#ffff00 ISO 3166-2}}}]]''' || '''CN-GD-52''' ||}}}}}}}}} || ||<-3> [[http://www.jieyang.gov.cn/|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남부 [[광둥성]]의 [[지급시]]. 동쪽으로 [[산터우시]] 및 [[차오저우시]], 북쪽으로 [[메이저우시]], 서쪽으로 [[산웨이시]], 남쪽으로 [[남중국해]]와 접한다. [[민남어]]를 주 언어로 사용하는 지역이며, 약간의 [[객가어]]도 사용한다. 광둥성의 주요 언어인 [[광동어|월어]]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해협서안경제구(海峡西岸经济区)의 일원도시이기도 하다. == 역사 ==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것으로 추측되며, 중국사 편입은 [[진(영성)|진나라]] 시절로 추정된다. 진나라는 이곳에 게양수수구(掲陽戍守区)를 설치하는데 이것이 제양시라는 지명의 어원이 된다. [[한나라]] 대에 게양현(揭阳县)이 설치되며, 민계열 한족이 제양으로 이주하면서 민남어권 지역이 된다. 이후 역사에 한동안 등장하지 않고, 행정구역명도 [[중화민국]]시기까지 계속 유지되다가 [[1991년]]에 [[지급시]]로 승격된다. == 교통 == 메이선철도(梅汕铁路)가 제양역(揭阳站)을, 광메이산철도(广梅汕铁路)가 제양난역(揭阳南站)을 지난다. 공항은 관내에 [[제양 차오산 국제공항]](揭阳潮汕国际机场)이 있고 [[차오저우시]]와 공동으로 사용한다. [[분류:중국의 도시]][[분류:광둥성의 지급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