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김천시의 읍면동)] ||<-2> '''[[파일:김천시 CI.svg|height=15]] [[김천시|{{{#000000,#dddddd 김천시}}}]]의 [[면(행정구역)|{{{#000000,#dddddd 면}}}]]'''[br]'''{{{+1 조마면}}}'''[br]助馬面 | Joma-myeo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김천시 조마면&zoom=10,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경상북도 || || '''기초자치단체''' || 김천시 || || '''행정표준코드''' || 5060037 || || '''관할 법정리''' || 7리 || || '''하위 행정구역''' || 19행정리 58반 || || '''면적''' || 70.96㎢ || || '''인구''' || 2,175명[* 2023년 7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30.65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김천시'''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송언석]] ,,(재선),, || ||<-2> '''경상북도의원 | 제2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이우청]] ,,(초선),, || ||<-2> '''김천시의원 | 마 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김석조 ,,(초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김세호 ,,(초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강곡1길 32 (강곡리 291-1) || || [[https://www.gc.go.kr/district/joma/main.do|조마면사무소]]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external/5c2097d63ca701edcc1c186387126eee59f48610f3584e7e9bff1a83f8977ac1.jpg|width=100%]]|| || 조마지역 특산물 감자. 김천지역에서 감자는 [[강원도]]가 아니라 이곳 조마로 통한다. || [[김천시]]의 남동쪽에 위치한 면. 동으로 [[성주군]] 벽진면, 서로 김천시 [[구성면]], [[지례면]], 남으로 [[성주군]] 금수면, 북으로 [[김천시]] [[감천면]], 김천시 동지역과 접한다. == 역사 == 기원전 졸마(卒麻) 또는 주조마국(走漕馬國)으로 기록에 남아 있었던 유서 깊은 곳이다. 742∼756년에 신라시대는 상주목 개령군에 속한 조마부곡으로 오랫동안 개령군 소속이었으며 [[1781년]]에 김산군 조마남면(助馬南面)으로 적힌 기록이 있다. [[1914년]] 김산군 조마남면, 김산군 남천면 2개면을 합면하여 김천군 조마면으로 개칭하였다. [[1948년]] [[8월 13일]]에 김천읍의 김천시 승격으로 금릉군 조마면으로 개칭하였다가 [[1995년]] 김천시의 도농통합 당시 [[김천시]] 조마면이 되었다. == 관할 리 == 7개의 법정리를 두고 있다. || '''지명''' || {{{#fff '''법정동 코드'''}}} || {{{#fff '''비고'''}}} || || '''신안리''' || 4715040021 || || || '''장암리''' || 4715040022 || || || '''강곡리''' || 4715040023 || 면사무소, 조마초등학교 소재 || || '''신곡리''' || 4715040024 || || || '''삼산리''' || 4715040025 || || || '''신왕리''' || 4715040026 || 실질 [[월경지]] || || '''대방리''' || 4715040027 || 실질 [[월경지]] || 신왕리와 대방리는 지리적으로 특이점을 가진다. 실제적으로 [[월경지]]는 아니지만, 관내 다른 리로 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다른 면을 통해서 가야 한다.[* 도로가 아예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주 꼬불꼬불한 임도만 있다.] 나머지 면은 [[903번 지방도]]로 연결되고, 신왕리, 대방리는 [[59번 국도]]를 통해 연결되는데 두 도로간 연결도로가 관내에 없다. 그러므로 두 지역은 사실상의 [[월경지]]가 된다. 조마면의 특이한 점. == 교통 == === 도로교통 === 고속도로는 관내를 통과하지 않으며 [[59번 국도]], [[903번 지방도]]가 관내를 통과한다. 그런데... 관내에 두 도로가 교차하는 곳은 전혀 없으며, 이면도로 등으로 간접적으로도 만나는 곳도 없다. 두 곳을 왕래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감천면]]과 [[양천동]]을 통과해야 한다. 조마면사무소를 비롯한 대부분의 기관들은 [[903번 지방도]]상에 위치하는데, 그래서 신왕리 일대와 대방리 일대, 삼산리 일대가 실질적 [[월경지]]가 된다. === 철도 === 관내에 철도가 없다. 가장 가까운 역은 [[김천(구미)역]]과 [[김천역]]으로 [[무궁화호]], [[새마을호]]등의 열차를 이용하려면 [[김천역]]으로, [[KTX]]를 이용하려면 [[김천(구미)역]]을 이용하여야 한다. === 버스 === 시외교통은 [[김천공용버스터미널]]에서 이용하여야 한다. 조마면에서 출발하는 모든 버스가 [[김천공용버스터미널]]로 향하기 때문에 터미널로 이동하여 시외교통을 이용하면 된다. 시내교통으로는 [[김천시]] 지역답게 [[김천버스]] 소속의 버스들을 이용할 수 있다. 전형적인 농어촌지역으로 많은 버스가 다니지는 않는다. [[김천공용버스터미널]]에서 각 마을행 버스의 시간표를 보고 이용하여야 한다. 조마면을 통과하는 버스노선은 다음과 같다. ||<-5> 조마면을 경유하는 일반(입석)버스 노선 || ||<:> 노선번호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기타사항 || ||<:>72-3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아랫장터, 감천, 대방 || 사기점[* 조마면사무소 근처를 지나지는 않는데, 사기점종점이 위치한 곳이 대방리이다.] ||왕복 1회 || ||<:>82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황금동, 조마, 강곡, 중말 || 울곡 ||왕복 2회 || ||<:>82-1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황금동, 조마 || 강곡 ||왕복 2회 || ||<|2>82-2 ||<|2>[[김천공용버스터미널]] || → 황금동 → 조마 → ||<|2> 강곡 ||<|2>왕복 1회 터미널 방면 엉거실 경유 || || ← 황금동 ← 조마 ← 엉거실 ← || ||<:>82-3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황금동, 조마, 강곡 || 중말 ||왕복 1회 || ||<|2>82-4 ||<|2>[[김천공용버스터미널]] || → 황금동 → 조마 → 강곡 → 중말 → ||<|2> 울곡 ||<|2>왕복 1회 터미널 방면 강곡동네 내부 경유 터미널 방면 평일 중앙중까지 운행 || || ← (영남대로경유) ← 중앙중 ← [[김천역]]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황금동 ← 조마 ← 강곡 ← 중말 ← || ||<-5> 조마면을 경유하는 좌석버스 노선 || ||<:>772-3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상송, 감천, 대방 || 사기점 ||왕복 3회 || ||<:>882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황금동, 조마, 강곡, 중말 || 울곡 ||왕복 2회 1회 이전리 경유 || ||<:>882-3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황금동, 조마, 강곡 || 대방 ||왕복 1회 || == 관할리 및 자연 부락 == === 신안리 === === 장암리 === === 강곡리 === === 신곡리 === === 삼산리 === === 신왕리 === === 대방리 === == 기타 == * [[김천시]]의 대표적인 특산물로 포도와 자두를 들 수 있는데, 이와는 별개로 조마지역에서는 감자가 많이 재배되며 품질도 우수하다. 김천 지역에서는 [[강원도]]가 아니라 조마가 감자로 통할 정도. [[분류:김천시의 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