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000> '''{{{#white 역대 백상예술대상}}}''' || || [[제57회 백상예술대상]] || → || '''제58회 백상예술대상''' || → || [[제59회 백상예술대상]] || [목차] == 개요 == [[2022년]] [[5월 6일]] 오후 7시 45분 [[일산서구]] [[KINTEX|킨텍스]] 제1전시장 4홀에서 개최된 [[백상예술대상]]. 올해 백상예술대상의 주제는 '다시, 봄'이다. K-콘텐츠의 글로벌 위상과 활약이 눈부셨던 만큼 이를 전 세계가 주목하고 본다는 의미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로 움츠러들었던 대중문화 예술계에 다시 봄이 찾아온다는 중의적인 의미를 담았다고 한다.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421&aid=0006020431|#1]] [[https://www.youtube.com/watch?v=zcosz8NW7Ss|#2]] 올해 시상식은 지난 2년 간 무관중으로 진행된 것과 달리 유관중으로 진행됐으며, MC는 [[신동엽]], [[수지(1994)|배수지]], [[박보검]]이 맡았다.[* 신동엽, 배수지, 박보검의 진행은 [[제54회 백상예술대상]] 시상식부터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제57회 백상예술대상]] 시상식은 박보검의 군 복무로 인해 신동엽과 배수지 2MC 체제로 진행되기도 했다. 올해 백상예술대상 진행을 앞두고 시상식 주최 측이 박보검에게 백상예술대상 MC 러브콜을 보냈고, 박보검이 이를 수락하면서 올해 시상식은 다시 3MC 체제로 진행될 예정이다.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437&aid=0000297511|#]]] 시상식을 2일 앞둔 5월 4일, 올해 시상자 라인업이 확정됐다. 작년 진행된 [[제57회 백상예술대상]]에서 수상의 영광을 안은 수상자들이 대다수 시상자로 참석하며, TV부문 대상과 영화부문 대상 역시 작년 수상자였던 [[유재석]]과 [[이준익]]이 각각 시상하는 것으로 확정됐다.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437&aid=0000297769|#]] 이번 시상식에서 TV부문 여자 최우수 연기상 후보였던 [[한소희]]는 불참했다. == 수상 결과 == === TV 부문 === ==== 대상 ==== [include(틀:영상 정렬, url=69ikxiC_k7M)] ||
{{{#ffffff '''작품'''}}} || {{{#ffffff '''방송사'''}}} || || '''[[오징어 게임|[[파일:오징어 게임 로고.svg|height=30&theme=light]]]]''' || '''[[넷플릭스|[[파일:넷플릭스 로고.svg|height=15]]]]''' || 올해 TV 대상은 <오징어 게임>이 수상했다.[* 오징어 게임의 제작진들과 주연 배우들이 함께 무대로 올랐으며, 시상자 [[유재석]]과 오징어 게임 주연 배우 [[이정재]]가 무대 위에서 격하게 포옹하는 장면이 인상적이었다.] [[제56회 백상예술대상]] 이후 2년 만에 작품 대상 수상이 나왔으며[* 2년 전에는 [[동백꽃 필 무렵]]이 작품 자체로 TV부문 대상을 수상했었다.], 역대 백상예술대상 최초 OTT 작품의 TV 부문 대상 수상이 이루어지게 됐다.[*A 심사결과, 심사위원 7인 전원 만장일치로 수상이 결정되었다.] ==== 드라마 작품상 ==== [include(틀:영상 정렬, url=Wr0pMniaAKk)] ||
{{{#ffffff '''작품'''}}} || {{{#ffffff '''방송사'''}}} || || '''[[D.P.(시즌 1)|[[파일:D.P. 로고_Dark.png|height=30&theme=light]][[파일:D.P. 로고.png|height=30&theme=dark]]]]'''[*A] || '''[[넷플릭스|[[파일:넷플릭스 로고.svg|height=15]]]]''' || || [[스물다섯 스물하나|[[파일:스물다섯 스물하나 로고.png|height=30&theme=light]][[파일:스물다섯 스물하나 로고 화이트.png|height=30&theme=dark]]]] || [[tvN|[[파일:tvN 로고.svg|height=15]]]] || || [[오징어 게임|{{{#!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fc8eac" [[파일:오징어 게임 로고.svg|height=30]]}}}]] || [[넷플릭스|[[파일:넷플릭스 로고.svg|height=15]]]] || || [[옷소매 붉은 끝동(드라마)|{{{#!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99434f" [[파일:옷소매 붉은 끝동 로고 화이트.png|height=30]]}}}]] || [[MBC|[[파일:MBC 로고.svg|height=15&theme=light]][[파일:MBC 로고 화이트.svg|height=15&theme=dark]]]] || || [[이렇게 된 이상 청와대로 간다(드라마)|[[파일:이렇게 된 이상 청와대로 간다(드라마) 로고.png|height=30]]]] || [[wavve|[[파일:wavve 로고.svg|height=15]]]] || ==== 예능 작품상 ==== [include(틀:영상 정렬, url=gRQ-VfsqpR8)] ||
{{{#ffffff '''작품'''}}} || {{{#ffffff '''방송사'''}}} || || [[골 때리는 그녀들|[[파일:골 때리는 그녀들 로고.png|height=30]]]] || [[SBS|[[파일:SBS 텍스트 로고.svg|height=15]]]] || || [[솔로지옥|{{{#!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e9006e" [[파일:솔로지옥 로고.png|height=30]]}}}]] || [[넷플릭스|[[파일:넷플릭스 로고.svg|height=15]]]] || || '''[[스트릿 우먼 파이터|[[파일:스트릿 우먼 파이터 로고.png|height=40]]]]''' || '''[[엠넷|[[파일:엠넷 로고.svg|height=15]]]]'''[* 심사결과, 심사위원 전원 만장일치는 아니지만 압도적 지지를 받으며 수상이 결정되었다.] || || [[유 퀴즈 온 더 블럭|[[파일:유퀴즈온더블럭.png|height=30]]]][*B 2년 연속 후보 노미네이트.] || [[tvN|[[파일:tvN 로고.svg|height=15]]]] || || [[환승연애|{{{#!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b12025" [[파일:환승연애 로고.png|height=30]]}}}]] || [[TVING|[[파일:TVING 로고(2020-2022).svg|height=15]]]] || ==== 교양 작품상 ==== [include(틀:영상 정렬, url=qWXsPGJTsbU)] ||
{{{#ffffff '''작품'''}}} || {{{#ffffff '''방송사'''}}} || || [[위대한 수업, 그레이트 마인즈|{{{#!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fff" [[파일:위대한-수업.svg|height=30]]}}}]] || [[EBS|[[파일:EBS 로고.svg|height=15]]]] || ||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파일: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 로고 (블랙).svg|height=30&theme=light]][[파일: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 로고 (화이트).svg|height=30&theme=dark]]]][*B] || [[넷플릭스|[[파일:넷플릭스 로고.svg|height=15]]]] || || '''[[다큐 인사이트|다큐 인사이트 - 국가대표]]'''[* 심사결과, [[다큐 인사이트|다큐 인사이트 - 국가대표]]가 심사위원 과반 득표를 받으며 수상이 결정되었다.] || '''[[KBS 1TV|[[파일:KBS 1TV 로고.svg|height=15]]]]''' || || [[요즘 육아 금쪽같은 내 새끼|{{{#!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0099da" [[파일:요즘 육아 금쪽같은 내 새끼 로고.png|height=30]]}}}]] || [[채널A|[[파일:채널A 로고.svg|height=30&theme=light]][[파일:채널A 로고 컬러 화이트.svg|height=30&theme=dark]]]] || || [[키스 더 유니버스]] || [[KBS 1TV|[[파일:KBS 1TV 로고.svg|height=15]]]] || ==== 여자 최우수 연기상 ==== [include(틀:영상 정렬, url=4hKtDK9mdv4)] ||
{{{#fff '''배우'''}}} || {{{#ffffff '''작품'''}}} || {{{#ffffff '''방송사'''}}} || || '''[[김태리]]'''[* 2019년에 이은 두 번째 후보 노미네이트였고, 올해 수상의 영광을 안게 되었다. 심사결과, [[김태리]]가 5표, [[김혜수]]가 1표, [[한소희]]가 1표를 받아 수상이 결정되었다.] || [[스물다섯 스물하나|[[파일:스물다섯 스물하나 로고.png|height=30&theme=light]][[파일:스물다섯 스물하나 로고 화이트.png|height=30&theme=dark]]]] || [[tvN|[[파일:tvN 로고.svg|height=15]]]] || || [[김혜수]][* 4년 연속 후보 노미네이트 & 1996년, 2016년 수상자.] || [[소년심판|{{{#!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000" [[파일:소년심판 로고.png|height=25]]}}}]] || [[넷플릭스|[[파일:넷플릭스 로고.svg|height=15]]]] || || [[박은빈]] || [[연모|[[파일:연모 로고.png|height=30&theme=light]][[파일:연모 로고 화이트.png|height=30&theme=dark]]]] || [[KBS 2TV|[[파일:KBS 2TV 로고.svg|height=15]]]] || || [[이세영(배우)|이세영]] || [[옷소매 붉은 끝동(드라마)|{{{#!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99434f" [[파일:옷소매 붉은 끝동 로고 화이트.png|height=30]]}}}]] || [[MBC|[[파일:MBC 로고.svg|height=15&theme=light]][[파일:MBC 로고 화이트.svg|height=15&theme=dark]]]] || || [[한소희]] || [[마이 네임|{{{#!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000" [[파일:mynamelogo.png|height=30]]}}}]] || [[넷플릭스|[[파일:넷플릭스 로고.svg|height=15]]]] || 당초 수상까지 유력하다고 꼽혔던 <[[원 더 우먼]]>의 [[이하늬]]가 후보에도 오르지 못하는 이변이 생기며 주목받았던 여자 최우수 연기상은 네티즌들 사이에서 [[김혜수]]에 대한 예측이 가장 많았다. [[김태리]]와 [[이세영(배우)|이세영]] 역시 다크호스일 거라는 예측도 뒤를 따랐다. 마침내 수상의 영광은 [[김태리]]에게 돌아갔다. ==== 남자 최우수 연기상 ==== [include(틀:영상 정렬, url=d0W7YzxqnQM)] ||
{{{#fff '''배우'''}}} || {{{#ffffff '''작품'''}}} || {{{#ffffff '''방송사'''}}} || || [[김남길]][* 2019년에 이은 두 번째 후보 노미네이트.] || [[악의 마음을 읽는 자들|[[파일:악의 마음을 읽는 자들 로고.png|height=30&theme=light]][[파일:악의 마음을 읽는 자들 로고 화이트.png|height=30&theme=dark]]]] || [[SBS|[[파일:SBS 텍스트 로고.svg|height=15]]]] || || [[이정재]][* 1995년 TV부문 신인상 수상 이후 27년 만에 백상 TV부문 후보 노미네이트.] || [[오징어 게임|{{{#!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fc8eac" [[파일:오징어 게임 로고.svg|height=30]]}}}]] || [[넷플릭스|[[파일:넷플릭스 로고.svg|height=15]]]] || || '''[[준호|이준호]]'''[* 심사결과, [[준호|이준호]]가 4표, [[이정재]]가 2표, [[김남길]]이 1표를 받아 수상이 결정되었다.] || [[옷소매 붉은 끝동(드라마)|{{{#!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99434f" [[파일:옷소매 붉은 끝동 로고 화이트.png|height=30]]}}}]] || [[MBC|[[파일:MBC 로고.svg|height=15&theme=light]][[파일:MBC 로고 화이트.svg|height=15&theme=dark]]]] || || [[임시완]] || [[트레이서(드라마)|[[파일:트레이서(드라마) 로고.png|height=30&theme=light]][[파일:트레이서(드라마) 로고 화이트.png|height=30&theme=dark]]]] || [[MBC|[[파일:MBC 로고.svg|height=15&theme=light]][[파일:MBC 로고 화이트.svg|height=15&theme=dark]]]] || || [[정해인]] || [[D.P.(시즌 1)|[[파일:D.P. 로고_Dark.png|height=30&theme=light]][[파일:D.P. 로고.png|height=30&theme=dark]]]] || [[넷플릭스|[[파일:넷플릭스 로고.svg|height=15]]]] || 남자 최우수 연기상은 당초 <[[오징어 게임]]>으로 국제적 인기를 얻은 [[이정재]]의 수상이 가장 유력하다는 네티즌들의 예측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준호|이준호]] 역시 다크호스라는 의견이 뒤를 따랐다. 마침내 네티즌들의 예상을 뒤엎고 [[준호|이준호]]가 수상의 영광을 안았다. ==== 여자 조연상 ==== [include(틀:영상 정렬, url=C0ju8slHkE4)] ||
{{{#fff '''배우'''}}} || {{{#ffffff '''작품'''}}} || {{{#ffffff '''방송사'''}}} || || [[강말금]] || [[서른, 아홉|[[파일:서른, 아홉 로고.png|height=30&theme=light]][[파일:서른, 아홉 로고 핑크.png|height=30&theme=dark]]]] || [[JTBC|[[파일:JTBC 로고.svg|height=20]]]] || || '''[[김신록]]'''[* 심사결과, [[김신록]]이 6표, [[장혜진(배우)|장혜진]]이 1표를 받아 수상이 결정되었다.] || [[지옥(시즌 1)|{{{#!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23363c" [[파일:지옥(드라마) 로고.png|height=30]]}}}]] || [[넷플릭스|[[파일:넷플릭스 로고.svg|height=15]]]] || || [[김주령]] || [[오징어 게임|{{{#!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fc8eac" [[파일:오징어 게임 로고.svg|height=30]]}}}]] || [[넷플릭스|[[파일:넷플릭스 로고.svg|height=15]]]] || || [[옥자연]] || [[마인(드라마)|{{{#!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3e3234" [[파일:마인_로고.png|height=30]]}}}]] || [[MBC|[[파일:MBC 로고.svg|height=15&theme=light]][[파일:MBC 로고 화이트.svg|height=15&theme=dark]]]] || || [[장혜진(배우)|장혜진]] || [[옷소매 붉은 끝동(드라마)|{{{#!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99434f" [[파일:옷소매 붉은 끝동 로고 화이트.png|height=30]]}}}]] || [[MBC|[[파일:MBC 로고.svg|height=15&theme=light]][[파일:MBC 로고 화이트.svg|height=15&theme=dark]]]] || 여자 조연상은 <[[지옥]]>에서 그야말로 신들린 연기를 펼친 [[김신록]]이 수상의 영광을 안았다. 여담으로 [[김신록]]은 이전에도 후보에 두 차례 오른 적이 있었는데 [* 2019년 젊은 연극상 / 2020년 연극부문 여자 최우수 연기상] 이번이 세 번째 도전으로 드디어 백상 트로피를 거머쥐게 되었다. ==== 남자 조연상 ==== [include(틀:영상 정렬, url=bv_VS7IJQ7s)] ||
{{{#fff '''배우'''}}} || {{{#ffffff '''작품'''}}} || {{{#ffffff '''방송사'''}}} || || [[이덕화]] || [[옷소매 붉은 끝동(드라마)|{{{#!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99434f" [[파일:옷소매 붉은 끝동 로고 화이트.png|height=30]]}}}]] || [[MBC|[[파일:MBC 로고.svg|height=15&theme=light]][[파일:MBC 로고 화이트.svg|height=15&theme=dark]]]] || || [[이학주(배우)|이학주]] || [[이렇게 된 이상 청와대로 간다(드라마)|[[파일:이렇게 된 이상 청와대로 간다(드라마) 로고.png|height=30]]]] || [[wavve|[[파일:wavve 로고.svg|height=15]]]] || || [[이현욱(배우)|이현욱]] || [[마인(드라마)|{{{#!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3e3234" [[파일:마인_로고.png|height=30]]}}}]] || [[MBC|[[파일:MBC 로고.svg|height=15&theme=light]][[파일:MBC 로고 화이트.svg|height=15&theme=dark]]]] || || '''[[조현철]]''''[* 심사결과, [[조현철]]이 5표, [[이현욱(배우)|이현욱]]이 2표를 받아 수상이 결정되었다.] || [[D.P.(시즌 1)|[[파일:D.P. 로고_Dark.png|height=30&theme=light]][[파일:D.P. 로고.png|height=30&theme=dark]]]] || [[넷플릭스|[[파일:넷플릭스 로고.svg|height=15]]]] || || [[허성태]] || [[오징어 게임|{{{#!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fc8eac" [[파일:오징어 게임 로고.svg|height=30]]}}}]] || [[넷플릭스|[[파일:넷플릭스 로고.svg|height=15]]]] || 남자 조연상은 당초 네티즌들 사이에서도 [[조현철]]의 수상이 가장 유력하다는 예측이 나왔고, [[이덕화]]가 다크호스일 거라는 의견이 뒤를 따랐다. 그리고 마침내 <[[D.P.]]>에서 어마무시한 연기력을 뽐낸 [[조현철]]이 수상의 영광을 안았다. ==== 여자 신인 연기상 ==== [include(틀:영상 정렬, url=ZEexiMWcRLk)] ||
{{{#fff '''배우'''}}} || {{{#ffffff '''작품'''}}} || {{{#ffffff '''방송사'''}}} || || '''[[김혜준]]'''[* 심사결과, [[김혜준]]이 4표, [[이유미(배우)|이유미]]가 3표를 받아 수상이 결정되었다.] || [[구경이|[[파일:구경이_로고.png.png|height=30&theme=light]][[파일:구경이 로고 화이트.webp|height=30&theme=dark]]]] || [[JTBC|[[파일:JTBC 로고.svg|height=20]]]] || || [[이연(배우)|이연]] || [[소년심판|{{{#!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000" [[파일:소년심판 로고.png|height=25]]}}}]] || [[넷플릭스|[[파일:넷플릭스 로고.svg|height=15]]]] || || [[이유미(배우)|이유미]] || [[지금 우리 학교는(드라마 시즌 1)|{{{#!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923C3C" [[파일:지금 우리 학교는 한글 로고.png|height=30]]}}}]] || [[넷플릭스|[[파일:넷플릭스 로고.svg|height=15]]]] || || [[정호연]] || [[오징어 게임|{{{#!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fc8eac" [[파일:오징어 게임 로고.svg|height=30]]}}}]] || [[넷플릭스|[[파일:넷플릭스 로고.svg|height=15]]]] || || [[조이현(1999)|조이현]] || [[지금 우리 학교는(드라마 시즌 1)|{{{#!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923C3C" [[파일:지금 우리 학교는 한글 로고.png|height=30]]}}}]] || [[넷플릭스|[[파일:넷플릭스 로고.svg|height=15]]]] || 여자 신인 연기상은 당초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오징어 게임]]>을 통해 국제적인 스타로 자리잡은 [[정호연]]의 수상이 거의 확정적이라는 의견이 대다수였다. 다크호스로는 <[[오징어 게임]]>과 <[[지금 우리 학교는(드라마)]]>에서 강한 인상을 남긴 [[이유미(배우)|이유미]]가 꼽혔다. 그러나 모두의 예상을 뒤엎고 [[김혜준]]이 수상자로 호명되며 수상의 영광을 안았다. ==== 남자 신인 연기상 ==== [include(틀:영상 정렬, url=urq81y9-iL0)] ||
{{{#fff '''배우'''}}} || {{{#ffffff '''작품'''}}} || {{{#ffffff '''방송사'''}}} || || '''[[구교환]]'''[*A] || [[D.P.(시즌 1)|[[파일:D.P. 로고_Dark.png|height=30&theme=light]][[파일:D.P. 로고.png|height=30&theme=dark]]]] || [[넷플릭스|[[파일:넷플릭스 로고.svg|height=15]]]] || || [[신승호]] || [[D.P.(시즌 1)|[[파일:D.P. 로고_Dark.png|height=30&theme=light]][[파일:D.P. 로고.png|height=30&theme=dark]]]] || [[넷플릭스|[[파일:넷플릭스 로고.svg|height=15]]]] || || [[유인수]] || [[지금 우리 학교는(드라마 시즌 1)|{{{#!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923C3C" [[파일:지금 우리 학교는 한글 로고.png|height=30]]}}}]] || [[넷플릭스|[[파일:넷플릭스 로고.svg|height=15]]]] || || [[최현욱]] || [[스물다섯 스물하나|[[파일:스물다섯 스물하나 로고.png|height=30&theme=light]][[파일:스물다섯 스물하나 로고 화이트.png|height=30&theme=dark]]]] || [[tvN|[[파일:tvN 로고.svg|height=15]]]] || || [[탕준상]] || [[라켓소년단|[[파일:라켓소년단 로고타입.svg|height=30&theme=light]][[파일:라켓소년단 흰색 로고타입.svg|height=30&theme=dark]]]] || [[SBS|[[파일:SBS 텍스트 로고.svg|height=15]]]] || 남자 신인 연기상은 당초 네티즌들 사이에서도 수상이 거의 확정적이라고 꼽혔던 [[구교환]]이 수상의 영광을 안았다. 2018년 영화 <[[꿈의 제인]]>으로 영화부문 신인상을 거머쥔데 이어 이번에는 TV부문 신인상을 거머쥐었다. ==== 여자 예능상 ==== [include(틀:영상 정렬, url=TpzNIPB8Amc)] * [[송은이]][* 2018년 수상자.] * [[이미주]] * [[이은지(코미디언)|이은지]] * '''[[주현영]]'''[* 48회 백상예술대상 여자 예능상 수상자인 [[박하선]] 이후에 10년 만에 다시 정극배우 출신 수상자가 나왔다. 심사결과, 심사위원 7인 전원 만장일치로 수상이 결정되었다.] * [[홍진경]] ==== 남자 예능상 ==== [include(틀:영상 정렬, url=D59Ilyb2Cxs)] * [[김구라]][* 2016년 수상자.] * [[문세윤]][* 4년 연속 후보 노미네이트.] * '''[[이용진]]'''[* 심사결과, [[이용진]]이 6표, [[문세윤]]이 1표를 받아 수상이 결정되었다.] * [[조세호]][*B] * [[KEY(SHINee)|키]] ==== 연출상 ==== [include(틀:영상 정렬, url=rzdT7dzo5Ho)] * [[윤성호(영화 감독)|윤성호]] - <[[이렇게 된 이상 청와대로 간다(드라마)|이렇게 된 이상 청와대로 간다]]> ([[wavve]]) * 이나정 - <[[마인(드라마)|마인]]> ([[tvN]]) * 정지인 - <[[옷소매 붉은 끝동(드라마)|옷소매 붉은 끝동]]> ([[MBC]]) * [[한준희(영화감독)|한준희]] - <[[D.P.]]> ([[넷플릭스]]) * '''[[황동혁]] - <[[오징어 게임]]> ([[넷플릭스]])'''[*A] ==== 극본상 ==== [include(틀:영상 정렬, url=avDo4YsniVQ)] * '''김민석 - <[[소년심판]]> ([[넷플릭스]])'''[* 심사결과, [[소년심판]]이 4표, [[이렇게 된 이상 청와대로 간다(드라마)|이렇게 된 이상 청와대로 간다]]가 3표를 받아 수상이 결정되었다.] * 김홍기·박누리·최성진·윤성호 - <[[이렇게 된 이상 청와대로 간다(드라마)|이렇게 된 이상 청와대로 간다]]> ([[wavve]]) * [[백미경]] - <[[마인(드라마)|마인]]> ([[tvN]]) * [[이나은(각본가)|이나은]] - <[[그 해 우리는]]> ([[SBS]]) * [[황동혁]] - <[[오징어 게임]]> ([[넷플릭스]]) ==== 예술상 ==== [include(틀:영상 정렬, url=i49r_q17DQA)] * 권태은 (음악) -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복면가왕]]>·<[[싱어게인2]]>·<[[풍류대장 - 힙한 소리꾼들의 전쟁|풍류대장]]>·<[[슈퍼밴드2]]> * 김화영 (촬영) - <[[옷소매 붉은 끝동(드라마)|옷소매 붉은 끝동]]> ([[MBC]]) * 엄영식·김다희 (애니메이션) - <[[유미의 세포들(드라마)|유미의 세포들]]> ([[tvN]]) * '''[[정재일]] (음악) - <[[오징어 게임]]> ([[넷플릭스]])'''[* 심사결과, [[정재일]] 음악감독이 4표, 채경선 미술감독이 2표, 권태은 음악감독이 1표를 받아 수상이 결정되었다.] * 채경선 (미술) - <[[오징어 게임]]> ([[넷플릭스]]) === 영화 부문 === ==== 대상 ==== [include(틀:영상 정렬, url=C7ps7rFM5kU)] * '''[[류승완]] - <[[모가디슈(영화)|모가디슈]]>'''[* 심사결과, 연출작 [[모가디슈(영화)|모가디슈]], 제작사 외유내강 대표이자 아내인 강혜정 대표와의 접전 끝에 수상자로 결정되었다.] ==== 작품상 ==== [include(틀:영상 정렬, url=CEB5QitehgQ)] * <[[기적(영화)|기적]]> * '''<[[모가디슈(영화)|모가디슈]]>'''[*A] * <[[미싱타는 여자들]]> * <[[연애 빠진 로맨스]]> * <[[킹메이커(한국 영화)|킹메이커]]> ==== 감독상 ==== [include(틀:영상 정렬, url=vVXkNYUpuj4)] * [[류승완]] - <[[모가디슈(영화)|모가디슈]]> * 박동훈 - <[[이상한 나라의 수학자]]> * '''[[변성현]] - <[[킹메이커(한국 영화)|킹메이커]]>''' * 이장훈 - <[[기적(영화)|기적]]> * [[정가영]] - <[[연애 빠진 로맨스]]> ==== 여자 최우수 연기상 ==== [include(틀:영상 정렬, url=1H_Y6EgOsWY)] * [[고두심]] - <[[빛나는 순간]]> * [[박소담]] - <[[특송]]> * '''[[이혜영(1962)|이혜영]] - <[[당신얼굴 앞에서]]>'''[* 이혜영은 제25회(1989년) 백상예술대상에서 영화 [[성공시대(영화)|성공시대]]로 영화부문 여자연기상을 받은 지 33년 만에 다시 이 상을 수상하게 됐다. 심사결과, [[이혜영(1962)|이혜영]]이 6표, [[전종서]]가 1표를 받아 수상이 결정되었다.] * [[윤아|임윤아]] - <[[기적(영화)|기적]]> * [[전종서]][* 2021년 수상자이자 2년 연속 후보 노미네이트.] - <[[연애 빠진 로맨스]]> ==== 남자 최우수 연기상 ==== [include(틀:영상 정렬, url=nRyBKGkTcs0)] * [[김윤석]] - <[[모가디슈(영화)|모가디슈]]> * '''[[설경구]] - <[[킹메이커(한국 영화)|킹메이커]]>'''[* 설경구는 2년 연속으로 후보 노미네이트 됐고, 올해 수상의 영광을 안게 됐다. 심사 결과, [[설경구]]가 4표, [[정우]]가 3표를 받아 수상이 결정되었다.] * [[이선균]] - <[[킹메이커(한국 영화)|킹메이커]]> * [[정우]] - <[[뜨거운 피]]> * [[최민식]] - <[[이상한 나라의 수학자]]> ==== 여자 조연상 ==== [include(틀:영상 정렬, url=6uGqsBmvCHA)] * [[김소진(배우)|김소진]] - <[[모가디슈(영화)|모가디슈]]> * [[김재화]] - <[[모가디슈(영화)|모가디슈]]> * [[심달기]] - <[[최선의 삶]]> * [[오나라(배우)|오나라]] - <[[장르만 로맨스]]> * '''[[이수경(1996)|이수경]] - <[[기적(영화)|기적]]>'''[*A] [[제54회 백상예술대상]]에서 영화부문 여자 조연상을 받은 이수경이 4년 만에 다시 수상했다. ==== 남자 조연상 ==== [include(틀:영상 정렬, url=0CN7fgV3MSM)] * [[구교환]][*B] - <[[모가디슈(영화)|모가디슈]]> * [[박용우]] - <[[유체이탈자]]> * [[성유빈]] - <[[장르만 로맨스]]> * '''[[조우진(배우)|조우진]] - <[[킹메이커(한국 영화)|킹메이커]]>'''[* 심사결과, [[조우진(배우)|조우진]]이 4표, [[박용우]], [[성유빈]], [[허준호]]가 각각 1표를 받아 수상이 결정되었다.] * [[허준호]][*B] - <[[모가디슈(영화)|모가디슈]]> ==== 여자 신인 연기상 ==== [include(틀:영상 정렬, url=Nav_n11ojwM)] * [[공승연]] - <[[혼자 사는 사람들]]> * [[방민아]] - <[[최선의 삶]]> * [[서현]] - <[[모럴센스(영화)|모럴센스]]> * '''[[이유미(배우)|이유미]] - <[[어른들은 몰라요(2021년 영화)|어른들은 몰라요]]>'''[* 심사결과, [[이유미(배우)|이유미]]가 6표, [[공승연]]이 1표를 받아 수상이 결정되었다.] * [[최성은]] - <[[십개월의 미래]]> ==== 남자 신인 연기상 ==== [include(틀:영상 정렬, url=pZttx5P8RDY)] * [[김동휘(배우)|김동휘]] - <[[이상한 나라의 수학자]]> * [[김재범]] - <[[인질(영화)|인질]]> * [[무진성]] - <[[장르만 로맨스]]> * '''[[이홍내]] - <[[뜨거운 피]]>'''[*A] * [[정재광]] - <[[낫아웃]]> ==== 각본상 ==== [include(틀:영상 정렬, url=hEvYAfuQtXk)] * 남궁선 - <[[십개월의 미래]]> * [[류승완]]·이기철 - <[[모가디슈(영화)|모가디슈]]> * [[변성현]]·김민수 - <[[킹메이커(한국 영화)|킹메이커]]> * 이용재 - <[[이상한 나라의 수학자]]> * '''[[정가영]]·왕혜지 - <[[연애 빠진 로맨스]]>'''[* 심사결과, [[이상한 나라의 수학자]]를 제치고 수상이 결정되었다.] ==== 신인 감독상 ==== [include(틀:영상 정렬, url=_RUy6W0IPXA)] * 김창주 - <[[발신제한]]> * 남궁선 - <[[십개월의 미래]]> * '''[[조은지(배우)|조은지]] - <[[장르만 로맨스]]>'''[* 심사결과, [[조은지(배우)|조은지]]가 5표, 홍성은이 2표를 받아 수상이 결정되었다.] * 필감성 - <[[인질(영화)|인질]]> * 홍성은 - <[[혼자 사는 사람들]]> ==== 예술상 ==== [include(틀:영상 정렬, url=023e4O1ebFQ)] * 강종익·서병철 (VFX) - <[[해적: 도깨비 깃발]]> * 조형래 (촬영) - <[[킹메이커(한국 영화)|킹메이커]]> * 최성겸 (무술) - <[[특송]]> * '''최영환 (촬영) - <[[모가디슈(영화)|모가디슈]]>'''[* 심사결과, 최영환 촬영감독이 5표, 조형래 촬영감독이 2표를 받아 수상이 결정되었다.] * 한아름 (미술) - <[[킹메이커(한국 영화)|킹메이커]]> === 연극 부문 === ==== 백상연극상 ==== [include(틀:영상 정렬, url=COm_dJpvDK8)] * '''작당모의 (극단) - <터키행진곡>''' * 하땅세 (극단) - <만 마디를 대신하는 말 한마디> * <로드킬 인 더 씨어터> (작품) - 극단 국립극단 * <추락 II> (작품) - 극단 프로젝트그룹 빠-다밥 * <홍평국전> (작품) - 극단 907 ==== 젊은연극상 ==== [include(틀:영상 정렬, url=kUV8EJLA32M)] * <오버더떼창: 문전본풀이> (작품) - 극단 판소리아지트 놀애박스 * '''김미란 (연출) - <이것은 어쩌면 실패담, 원래 제목은 인투디언노운>''' * 이오진 (작가, 연출) - <콜타임> * 이홍도 (작가) - <이홍도 자서전(나의 극작 인생)> * 한현주 (작가) - <집집: 하우스 소나타> ==== 여자 최우수 연기상 ==== [include(틀:영상 정렬, url=1XPC2ehr4rA)] * 강지은 - <이장> * 박은경 - <누룩의 시간> * 박지영 - <이것은 어쩌면 실패담, 원래 제목은 인투디언노운> * 신윤지 - <청년부에 미친 혜인이> * '''황순미 - <홍평국전>''' ==== 남자 최우수 연기상 ==== [include(틀:영상 정렬, url=6u5bArbSEC8)] * 권정훈 - <태양> * [[김동현(1975)|김동현]] - <타자기 치는 남자> * '''박완규 - <붉은 낙엽>''' * 윤상화 - <좋은 괴물> * [[정경호(1983)|정경호]] - <엔젤스 인 아메리카> === 특별상 === [include(틀:영상 정렬, url=EkPwX23C9NM)] * [[TikTok]] 인기상: [[김태리]], [[준호|이준호]] == 여담 == * 작품별 노미네이트 개수는 다음과 같다. * TV * 9개: <[[오징어 게임]]> * 7개: <[[옷소매 붉은 끝동(드라마)|옷소매 붉은 끝동]]> * 6개: <[[D.P.]]> * 4개: <[[마인(드라마)|마인]]>, <[[이렇게 된 이상 청와대로 간다(드라마)|이렇게 된 이상 청와대로 간다]]> * 3개: <[[소년심판]]>, <[[스물다섯 스물하나]]>, <[[지금 우리 학교는(드라마)|지금 우리 학교는]]> * 1개: <[[골 때리는 그녀들]]>, <[[구경이]]>, <[[그 해 우리는]]>, <그레이트 마인즈>,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 <다큐 인사이드 국가대표>, <[[라켓소년단]]>, <[[마이 네임]]>,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복면가왕]]>, <[[서른, 아홉]]>, <[[솔로지옥]]>, <[[슈퍼밴드2]]>, <[[스트릿 우먼 파이터]]>, <[[싱어게인2]]>, <[[악의 마음을 읽는 자들]]>, <[[연모]]>, <[[요즘 육아 금쪽같은 내 새끼]]>, <[[유 퀴즈 온 더 블럭]]>, <[[유미의 세포들(드라마)|유미의 세포들]]>, <[[지옥(드라마)|지옥]]>, <키스 더 유니버스>, <[[트레이서(드라마)|트레이서]]>, <[[풍류대장 - 힙한 소리꾼들의 전쟁|풍류대장]]>, <[[환승연애]]> * 영화 * 9개: <[[모가디슈(영화)|모가디슈]]> * 8개: <[[킹메이커(한국 영화)|킹메이커]]> * 4개: <[[기적(영화)|기적]]>, <[[연애 빠진 로맨스]]>, <[[이상한 나라의 수학자]]>, <[[장르만 로맨스]]> * 3개: <[[십개월의 미래]]> * 2개: <[[뜨거운 피]]>, <[[인질(영화)|인질]]>, <[[최선의 삶]]>, <[[특송]]>, <[[혼자 사는 사람들]]> * 1개: <[[낫아웃]]>, <[[당신얼굴 앞에서]]>, <[[모럴센스(영화)|모럴센스]]>, <[[미싱타는 여자들]]>, <[[발신제한]]>, <[[어른들은 몰라요(2021년 영화)|어른들은 몰라요]]>, <[[유체이탈자]]>, <[[해적: 도깨비 깃발]]> * TV 부문 방송사별 노미네이트 개수는 [[넷플릭스]] 24개, [[MBC]] 9개, [[tvN]] 8개, [[JTBC]]·[[SBS]] 5개, [[wavve]] 4개, [[한국방송공사|KBS]] 3개[* [[KBS 1TV|KBS1]] 2개, [[KBS 2TV|KBS2]] 1개.], [[TVING]] 2개, [[채널A]]·[[EBS]]·[[엠넷]] 1개다. * [[구교환]]은 <[[D.P.]]>로 TV부문 남자신인연기상과 <[[모가디슈(영화)|모가디슈]]>로 영화부문 남자조연상 후보에 [[이유미(배우)|이유미]]는 <[[지금 우리 학교는(드라마)|지금 우리 학교는]]>으로 TV부문 여자신인연기상과 <[[어른들은 몰라요(2021년 영화)|어른들은 몰라요]]>로 영화부문 여자신인연기상 후보에 오르면서 TV부문과 영화부문 2부문 후보에 모두 이름을 올리게 되었다. * TV 부문 최우수 연기상 후보도 흥미롭다. 우선 [[넷플릭스]] 드라마 출연 배우가 처음으로 최우수 연기상 후보에 올랐는데 무려 4명이 후보에 올랐다. 성공적인 넷플릭스 드라마가 많았으니 이는 어느 정도 예상된 결과라 할 수 있다. [[지상파]]도 다소 선전했는데 5명을 후보에 올렸다. 놀라운 점은 [[MBC]]가 55회 시상식부터 단 1명도 후보에 올리지 못하는 굴욕을 당하다가 올해에는 3명이나 후보에 올리는 기적을 일으켰다. 반면 [[tvN]]과 [[JTBC]] 입장에서는 부진한 성과를 냈는데, tvN은 작년만 해도 절반 이상인 6명을 후보에 올렸으나 올해에는 겨우 1명밖에 후보에 올리지 못했다[* 심지어 2021년 최대 기대작으로 촉망받았지만 [[지리산(tvN)/평가 및 흥행|역대급 혹평을 받고]] 잊혀진 [[지리산(tvN)|지리산]] 역시 후보에 한 명도 올리지 못했다!]. JTBC는 53회 시상식부터 적어도 1명은 후보에 올렸으나 올해에는 아무도 후보에 올리지 못했다. * 예능 부문 후보들도 꽤 흥미롭다. 예능 작품상 후보를 보면 <[[유 퀴즈 온 더 블럭]]>을 제외한 모든 작품들이 올해 처음으로 후보에 올랐고, 여자 예능상도 [[송은이]]를 제외한 모든 후보들이 올해 처음으로 후보에 이름을 올렸다. 남자 예능상 후보 중 [[김구라]]는 2016년 이후 두 번째로 이름을 올렸고, [[문세윤]]은 4년 연속, [[조세호]]는 2년 연속 노미네이트되었고, [[이용진]]과 [[KEY(SHINee)|키]]는 처음으로 후보에 올랐다. * 시상식을 앞두고 특별상 부문인 [[TikTok]] 인기상의 투표가 4월 22일 오전 11시 ~ 4월 29일 오후 6시[* [[대한민국 표준시|KST]] 기준.]까지 [[TikTok]] 앱에서 진행됐다. TV, 영화 부문 후보자들을 대상으로 총 68명의 후보를 선정했으며[* 남자 34명, 여자 34명.], 이들 중 최다 득표한 남, 녀 각 1인이 인기상을 수상하게 된다. 투표 결과 남자 1위는 약 101만표를 득표한 [[준호|이준호]][* 후보자 68명 중 전체 득표 1위.], 여자 1위는 약 75만표를 득표한 [[김태리]]가 차지했다.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109&aid=0004603746|#]] * 시상식이 진행된 이후 5월 9일, 백상예술대상 중계사인 [[JTBC]]가 TV, 영화 부문의 일부 수상 결과를 공개했다.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437&aid=0000298201|TV 부문]]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437&aid=0000298226|영화 부문]] [[분류:백상예술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