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C0000><-5><:> {{{#E5D85C ''' 역대 [[베니스 국제 영화제|{{{#E5D85C 베니스 영화제}}}]] ''' }}} || ||<#FFFFFF><-5><:> [[파일:베니스 국제 영화제 로고.svg|width=200]] || ||<#0C0000><-5><:> || || ''' [[제77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제77회]] [br] ([[2020년]]) ''' || {{{+1 → }}} || ''' 제78회 [br] ([[2021년]]) ''' || {{{+1 → }}} || ''' [[제79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제79회]] [br] ([[2022년]]) ''' || ||<#0C0000><-5> || [include(틀:베니스 국제 영화제)]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280x720_festval_venezia_78_white.png|width=100]]}}} '''{{{+2 {{{#fff 2021년 제78회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venezia78long.jpg|width=100%]]}}}|| ||<-2><#0C0000><:>'''{{{#e5d85c ▲ 공식 포스터}}}'''[* 이탈리아의 일러스트레이터 로렌조 마토티가 제작한 공식 포스터. 4년 연속으로 그의 포스터 디자인이 적용되고 있다.] || ||<#0C0000><:>'''{{{#e5d85c 개최기간}}}'''||<#ffffff,#212121>[[2021년]] [[9월 1일]] ~ [[9월 11일]] || ||<#0C0000><:>'''{{{#e5d85c 개최장소}}}'''||<#ffffff,#212121>[[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0]] [[이탈리아]] [[베네치아]] 리도 섬[br]팔라조 델 시네마 Palazzo del Cinema || ||<#0C0000><:>'''{{{#e5d85c 호스트}}}'''||<#ffffff,#212121>'''세레나 로시''' || ||<#0C0000><:>'''{{{#e5d85c 심사위원장}}}'''||<#ffffff,#212121>'''[[봉준호]]''' || ||<#0C0000><:>'''{{{#e5d85c 개막작}}}'''||<#ffffff,#212121>'''《[[패러렐 마더스]]》''' || ||<#0C0000><:>'''{{{#e5d85c 폐막작}}}'''||<#ffffff,#212121>'''《히든 차일드》''' || ||<#0C0000><:>'''{{{#e5d85c 황금사자상}}}'''||<#ffffff,#212121>'''《[[레벤느망]]》''' || ||<#0C0000><:>'''{{{#e5d85c 공식 홈페이지}}}'''||<#ffffff,#212121>[[https://www.labiennale.org/en/cinema/2021|공식 홈페이지]] || [목차] == 개요 == [[2021년]]에 열리는 [[이탈리아]] [[베네치아]] 리도 섬의 세계적인 영화제. 제78회 영화제는 [[2021년]] [[9월 1일]]부터 [[9월 11일]]까지 개최되었다. 전년도 제77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도 [[코로나바이러스-19]]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약세였던 점을 감안해 개최를 취소하지 않고 [[사회적 거리두기]]를 지키며 소규모로 개최되었고 코로나 확진추세가 다소 완화된 이번 베니스는 이변없이 조금 더 큰 규모로 개최되었다. 베니스의 현재 성향이 할리우드 영화제나 다름없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가운데, 코로나로 인해 급격하게 침체된 영화 시장 속에서 개봉하지 못하거나 제작에 어려움을 겪었던 많은 영화들이 이번 베니스에서 공개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2020년 베니스 영화제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 19]]로 인해 라이브 스트리밍으로 진행된 것처럼 이번 영화제도 마찬가지로 온라인 프리미어가 진행되었다. == 상세 == 《[[기생충(영화)|기생충]]》으로 [[칸 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을 수상하고 [[아카데미 작품상]]까지 휩쓴 [[봉준호]] 감독이 [[1월 15일]], 한국인 최초로 베니스 영화제의 심사위원장으로 위촉되었다. 세계 3대 영화제의 경쟁 부문 심사위원장으로 한국인이 위촉된 것은 이번이 최초이다. 《[[인생은 아름다워]]》라는 작품으로 유명한 이탈리아의 [[배우]]이자 [[감독]]인 [[로베르토 베니니]]와 미국의 배우 [[제이미 리 커티스]]가 제78회 베니스의 공로상 격인 명예 황금사자상(Leone d'oro alla carriera)을 수여받는다. [[드니 빌뇌브]] 감독의 SF 블록버스터 《'''[[듄(2021)|듄]]'''》이 비경쟁 부문에 공식 초청되었다. [[페드로 알모도바르]] 감독의 신작 《[[패러렐 마더스]]》가 개막작으로 선정되고 경쟁 부문에 초청되었다. [[https://www.labiennale.org/en/news/madres-paralelas-pedro-almod%C3%B3var-open-78th-venice-film-festival|#]] [[2021년]] [[7월 26일]] 베니스 영화제 출품 작품의 리스트가 공개되었다. == 심사위원 == === 경쟁 부문(Venezia 78)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ongjoonhovenice2021.jpg|width=100%]]}}} || ||<#0C0000> '''{{{#e5d85c 2021년 제78회 베니스 영화제 심사위원장 [br] ([[봉준호|{{{#e5d85c 봉준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nternationaljuriesvenice2021.jpg|width=100%]]}}} || ||<#0C0000> '''{{{#e5d85c 2021년 제78회 베니스 영화제 심사위원}}}''' || * '''[[봉준호]] : 심사위원장.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 및 영화 각본가, 제작자'''[* 한국인이 세계 3대 영화제 경쟁 부문 심사위원장에 위촉 된 것은 봉준호가 '''최초'''다.] * 사베리오 코스탄조 : 이탈리아의 영화 감독 및 각본가[* [[애덤 드라이버]]와 알바 로어바허가 각자 같은 작품에서 볼피컵 [[베니스 국제 영화제/볼피컵 남우주연상|남우주연상]]과 [[베니스 국제 영화제/볼피컵 여우주연상|여우주연상]]을 받았던 《헝그리 하트》의 감독.] * [[비르지니 에피라]] : [[벨기에]]의 배우 * 신시아 어리보 : [[영국]]의 배우 * 사라 개던 : [[캐나다]]의 배우 * 알렉산더 나나우 : [[루마니아]]와 [[독일]]의 영화 감독 * [[클로이 자오]] : [[중국]]의 영화 감독 및 영화 제작자[* [[제77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전년도]]에 《[[노매드랜드]]》로 [[황금사자상]]을 수상했으며, 같은 작품으로 [[아카데미 작품상]]과 [[아카데미 감독상]]을 받았다.] === 오리종티(Orizzonti) 부문[* 해당 부문은 [[칸 영화제]]의 주목할 만한 시선, [[베를린 영화제]]의 파노라마 섹션과 같은 부문이다.] === * '''야스밀라 즈바니치 : 심사위원장.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영화 감독'''[* [[스레브레니차 학살]]사건을 다룬 영화 《[[쿠오바디스, 아이다]]》를 연출해 [[제77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2020년 베니스 영화제]] 경쟁 부문에 초청 받은 바 있다. 참고로 해당 작품은 다음 해 [[아카데미 국제영화상]] 후보에도 올랐다.] * 모나 파스트볼드 : [[노르웨이]]의 영화 감독 및 각본가[* [[2020년]] 베니스 영화제에 출품한 《[[다가올 세상(2020)]]》을 연출했다.] * 샤흐람 모크리 : [[이란]]의 영화 감독 및 영화 평론가. * 조쉬 시겔 : [[MoMA]]의 영화 부서의 큐레이터인 [[미국]]의 예술가 * 나디아 테라노바 : [[이탈리아]]의 작가 === 루이지 데 라우렌티스 부문[* 해당 부문은 연출 데뷔작에 수상하는 부문이다. [[칸 영화제]]의 황금카메라상과 같은 부문.] === * 우베르토 파솔리니 : [[이탈리아]]의 영화 감독 * 마르틴 슈바이크호퍼 : [[오스트리아]]의 영화 평론가 및 영화제 디렉터 * 아말리아 울만 : [[아르헨티나]]의 예술가 및 영화 감독 == 공식부문 상영작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280x720_festval_venezia_78.png|width=100%]]}}} || === 경쟁부문 === ||
{{{#e5d85c '''제목'''}}} || {{{#e5d85c '''원제'''}}} || {{{#e5d85c '''감독'''}}} || {{{#e5d85c '''국가'''}}} || || 아메리카 라티나 || ''America Latina'' || 다미아노 디노첸초 & 파블로 디노첸초[* 《배드 테일즈》로 2020년 [[베를린 영화제]] 각본상을 수상했다.]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이탈리아]] || || 일 부코 || ''Il buco'' || [[미켈란젤로 프라마르티노]]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이탈리아]],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독일]],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The Box || ''La Caja'' || 로렌소 비가스[* 2015년 《먼 곳으로부터》로 [[황금사자상]]을 수상했다.] ||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25]] [[멕시코]] || || [[카드 카운터]] || ''The Card Counter'' || [[폴 슈레이더]]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크레이지 컴페티션]] || ''Competencia oficial'' || 가스톤 두프라트 & 마리아노 콘 ||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5]] [[스페인]] || || [[레벤느망]] || ''L'Événement'' || 오드리 디완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신의 손(2021)|신의 손]] || ''È stata la mano di Dio'' || [[파올로 소렌티노]]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이탈리아]] || || 프릭스 아웃 || ''Freaks Out'' || 가브리엘 마이네티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이탈리아]],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25]] [[벨기에]] || || 로스트 일루젼 || ''Illusions perdues'' || 자비에 지아놀리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볼코노고프 대위 탈출하다]] || ''Kapitan Volkonogov bežal'' || 나탈리야 메르쿠노바 & 알렉세이 추코프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5]] [[러시아]],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width=25]] [[에스토니아]] || || [[로스트 도터]] || ''The Lost Daughter'' || [[매기 질렌할]] || [[파일:이스라엘 국기.svg|width=25]] [[이스라엘]],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패러렐 마더스]][*개막작] || ''Madres Paralelas'' || [[페드로 알모도바르]] ||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5]] [[스페인]] || || [[모나리자와 블러드 문]][* 한국 배우 [[전종서]]의 첫 할리우드 진출작이며, 전종서는 이 작품으로 데뷔 4년 만에 [[칸 영화제]]와 [[베니스 영화제]]에 둘 다 초청을 받은 한국 배우라는 기록을 세웠지만, 넷플릭스 리메이크 드라마 《[[종이의 집(한국 드라마)|종이의 집]]》을 촬영하기 위해 영화제에는 최종적으로 불참했다. [[https://www.news1.kr/articles/?4398770|#]]] || ''Mona Lisa and the Blood Moon'' || 애나 릴리 아미푸르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온 더 잡 2: 더 미싱 에이트 [* 온 더 잡이라는 2013년 스릴러 영화의 후속작.] || ''On the Job 2 : The Missing 8'' || 에릭 마티 || [[파일:필리핀 국기.svg|width=25]] [[필리핀]] || || [[파워 오브 도그]][* 토마스 세비지의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영화이며, [[2021년]] [[12월 1일]] [[넷플릭스]]에서 개봉했다.] || ''The Power of the Dog'' || [[제인 캠피온]] ||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영국]], [[파일:호주 국기.svg|width=25]] [[호주]],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The King of Laughter || ''Qui rido io'' || 마리오 마르토네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5]] [[스페인]] || || [[스펜서(영화)|스펜서]][* [[다이애나 스펜서]]의 전기를 다룬 영화로, [[크리스틴 스튜어트]]가 주연을 맡았다.] || ''Spencer'' || [[파블로 라라인]] || [[파일:칠레 국기.svg|width=25]] [[칠레]],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영국]],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썬다운]] || ''Sundown'' || 미첼 프랑코[* <[[뉴 오더(영화)|뉴 오더]]>로 2020년 베니스 국제 영화제 [[베니스 국제 영화제/심사위원대상|심사위원대상]]을 수상했다.] ||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25]] [[멕시코]] || || Another World[* 《아버지의 초상》에서 [[칸 영화제/남우주연상|칸 영화제 남우주연상]]을 수상하고, [[2021년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 수상작인 《[[티탄(영화)|티탄]]》에 출연한 배우 [[뱅상 랭동]]의 출연작] || ''Un autre monde'' || 스테판 브리제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리플렉션 || ''Відблиск'' || 발렌틴 바스야노비치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5]] [[우크라이나]] || || Leave No Traces || ''Żeby nie było śladów'' || 얀 P. 마투쉰스키 || [[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25]] [[폴란드]],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파일:체코 국기.svg|width=25]] [[체코]] || === 비경쟁 부문 === ||
{{{#e5d85c '''제목'''}}} || {{{#e5d85c '''원제'''}}} || {{{#e5d85c '''감독'''}}} || {{{#e5d85c '''국가'''}}} || ||<-4> {{{#e5d85c 픽션 영화}}} || || 아리아페르마 || ''Ariaferma'' || 레오나르도 디 콘스탄조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이탈리아]] || || 히든 차일드[*폐막작] || ''Il Bambino Nascosto'' || 로베르토 안도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이탈리아]] || || Les Choses humaines || ''Les Choses humaines '' || 이방 아탈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듄(2021)|듄]] || ''Dune'' || [[드니 빌뇌브]]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캐나다]], [[파일:헝가리 국기.svg|width=25]] [[헝가리]],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영국]],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할로윈 킬즈]][* [[할로윈 시리즈]]의 리부트인 [[할로윈(2018)]]의 두 번째 속편] || ''Halloween Kills'' || [[데이빗 고든 그린]]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라스트 듀얼: 최후의 결투]] || ''The Last Duel'' || [[리들리 스콧]] ||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영국]],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올드 헨리 || ''Old Henry'' || Potsy Ponciroli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La scuola cattolica || ''La scuola cattolica'' || 스테파노 모르디니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이탈리아]] || || [[라스트 나잇 인 소호]] || ''Last Night in Soho'' || [[에드가 라이트]] ||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영국]],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4> {{{#e5d85c 논픽션 영화}}} || || 데앙드레#데앙드레 || ''Deandré#Deandré - Storia di un impiegato'' || 로베르타 레나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이탈리아]] || || 장고 & 장고 || ''Django & Django'' || 루카 레아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이탈리아]] || || Ezio Bosso - Le cose che restano || ''Ezio Bosso - Le cose che restano'' || 죠르지오 베르델리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이탈리아]] || || Hallelujah: Leonard Cohen, A Journey, A Song || ''Hallelujah: Leonard Cohen, A Journey, A Song'' || 대니얼 겔러 & 데이나 골드핀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Life Of Crime 1984-2020 || ''Life Of Crime 1984-2020'' || 존 앨퍼트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침묵의 공화국 || ''Republic of Silence'' || 디아나 엘 제이루디 ||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독일]],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파일:시리아 국기.svg|width=25]] [[시리아]] || || Trenches || ''Tranchées'' || 루 뷔로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황혼으로의 여행 || ''Viaggio nel crepuscolo'' || 아우구스토 콘텐토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이탈리아]] || || 비커밍 [[레드 제플린]][* 8월 3일 비경쟁부문 추가 진출이 발표되었다. [[https://www.labiennale.org/en/news/becoming-led-zeppelin-bernard-macmahon-screen-out-comp|#]]] || ''Becoming Led Zeppelin'' || 버나드 맥마혼 ||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영국]] || || 엔니오 : 더 마에스트로[* 2020년에 세상을 떠났던 세계적인 영화음악의 거장 [[엔니오 모리코네]]에 관한 다큐멘터리로, 감독 자신이 엔니오 모리코네를 인터뷰하는 내용과, 엔니오 모리코네와 함께 작업했던 [[다리오 아르젠토]], [[쿠엔틴 타란티노]],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등 다양한 영화감독과 그와 같은 영화음악 작곡가인 [[한스 짐머]]등이 참여하여 인터뷰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져있다. 감독인 [[주세페 토르나토레]]도 엔니오 모리코네와 30년을 함께 작업한 감독이다. 8월 12일 비경쟁부문 추가 초청이 발표된 다큐멘터리 작품.[[https://www.labiennale.org/en/news/ennio-giuseppe-tornatore-screen-out-competition-78th-venice-film-festival|#]]] || ''Ennio'' || [[주세페 토르나토레]]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이탈리아]] || ||<-4> {{{#e5d85c 단편 영화}}} || || 랑야부능류 || ''良夜不能留'' || [[차이밍량]] || [[파일:대만 국기.svg|width=25]] [[대만]] || || Plastic Semiotic || ''Plastic Semiotic'' || 라두 유데 [* 재수 없는 포르노 미친 섹스로 2021년 베를린 영화제 [[황금곰상]]을 수상했다] || [[파일:루마니아 국기.svg|width=25]] [[루마니아]] || || 새드 필름 || ''Sad Film'' || ''바실리''[* [[2021년 미얀마 쿠데타]]로 인한 군부의 탄압을 피하기 위해 필명으로 출품했다.] || [[파일:미얀마 국기.svg|width=25]] [[미얀마]],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25]] [[네덜란드]] || ||<-4> {{{#e5d85c 드라마 시리즈}}} || || [[결혼의 풍경]][* [[잉마르 베리만]] 감독의 1973년작 동명 영화를 [[HBO]]에서 [[오스카 아이작]], [[제시카 차스테인]] 주연으로 드라마화한 작품.] || ''Scenes from a Marriage'' || 하가이 리바이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4> {{{#e5d85c 특별 상영}}} || || [[베르가모]]에서의 7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 19]] 초기 대유행이 시작된 [[2020년]] 이탈리아 도시들 중에도 코로나로 특히나 많은 사망자가 발생했던 도시, [[베르가모]]의 모습을 담은 다큐멘터리 작품.] || ''Le 7 giornate di Bergamo,'' || 시모나 벤투라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이탈리아]] || || [[베니스 국제 영화제]]: 코로나 시대의 시네마 || ''La Biennale di Venezia: Il cinema al tempo del COVID'' || 안드레아 세그레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이탈리아]] || === 오리종티 부문 === ||
{{{#e5d85c '''제목'''}}} || {{{#e5d85c '''원제'''}}} || {{{#e5d85c '''감독'''}}} || {{{#e5d85c '''국가'''}}} || ||<-4> {{{#e5d85c 장편 부문}}} || || 아틀란티스 || ''Atlantide'' || 유리 안카리니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이탈리아]],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파일:카타르 국기.svg|width=25]] [[카타르]] || || Miracol || ''Miracol'' || 보그단 조지 아페트리 || [[파일:루마니아 국기.svg|width=25]] [[루마니아]], [[파일:체코 국기.svg|width=25]] [[체코]], [[파일:라트비아 국기.svg|width=25]] [[라트비아]] || || Pilgrims || ''Piligrimai'' || 라우리나스 바레이시아 ||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width=25]] [[리투아니아]] || || Il paradiso del pavone || ''Il paradiso del pavone'' || 라우라 비스푸리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이탈리아]],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독일]] || || [[폭포(영화)|폭포]] || ''瀑布'' || 청몽홍 || [[파일:대만 국기.svg|width=25]] [[대만]] || || El Hoyo en la Cerca || ''El Hoyo en la Cerca'' || 호아킨 델 파소 ||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25]] [[멕시코]], [[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25]] [[폴란드]] || || 아미라 || ''Amira'' || 모하메드 디아브 || [[파일:이집트 국기.svg|width=25]] [[이집트]], [[파일:요르단 국기.svg|width=25]] [[요르단]],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width=25]] [[아랍에미리트]],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width=25]] [[사우디아라비아]] || || À Plein Temps || ''À Plein Temps'' || 에릭 그라벨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107 Mothers || ''Cenzorka'' || 페테르 케레케스 ||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width=25]] [[슬로바키아]], [[파일:체코 국기.svg|width=25]] [[체코]],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5]] [[우크라이나]] || || Vera Dreams of the Sea || ''Vera Andrron Detin'' || 칼트리나 크라스니키 || [[파일:코소보 국기.svg|width=25]] [[코소보]], [[파일:알바니아 국기.svg|width=25]] [[알바니아]],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width=25]] [[북마케도니아]] || || Les Promesses || ''Les Promesses'' || 토마스 크루이토프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White Building || ''Bodeng Sar'' || 카빅 능 || [[파일:캄보디아 국기.svg|width=25]] [[캄보디아]],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파일:중국 국기.svg|width=25]] [[중국]], [[파일:카타르 국기.svg|width=25]] [[카타르]] || || Anatomy of Time || ''Wela'' || 자크라왈 닐타르몽 || [[파일:태국 국기.svg|width=25]] [[태국]],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25]] [[네덜란드]], [[파일:싱가포르 국기.svg|width=25]] [[싱가포르]],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독일]] || || El Otro Tom || ''El Otro Tom'' || 로드리고 플라 ||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25]] [[멕시코]],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El Gran Movimiento || ''El Gran Movimiento'' || 키로 루소 || [[파일:볼리비아 국기.svg|width=25]] [[볼리비아]],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25]] [[스위스]], [[파일:카타르 국기.svg|width=25]] [[카타르]] || || Once Upon a Time in Calcutta || ''Once Upon a Time in Calcutta'' || 아딧야비크람 센굽타 || [[파일:인도 국기.svg|width=25]] [[인도]],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파일:노르웨이 국기.svg|width=25]] [[노르웨이]] || || Rhino || ''Nosorih'' || 올레크 센초프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5]] [[우크라이나]], [[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25]] [[폴란드]],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독일]] || || True Things About Me || ''True Things About Me'' || 해리 워틀리프 ||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영국]] || || [[견왕: 이누오]] || ''犬王'' || [[유아사 마사아키]]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일본]] || ||<-4> {{{#e5d85c 단편 부문 - 경쟁}}} || ||<-2> ''Descente'' || Mehdi Fikri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2> ''Don't Get Too Comfortable'' || Shaima Al-Tamimi || [[파일:예멘 국기.svg|width=25]] [[예멘]],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width=25]] [[아랍에미리트]],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25]] [[네덜란드]] || ||<-2> ''Fall of the Ibis King'' || Josh O'Caoimh & Mikai Geronimo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5]] [[아일랜드]] || ||<-2> ''La Fée des Roberts'' || Léahn Vivier-Chapas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2> ''Heltzear'' || 미켈 구레아 ||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5]] [[스페인]] || ||<-2> ''Los huesos'' || Cristobal León & Joaquín Cociña || [[파일:칠레 국기.svg|width=25]] [[칠레]] || ||<-2> ''Kanoyama'' || 모미 야마시타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일본]] || ||<-2> ''Mulāqāt'' || Seemab Gul || [[파일:파키스탄 국기.svg|width=25]] [[파키스탄]] || ||<-2> ''Pid pokati mai'' || Sorayos Prapapan || [[파일:태국 국기.svg|width=25]] [[태국]] || ||<-2> ''Techno, Mama'' || Saulius Baradinskas ||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width=25]] [[리투아니아]] || ||<-2> ''Tǒu shēng, jīdàn, zuòyè běn'' || 뤄 런샤오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5]] [[중국]] || ||<-2> ''Il turno'' || Chiara Marotta & Loris Giuseppe Nese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이탈리아]] || ||<-4> {{{#e5d85c 단편 부문 - 비경쟁}}} || ||<-2> ''Ato'' || Bárbara Paz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5]] [[브라질]] || ||<-2> ''Preghiera della sera (Diario di una passeggiata)'' || 쥬세뻬 피치오니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이탈리아]] || === 오리종티 엑스트라 부문 === ||
{{{#e5d85c '''제목'''}}} || {{{#e5d85c '''원제'''}}} || {{{#e5d85c '''감독'''}}} || {{{#e5d85c '''국가'''}}} || ||<-4> {{{#e5d85c 오리종티 엑스트라}}}[* 해당 부문에서의 최우수작품상은 2021년에 새로 만들어진 '''아르마니 뷰티 관객상'''이다.] || || 7명의 포로 || ''7 prisioneros'' || Alexandre Moratto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5]] [[브라질]] || || 코스타 브라바, 레바논 || ''Costa Brava, Leban'' || Mounia Akl || [[파일:레바논 국기.svg|width=25]] [[레바논]],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5]] [[스페인]],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5]] [[스웨덴]],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25]] [[덴마크]], [[파일:노르웨이 국기.svg|width=25]] [[노르웨이]] || || 랜드 오브 드림 || ''Land Of Dreams'' || Shirin Neshat & Shoja Azari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독일]], [[파일:카타르 국기.svg|width=25]] [[카타르]] || ||<-2> ''La macchina delle immagini di Alfredo C.'' || Roland Sejko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이탈리아]] || ||<-2> ''Mama, ja doma'' || Vladimir Bitokov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5]] [[러시아]] || || My Night || ''Ma Nuit'' || Antoinette Boulat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25]] [[벨기에]] || ||<-2> ''La ragazza ha volato'' || Wilma Labate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이탈리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width=25]] [[슬로베니아]] || || [[그 남자는 타이타닉을 보고 싶지 않았다]] || ''Sokea mies, joka ei halunnut nähdä Titanicia'' || Teemu Nikki || [[파일:핀란드 국기.svg|width=25]] [[핀란드]],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5]] [[스웨덴]] || === 베네치아 클래식 === ||
{{{#e5d85c '''제목'''}}} || {{{#e5d85c '''원제'''}}} || {{{#e5d85c '''감독'''}}} || {{{#e5d85c '''국가'''}}} || == 수상 == === 공식부문 === '''<경쟁부문>''' * '''[[베니스 국제 영화제/황금사자상|황금사자상]] : 오드리 디완 - 《[[레벤느망|레벤느망 (L'Événement)]]》''' * '''[[베니스 국제 영화제/심사위원대상|은사자상(심사위원대상)]] : [[파올로 소렌티노]] - 《[[신의 손(2021)|신의 손 (È stata la mano di Dio)]]》''' * '''[[베니스 국제 영화제/은사자상|은사자상(감독상)]] : [[제인 캠피온]] - 《[[파워 오브 도그|파워 오브 도그 (The Power of the Dog)]]》''' * '''[[베니스 국제 영화제/골든오셀라상|각본상]] : [[매기 질렌할]] - 《[[로스트 도터|로스트 도터 (The Lost Daughter)]]》''' * '''[[베니스 국제 영화제/볼피컵 여우주연상|볼피 컵 - 여우주연상]] : [[페넬로페 크루즈]] - 《[[패러렐 마더스|패러렐 마더스 (Madres paralelas)]]》''' * '''[[베니스 국제 영화제/볼피컵 남우주연상|볼피 컵 - 남우주연상]] : 존 아르실라 - 《온 더 잡2: 더 미싱 에이트 (On the Job: Missing 8)》''' * '''[[베니스 국제 영화제/심사위원 특별상|심사위원 특별상]] : [[미켈란젤로 프라마르티노]] - 《일 부코 (Il Buco)》''' * '''[[베니스 국제 영화제/마르첼로 마스트로얀니상|신인배우상(마르첼로 마스트로얀니상)]] : 필리포 스코티 - 《[[신의 손(2021)|신의 손 (È stata la mano di Dio)]]》''' '''<오리종티>''' * '''작품상 : Laurynas Bareiša - 《Piligrimai (Pilgrims)》''' * '''감독상 : 에리크 그라벨 - 《[[풀타임|풀타임(À plein temps)]]》''' * '''특별 심사위원상 : Kiro Russo - 《El Gran Movimiento》''' * '''여우주연상 : 로르 칼라미 - 《[[풀타임|풀타임(À plein temps)]]》''' * '''남우주연상 : Piseth Chhun - 《Bodeng sar (White Building)》''' * '''각본상 : Peter Kerekes, Ivan Ostrochovský - 《Cenzorka (107 Mothers)》''' * '''단편 작품상 : Cristóbal León, Joaquín Cociña - 《Los Huesos (The Bones)》''' '''<오리종티 엑스트라>''' * '''아르마니 뷰티 관객상 : 테무 니키 - 《[[그 남자는 타이타닉을 보고 싶지 않았다|그 남자는 타이타닉을 보고 싶지 않았다 (Sokea mies, joka ei halunnut nähdä Titanicia)]][* 영제: The Blind Man Who Did Not Want to See Titanic]》''' '''<루이지 데 라우렌티스>''' * '''최고의 데뷔상 : Monica Stan, George Chiper-Lillemark - 《Imaculat》''' '''<공로상>''' * '''[[로베르토 베니니]] - [[이탈리아]]의 배우 및 감독''' * '''[[제이미 리 커티스]] - [[미국]]의 배우 및 작가''' === 독립부문 === == 이모저모 == [[분류:베니스 국제 영화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