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일본의 주요선거)] [include(틀: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5><:>{{{#FFFFFF,#DDDDDD {{{+1 '''제49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br]'''第49回衆議院議員総選挙'''}}}|| ||<-5> {{{#!wiki style="margin: -5px -10px 0px" [[파일:2021shuinsen_poster.png|width=100%]]}}}{{{#!wiki style="margin-bottom: -5px" {{{-2 총무성 공식 선거 포스터[*홍보대사 모델은 배우 [[코시바 후우카]](小芝風花)와 타나베 세이이치(田辺誠一).][*슬로건번역 '''그래서, 나는 투표한다.''' 자신에 대한 것. 소중한 사람에 대한 것. 앞으로의 것. 그리고, 이 나라에 대한 것. 그 마음을, 내일의 원동력으로.(だから、私は投票する。自分のこと。大切な人のこと。これからのこと。そして、この国のこと。その思いを、明日からの原動力に。)]}}}}}} || ||<-5> {{{#!wiki style="margin: -7px -12px" ||<:>{{{-2 [[2017년]] [[10월 22일]]}}}[br][[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48회 중원선[br]{{{-5 (국난 돌파 총선)}}}]]||<:>→||<:>{{{-2 [[2021년]] [[10월 31일]]}}}[br]'''49회 중원선[br]{{{-5 (미래 선택 총선)}}}'''||<:>→||<:>{{{-2 [[2025년]] 이전}}}[br][[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50회 중원선]]||}}}|| ||<:>{{{#2D3865,#CFA547 '''투표율'''}}}||<-4>55.93% {{{-3 {{{#red,#ff0000 ▲ 2.25%p}}}}}}[* 전후 3번째로 낮은 투표율. 그래도 완전히 바닥을 찍었던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전전회]],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전회]] 선거가 너무 저투표율이어서 회복하는데 시간이 걸려서 그런거지 꽤 많이 투표율이 올라 4번째로 낮은 투표율과 그다지 차이는 나지 않는다.] || ||<-5><:>{{{#FFFFFF,#DDDDDD '''선거 결과'''}}}|| ||<-5> [[파일: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다이어그램d.svg|width=100%]] || ||<-5>{{{#!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71546 56.1%, #004098 56.1%, #004098 76.7%, #14A73C 76.7%, #14A73C 85.5%, #f95580 85.5%, #f95580 92.4%, #09236d 92.4%, #09236d 94.8%, #E61919 94.8%, #E61919 97.0%, #ED008C 97.0%, #ED008C 97.6%, #00a7db 97.6%, #00a7db 97.8%, #808080 97.8%)" }}}|| ||<:>'''정당'''||<:>'''지역구'''||<:>{{{#!wiki style="margin: 0 -10px" '''비례대표'''}}}||<:>'''총합'''||<:>'''비율'''|| ||<|2>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px -10px;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E50038 50%, #f95580 50%); font-size: .9em" [[자유민주당(일본)|{{{#ffffff '''자유민주당'''}}}]][br][[공명당|{{{#ffffff '''공명당'''}}}]]}}} ||<:>'''189석'''||<:>'''72석'''||<|2><:>'''293석'''||<|2><:>'''63.0%'''|| ||<:>'''9석'''||<:>'''23석'''|| ||<:>[[입헌민주당(2020년)|[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004098,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입헌민주당)]]]||<:>'''57석'''||<:>'''39석'''||<:>'''96석'''||<:>'''20.6%'''|| ||<:>[[일본 유신회(2016년)|[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14A73C,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일본 유신회)]]]||<:>'''16석'''||<:>'''25석'''||<:>'''41석'''||<:>'''8.8%'''|| ||<:>[[국민민주당(2020년)|[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09236d, 사이즈=.9em, 글자색=#FABE00, 내용=국민민주당)]]]||<:>'''6석'''||<:>'''5석'''||<:>'''11석'''||<:>'''2.4%'''|| ||<:>[[일본 공산당|[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E61919,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일본 공산당)]]]||<:>'''1석'''||<:>'''9석'''||<:>'''10석'''||<:>'''2.2%'''|| ||<:>[[레이와 신센구미|[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ED008C,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레이와 신센구미)]]]||<:>'''0석'''||<:>'''3석'''||<:>'''3석'''||<:>'''0.6%'''|| ||<:>[[사회민주당(일본)|[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00a7db,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사회민주당)]]]||<:>'''1석'''||<:>'''0석'''||<:>'''1석'''||<:>'''0.2%'''|| ||<:>[[무소속|[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808080,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무소속)]]]||<:>'''10석'''||<:>'''-'''||<:>'''10석'''||<:>'''2.2%'''|| [목차] [clearfix] == 개요 == ||<-3> [[https://www.soumu.go.jp/2021senkyo/index.html|[[파일:일본 총무성 로고(문장형).svg|width=150]]]] || || [[https://www.nhk.or.jp/senkyo/database/shugiin/2021/|[[파일:NHK 로고.svg|width=80]]]] || [[https://www.nikkei.com/special/shuin2021|[[파일:Nikkei_logo_ja.svg|width=55]]]] || [[https://news.yahoo.co.jp/senkyo/|[[파일:Yahoo! JAPAN 로고.svg|width=6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_9odbJdqB8c)]}}} || || '''[총무성] 「그래서, 나는 투표한다.」''' || [[2021년]] [[10월 31일]]에 실시한 [[중의원 의원 총선거]]. [[레이와 시대]] 개막 이후 처음 열리는 중의원 선거이며 당초 중의원 임기 만료일인 [[2021년]] [[10월 21일]]에 열리게 될 예정이었으나, 9~10월에 이뤄진 [[2021년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와 총리 지명 선거 및 내각 조각 일정으로 인해 시간적 여유가 없어, 임기 만료 이후인 10월 31일로 늦춰졌다. 4년의 공식 임기를 전부 채우고 선거를 치른 사례는 '1976년 34회 중원선'이 있었지만[* [[미키 다케오]] 총리가 [[록히드 사건]]으로 궁지에 몰리자 [[의회해산]]이 [[일본국 헌법]] 정신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명분으로 일부러 해산을 하지 않고 '''끝까지 버텼다'''.] '''임기만료 후 선거'''[* 정확히는 임기 일주일을 남겨두고 중의원 해산이 되었지만, 사실상 임기 만료로 보는 게 맞다.]를 치르는 것은 전후 [[일본국 헌법]] 역사 이래 처음이다.[* 참고로 의회해산이 없을 경우 임기만료일 직전 일요일에 총선거가 치러지지만, 임기 만료일 전날에 중의원 해산이 이뤄질 경우 원래 선거 일정은 공직선거법 31조 5항에 의해 무효화되며, 공직선거법 31조 3항에 의거 40일 이내 다시 선거 일정을 정해 투개표를 실시해야 한다. 이 40일 이내 기한이 11월 28일까지가 된다.[[https://www.nikkei.com/article/DGXZQOUA3113V0R30C21A8000000/?unlock=1|#]]]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중의원을 해산하면서 [[https://newsis.com/view/?id=NISX20211014_0001614280|"코로나 이후 '''미래를 선택하는 선거'''"]]라고 했고, 그 이후 이번 중원선의 명칭은 '''미래 선택 총선'''이 되었다. == 중의원 해산 == || {{{+1 {{{#ffffff '''2021년 중의원 해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wExdD3-1h5I, width=100%)]}}} || * 10월 14일 오후 1시, [[오시마 다다모리]] 의장이 해산조서를 낭독[*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지난 총선]]에서도 해산조서를 낭독한 바 있다. 이로써 [[고노 요헤이]]와 같이 해산조서를 2번 이상 낭독한 흔치 않은 의장으로도 기록되었다.]함에 따라 [[중의원]]이 해산되었고, 모든 당들이 본격적인 총선 태세로 전환하였다. [[https://yamanaka-bengoshi.jp/wp-content/uploads/2021/12/衆議院の解散に関する閣議書(令和3年10月14日付).pdf|내각의 의회해산 결의서]] == 선거 일정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선거구 획정|선거구 획정]] == [include(틀:하위 문서, top1=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선거구 획정)]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선거 전 상황|선거 전 상황]] == [include(틀:하위 문서, top1=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선거 전 상황)]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후보자|후보자]] == [include(틀:하위 문서, top1=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후보자)]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은퇴 및 불출마 정치인|은퇴 및 불출마 정치인]] == [include(틀:하위 문서, top1=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은퇴 및 불출마 정치인)] == 선거 운동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토론 및 연설|토론 및 연설]] === [include(틀:하위 문서, top1=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토론 및 연설)]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공약 및 정책|공약 및 정책]] === [include(틀:하위 문서, top1=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공약 및 정책)]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선거 광고|선거 광고]] === [include(틀:하위 문서, top1=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선거 광고)]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여론조사|여론조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여론조사)] == 투표율 == ||<-4> '''시간별 투표율''' || ||<-4> 선거인 수: '''105,622,758명''' || || '''시간''' || '''투표자 수''' || '''누적 투표율''' || '''지난 선거''' || || 10시 || - || 6.32% || 7.15% || || 11시 || - || 11.32% || 12.24% || || 14시 || - || 21.49% || 21.83% || || 16시 || - || 26.78% || 26.30% || || 18시 || - || 31.64% || 29.99% || || 19시 30분 || - || 34.32% || 000% || || 사전투표 || 20,584,857 || 19.49% || 20.10% || || 최종(20시) || - || 55.93% || 53.68%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출구조사|출구조사]] == [include(틀:하위 문서, top1=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출구조사)] == 개표 결과 == ||<-4> [[파일:2021shuinsen.svg|width=100%]]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2> '''정당 및 대표''' ||<-2> '''지역구''' ||<-2> '''비례대표''' ||<-2> '''합계''' ||<|2> '''비고''' || || '''득표''' || '''의석''' || '''득표''' || '''의석''' || '''의석''' || '''차이''' || ##감소는 [{{{#blue ▼n}}}], 증가는 [{{{#red ▲n}}}], 불변은 [-]로 표기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기시다 후미오]] ||<|2> 27,626,158[br]{{{-2 48.08% ([-])}}} ||<|2> 189석 ||<|2> 19,914,883[br]{{{-2 34.66% ([-])}}} ||<|2> 72석 ||<|2> 261석[br]{{{-2 56.1%}}} ||<|2> [{{{#blue ▼15}}}] ||<|2> 제1당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2> [[입헌민주당(2020년)|[[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width=40]]]] || [[에다노 유키오]] ||<|2> 17,215,621[br]{{{-2 29.96% ([-])}}} ||<|2> 57석 ||<|2> 11,492,116[br]{{{-2 20.0% ([-])}}} ||<|2> 39석 ||<|2> 96석[br]{{{-2 20.6%}}} ||<|2> [{{{#blue ▼13}}}] ||<|2> 제2당 || ||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 ||<|2> [[일본 유신회(2016년)|[[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width=40]]]] || [[마쓰이 이치로]] ||<|2> 4,802,793[br]{{{-2 8.36% ([-])}}} ||<|2> 16석 ||<|2> 8,050,830[br]{{{-2 14.01% ([-])}}} ||<|2> 25석 ||<|2> 41석[br]{{{-2 8.8%}}} ||<|2> [{{{#red ▲30}}}] ||<|2> 제3당 || || [include(틀:일본 유신회(2016년))] || ||<|2> [[공명당|[[파일:공명당 로고만 하얀색.svg|width=40]]]] || [[야마구치 나쓰오]] ||<|2> 872,931[br]{{{-2 1.52% ([-])}}} ||<|2> 9석 ||<|2> 7,114,282[br]{{{-2 12.38% ([-])}}} ||<|2> 23석 ||<|2> 32석[br]{{{-2 6.9%}}} ||<|2> [{{{#red ▲3}}}] ||<|2> 제4당 || || [include(틀:공명당)] || ||<|2> [[국민민주당(2020년)|[[파일:국민민주당 로고.svg|width=50]]]] || [[다마키 유이치로]] ||<|2> 1,246,812[br]{{{-2 2.17% ([-])}}} ||<|2> 6석 ||<|2> 2,593,375[br]{{{-2 4.51% ([-])}}} ||<|2> 5석 ||<|2> 11석[br]{{{-2 2.4%}}} ||<|2> [{{{#red ▲3}}}] ||<|2> 제5당 || || [include(틀:국민민주당(2020년))]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시이 가즈오]] ||<|2> 2,639,708[br]{{{-2 4.59% ([-])}}} ||<|2> 1석 ||<|2> 4,166,076[br]{{{-2 7.25% ([-])}}} ||<|2> 9석 ||<|2> 10석[br]{{{-2 2.2%}}} ||<|2> [{{{#blue ▼2}}}] ||<|2> 제6당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2> [[레이와 신센구미|[[파일:레이와 신센구미 흰색 로고.svg|width=50]]]] || [[야마모토 다로]] ||<|2> 248,280[br]{{{-2 0.43% ([-])}}} ||<|2> 0석 ||<|2> 2,215,648[br]{{{-2 3.86% ([-])}}} ||<|2> 3석 ||<|2> 3석[br]{{{-2 0.6%}}} ||<|2> [{{{#red ▲2}}}] ||<|2> 제7당 || || [include(틀:레이와 신센구미)] || ||<|2> [[사회민주당(일본)|[[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width=40]]]] || [[후쿠시마 미즈호]] ||<|2> 313,193[br]{{{-2 0.55% ([-])}}} ||<|2> 1석 ||<|2> 1,018,588[br]{{{-2 1.77% ([-])}}} ||<|2> 0석 ||<|2> 1석[br]{{{-2 0.2%}}} ||<|2> [-] ||<|2> 제8당 || || [include(틀:사회민주당(일본))] || ||<-9> || ||<|2> [[NHK당|[[파일:NHK수신료를 지불하지 않는 방법을 알리는 당 로고.svg|width=50]]]] || [[타치바나 타카시]] ||<|2> 150,142[br]{{{-2 0.26% ([-])}}} ||<|2> 0석 ||<|2> 796,788[br]{{{-2 1.39% ([-])}}} ||<|2> 0석 ||<|2> 0석[br]{{{-2 0.0%}}} ||<|2> [{{{#blue ▼1}}}] ||<|2> 원외정당 || || [include(틀:NHK당)] {{{-3 [* NHK당의 정식 명칭은 'NHK와 재판하고 있는 당 변호사법 제72조 위반으로'(NHKと裁判してる党弁護士法72条違反で)이다.]}}} || ||<|2> [[파일:shijiseitounashi_logo.png|width=50]] || 사노 히데미쓰 ||<|2> - ||<|2> - ||<|2> 46,142[br]{{{-2 0.08% ([-])}}} ||<|2> 0석 ||<|2> 0석[br]{{{-2 0.0%}}} ||<|2> [-] ||<|2> 원외정당 || || [[https://xn--68jubz91pp0oypc1c.com/|[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975ca9, 여백=2px 4px, 곡률=3px, 사이즈=.9em, 글자색=#ffff00, 내용=지지정당 없음)]]] || ||<|2> [[파일:Yamato_party_logo.png|width=50]] || 고바야시 고키 ||<|2> 15,091[br]{{{-2 0.03% ([-])}}} ||<|2> 0석 ||<|2> 16,970[br]{{{-2 0.03% ([-])}}} ||<|2> 0석 ||<|2> 0석[br]{{{-2 0.0%}}} ||<|2> [-] ||<|2> 원외정당 || || [[https://yamato-party.jp/|[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e60012, 여백=2px 4px, 곡률=3px,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신당 야마토)]]] || ||<|2> {{{#ffffff {{{+1 '''コロ'''}}}}}} || 시미즈 미쓰오 ||<|2> - ||<|2> - ||<|2> 6,620[br]{{{-2 0.01% ([-])}}} ||<|2> 0석 ||<|2> 0석[br]{{{-2 0.0%}}} ||<|2> [-] ||<|2> 원외정당 || || [[https://www.hosyusinto.com/|[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018205, 여백=2px 4px, 곡률=3px,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정권교체에 의한 코로나대책 강화 신당)]]] || ||<|2> [[일본제일당|[[파일:일본 제일당 로고.png|width=50]]]] || [[사쿠라이 마코토]] ||<|2> 9,449[br]{{{-2 0.02% ([-])}}} ||<|2> 0석 ||<|2> 33,661[br]{{{-2 0.06% ([-])}}} ||<|2> 0석 ||<|2> 0석[br]{{{-2 0.0%}}} ||<|2> [-] ||<|2> 원외정당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a000e; font-size: .9em; word-break: keep-all" [[일본제일당|{{{#ffffff '''일본제일당'''}}}]]}}} || ||<|2> [[파일:Kunimori_logo.png|width=50]] || 혼마 나나 ||<|2> 29,306[br]{{{-2 0.05% ([-])}}} ||<|2> 0석 ||<|2> - ||<|2> - ||<|2> 0석[br]{{{-2 0.0%}}} ||<|2> [-] ||<|2> 원외정당 || || [[https://kunimoritou.jp/|[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0000ff, 여백=2px 4px, 곡률=3px,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신당 쿠니모리)]]] || ||<|2> [[파일:Shintou-nihonnokokoro_logo.png|width=50]] || 사와구치 유지 ||<|2> 4,552[br]{{{-2 0.01% ([-])}}} ||<|2> 0석 ||<|2> - ||<|2> - ||<|2> 0석[br]{{{-2 0.0%}}} ||<|2> [-] ||<|2> 원외정당 || || [[https://nippon-spirits-party.com/|[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f86464, 여백=2px 4px, 곡률=3px, 사이즈=.9em, 글자색=#000000, 내용=신당 일본의 마음)]]] || ||<|2> [[파일:Aichikyutou_logo.png|width=50]] || 지다 히카루 ||<|2> 5,350[br]{{{-2 0.01% ([-])}}} ||<|2> 0석 ||<|2> - ||<|2> - ||<|2> 0석[br]{{{-2 0.0%}}} ||<|2> [-] ||<|2> 원외정당 || || [[https://love-earth.site/|[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131466, 여백=2px 4px, 곡률=3px,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애지구당(愛地球党))]]] || ||<|2> [[파일:일본성공당 로고.svg|width=50]] || 가미데 게이이치 ||<|2> 1,630[br]{{{-2 0.00% ([-])}}} ||<|2> 0석 ||<|2> - ||<|2> - ||<|2> 0석[br]{{{-2 0.0%}}} ||<|2> [-] ||<|2> 원외정당 || || [[https://idm.run/|[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fddd45, 여백=2px 4px, 곡률=3px, 사이즈=.9em, 글자색=#222222, 내용=일본성공당)]]] || ||<|2> {{{#ffffff {{{+1 '''改新'''}}}}}} || 이시모토 히로유키 ||<|2> 2,750[br]{{{-2 0.00% ([-])}}} ||<|2> 0석 ||<|2> - ||<|2> - ||<|2> 0석[br]{{{-2 0.0%}}} ||<|2> [-] ||<|2> 원외정당 ||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a0a0a0, 여백=2px 4px, 곡률=3px,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개신당)] || ||<|2> {{{#ffffff {{{+1 '''改革'''}}}}}} || 쓰치다 마사미쓰 ||<|2> 3,698[br]{{{-2 0.01% ([-])}}} ||<|2> 0석 ||<|2> - ||<|2> - ||<|2> 0석[br]{{{-2 0.0%}}} ||<|2> [-] ||<|2> 원외정당 ||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b0b0b0, 여백=2px 4px, 곡률=3px,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개혁미래당)] || ||<-9> || || {{{#ffffff {{{+1 '''無'''}}}}}} || [include(틀:무소속)] || 2,269,168[br]{{{-2 3.95% ([-])}}} || 10석 || - || - || 10석[br]{{{-2 2.2%}}} || [{{{#blue ▼2}}}] || - || ||<-2> {{{#ffffff 합계}}} || 57,457,033 || 289석 || 57,465,981 || 176석 || 465석 || [{{{#red ▲4}}}] || 원내[br]8당 체제 || }}} ||<-465><:>'''{{{#ffffff 의석 구성}}}'''|| ||<-293><(>{{{#ffffff '''연립여당[* 자유민주당, 공명당.] - 293석 (63.0%)'''}}}||<-6> ||<-162><)>{{{#ffffff '''야당 - 162석 (34.8%)'''}}}|| ||<-465><:>{{{#ffffff 정수 : 465석}}}||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지역구 중의원 의원|지역구 중의원 의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지역구 중의원 의원)]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비례대표 중의원 의원|비례대표 중의원 의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비례대표 중의원 의원)] == 같은 날 열린 선거 결과 == === 최고재판소 재판관 국민심사 === ||<-5><:>[[최고재판소|{{{#ddc28c '''2021년 최고재판소 재판관 국민심사'''}}}]]|| ||<:>'''성명'''||<:>'''파면 찬성'''||<:>'''파면 반대'''||<:>'''파면 찬성률'''||<:>'''결과'''|| ||<:>[[미야마 다쿠야]](深山卓也)||<:>4,473,315표||<:>52,707,475표||<:>7.82%||<:>'''신임'''|| ||<:>[[미우라 마모루]](三浦守)||<:>3,813,025표||<:>53,367,781표||<:>6.67%||<:>'''신임'''|| ||<:>[[구사노 고이치]](草野耕一)||<:>3,821,616표||<:>53,359,181표||<:>6.68%||<:>'''신임'''|| ||<:>[[우가 가쓰야]](宇賀克也)||<:>3,911,314표||<:>53,269,474표||<:>6.84%||<:>'''신임'''|| ||<:>[[하야시 미치하루]](林道晴)||<:>4,397,748표||<:>52,783,073표||<:>7.69%||<:>'''신임'''|| ||<:>[[오카무라 가즈미]](岡村和美)||<:>4,149,807표||<:>53,031,006표||<:>7.26%||<:>'''신임'''|| ||<:>[[나가미네 야스마사]](長嶺安政)||<:>4,138,543표||<:>53,042,293표||<:>7.24%||<:>'''신임'''|| ||<:>[[야스나미 료스케]](安浪亮介)||<:>3,384,687표||<:>53,796,120표||<:>5.92%||<:>'''신임'''|| ||<:>[[와타나베 에리코]](渡邉惠理子)||<:>3,468,613표||<:>53,712,174표||<:>6.07%||<:>'''신임'''|| ||<:>[[오카 마사아키]](岡正晶)||<:>3,544,361표||<:>53,636,426표||<:>6.20%||<:>'''신임'''|| ||<:>[[사카이 도루]](堺徹)||<:>3,539,058표||<:>53,641,758표||<:>6.19%||<:>'''신임'''|| ||<-5><:>'''출처 : [[https://www.soumu.go.jp/main_content/000776985.pdf|第49回衆議院議員総選挙・最高裁判所裁判官国民審査(3.10.31執行)]]'''|| 대한민국의 [[대법관]]과 [[헌법재판관]] 역할을 겸하는 최고재판소 재판관은 임명 후 첫 중의원 선거에서 신임투표를 진행하여, 파면 반대표가 과반일 경우에는 파면된다. [[2021년]] [[6월 23일]] 최고재판소에서 [[부부동성]]이 합헌이라는 판결을 내린 것에 대한 반발 여론으로 인해 파면 재판관이 나올지에 대한 일부 언론의 관심이 있었지만, 모두 10% 미만의 파면 찬성률로 신임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 미야기현지사 선거 === ||<-2><:>[[미야기현|[[파일:미야기현 현기.svg|width=30]] {{{#ffffff '''제22대 미야기현지사 선거'''}}}]]|| ||<:>'''[[무라이 요시히로]](村井嘉浩)'''[br]{{{-2 (현직 / [include(틀:공명당 표시)] 추천)}}}||<:>'''조 준이치(長純一)'''[br]{{{-2 (신인)}}}|| ||<:>683,111표[br](64.7%)||<:>373,066표[br](35.3%)|| === 가와사키시장 선거 === ||<-3><:>[[가와사키시|[[파일:가와사키시 시기.svg|width=30]] {{{#ffffff '''2021년 가와사키시장 선거'''}}}]]|| ||<:>'''이치코 히로카즈(市古博一)'''[br]{{{-2 (신인 / [include(틀:일본 공산당 표시)] 추천)}}}||<:>'''가와무라 루미코(川村るみ子)'''[br]{{{-2 (신인)}}}||<:>'''후쿠다 노리히코(福田紀彦)'''[br]{{{-2 (현직)}}}|| ||<:>84,054표[br](12.2%)||<:>141,316표[br](20.4%)||<:>465,958표[br](67.4%)|| === 고베시장 선거 === ||<-5><:>[[고베시|[[파일:고베시 시기.svg|width=30]] {{{#ffffff '''2021년 고베시장 선거'''}}}]]|| ||<:>'''히사모토 기조(久元喜造)'''[br]{{{-2 (현직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표시)][include(틀:입헌민주당 표시)][include(틀:공명당 표시)][include(틀:국민민주당 표시)] 추천)}}}||<:>'''도키타 가오리(鴇田香織)'''[br]{{{-2 (신인)}}}||<:>'''오카자키 후미노리(岡崎史典)'''[br]{{{-2 (신인 / [include(틀:일본 공산당 표시)] 추천)}}}||<:>'''나카가와 조소(中川暢三)'''[br]{{{-2 (신인)}}}||<:>'''사카타니 조시키(酒谷敏生)'''[br]{{{-2 (신인)}}}|| ||<:>439,749표[br](67.7%)||<:>69,648표[br](10.7%)||<:>59,722표[br](9.2%)||<:>59,857표[br](9.2%)||<:>20,269표[br](3.1%)|| === 나가노시장 선거 === ||<-5><:>[[나가노시|[[파일:나가노시 시기.png|width=30]] {{{#ffffff '''2021년 나가노시장 선거'''}}}]]|| ||<:>'''유리에 유리에(百合ゆり恵)'''[br]{{{-2 (신인)}}}||<:>'''쓰지야 류이치로(土屋龍一郎)'''[br]{{{-2 (신인)}}}||<:>'''오기와라 겐지(荻原健司)'''[br]{{{-2 (신인)}}}||<:>'''기타무라 아쓰시(北村篤)'''[br]{{{-2 (신인)}}}||<:>'''나카자와 요시아키(中澤義明)'''[br]{{{-2 (신인)}}}|| ||<:>4,514표[br](2.4%)||<:>74,341표[br](40.2%)||<:>98,711표[br](53.4%)||<:>4,650표[br](2.5%)||<:>2,522표[br](1.4%)|| 현직 가토 히사오(加藤久雄) 시장의 정계은퇴로 신인끼리 치르는 선거가 되었다.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정당별 결과|정당별 결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정당별 결과)] == 여담 == * 이번 선거에서 당선된 최고령 의원은 자유민주당의 [[니카이 도시히로]] (82세, [[와카야마현 제3구]])이며 최연소 의원은 입헌민주당의 [[바바 유키]](馬場 雄基, 29세, 비례 도호쿠 블록 ([[후쿠시마현 제2구]]))다. * 이번 선거에서 최연소로 당선된 입헌민주당의 바바 유키 의원(1992년생)과 [[도쿄도 제13구|도쿄 13구]]에서 당선된 자유민주당의 츠치다 신 의원(土田 慎, 1990년생)은 '''첫 [[헤이세이 시대]] 출생이자 첫 1990년대 출생''' 당선자들이다. 2013년부터 2021년까지 최연소 중의원 의원이었던 [[스즈키 다카코]](1986년생)와 현직 최연소 참의원 의원 [[야스에 노부오]](1987년생)은 모두 [[쇼와 시대]] 끝자락에 태어났다. 이번 선거 최연소 후보였던 입헌민주당 이마이 루루(1996년생) 후보는 [[기후현 제5구]]에 출마해 자민당 세습 10선 의원인 [[후루야 게이지]]와 맞서 꽤 많은 득표를 얻었지만 낙선했고, 석패율 구제도 받지 못하고 낙선했다.[* 다만, 석패율은 바바 유키 의원이 83.3%, 이마이 루루 후보가 83.5%로 이마이 루루 후보가 약간이나마 더 높았는데 이는 입헌민주당이 도호쿠 블럭에서는 비례대표에서 전국 평균보다 꽤 많은 득표를 했기에 도호쿠의 후쿠시마에 출마했던 바바 유키 의원은 비례로 구제될 수 있었지만, 반대로 도카이 블록에서는 비례 득표율이 부진해버려서 도카이의 기후에서 출마한 이마이 루루 후보는 선전했음에도 비례로 구제될 수 없었던 것이 요인이다.] * 자민당이 승리한 선거지만 그 와중에도 초접전을 보인 선거구가 있었다. (1, 2위 간의 표차가 1000표 이내인 지역구만 서술할 것을 권장) 총 8곳으로 500표차 이내인 곳이 4개 선거구, 500~1,000표 정도 차이로 당락이 갈린 곳이 4곳이다. * [[니가타현 제6구]] - 입헌민주당 우메타니 마모루 49.6% VS 49.5% 자유민주당 다카토리 슈이치 - '''130표차''' * [[사가현 제1구]] - 입헌민주당 하라구치 가즈히로 50.0% VS 50.0% 자유민주당 이와타 가즈치카 - '''133표차''' * [[니가타현 제4구]] - 입헌민주당 [[기쿠타 마키코]] 50.1% VS 49.9% 자유민주당 쿠니사다 이사토 - '''238표차''' * [[나가사키현 제4구]] - 자유민주당 기타무라 세이고 42.1% VS 41.8% 입헌민주당 스에츠구 세이치 - '''391표차''' * [[미야기현 제2구]] - 입헌민주당 가마타 사유리 49.0% VS 48.7% 자유민주당 아키바 겐야 - '''571표차''' * [[오이타현 제2구]] - 자유민주당 [[에토 세이시로]] 50.2% VS 49.8% 입헌민주당 요시카와 하지메 - '''654표 차''' * [[홋카이도 제4구]] - 자유민주당 나카무라 히로유키 50.2% VS 49.8% 입헌민주당 오쓰키 쿠레하 '''696표차''' * [[미에현 제2구]] - 자유민주당 가와사키 히데토 50.2% VS 49.8% 입헌민주당 [[나카가와 마사하루(1950)|나카가와 마사하루]] - '''990표차''' * 18세, 19세의 투표율은 43.01%로, 지난 총선보다 2.52% 높아졌다.[[https://www3.nhk.or.jp/news/html/20211102/k10013332791000.html|#]] * 비례대표 투표로 입헌민주당과 국민민주당이 모두 약칭으로 사용한 '민주당'이라고 적힌 표가 적어도 약 200만표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https://www3.nhk.or.jp/news/html/20211114/k10013347421000.html|#]] 이에 입헌민주당과 국민민주당 지지자들의 혼란이 빚어지자, 관계자들은 사과하고 다음부턴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게 약칭을 조정하는 등의 논의를 하겠다고 밝혔다. * 여성 당선자 수는 45명으로, 총의석 465석의 10%를 밑도는 수치이다. 이는 2020년 한국에서 치러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 여성 당선자 비율인 19%(57/300)[* 일본 중의원으로 치면 88명 정도이다.]와 비교하면 절반 수준이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6.1, title=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선거 운동, version=19)] [[분류: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