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아이티 대통령)] ||<-2> '''{{{#fff 아이티 공화국 제43대 대통령}}}[br]{{{#fff {{{+1 조브넬 모이즈}}}[br]Jovenel Moïs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8449731_1772951906368637_2304742198936441186_o.jpg|width=100%]]}}} || || '''출생''' ||[[1968년]] [[6월 26일]] || || '''사망''' ||[[조브넬 모이즈 암살 사건|2021년 7월 7일]] (향년 53세) || || '''국적''' ||[[아이티|[[파일:아이티 국기.svg|width=25]]]] [[아이티]] || || '''직업''' ||[[정치인]], [[기업인]] || || '''최종 당적'''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C008A; font-size: .9em" {{{#FFF '''아이티 민두당'''}}}}}}[* 민주당의 오기가 아니라 진짜로 '''[[대머리]]'''를 뜻한다. 영어 명칭은 Haitian Tèt Kale Party. Tèt Kale가 [[아이티 크레올어]]로 '''대머리'''라는 뜻이다. 이를 국내 언론에서 번역할 때, 민두당이라는 [[초월번역]]을 한 덕에 해당 명칭으로 굳어졌다.] || ||<|2> '''재임기간''' ||제43대 대통령 || ||[[2017년]] [[2월 7일]] ~ [[2021년]] [[7월 7일]][* 임기 도중 피살로 인한 권한행사 정지.] || || '''부모''' ||아버지 에티엔 모이즈[br]어머니 루시아 브루노 || || '''배우자''' ||마르틴 모이즈^^(1974년생)^^ || || '''약력''' ||'''아이티 제43대 [[대통령]]'''|| || '''SNS''' ||[[https://www.facebook.com/jovenelmoise|[[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moisejovenel, 크기=20)] | [[https://www.instagram.com/jovenelmoise/|[[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Jovenel Moïse''' [[아이티]]의 제43대 대통령. 대통령이 되기 이전에는 [[바나나]] 수출 업체를 운영해 바나나 맨(Nèg Bannann)이라는 칭호를 얻었던 사업가이자 기업인이었다. 2017년 2월 7일에 취임해 임기를 시작했으나 2021년 7월 7일 자신의 사저에서 괴한들에 의해 피살당했다. == 대통령 당선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32635023382_9f02d32d4a_c.jpg|width=100%]]}}} || 출마 선언 이후로 미셸 마르텔리 대통령의 지지를 받았었고, 2015년 대통령 선거에서 32.81%로 가장 높은 득표율을 얻어냈으나 야당이 부정선거를 주장하고 나서면서 법에 따라 2차 투표가 진행됐다. 그러나 초강력 [[허리케인]] 매튜의 여파로 각종 피해가 속출함에 따라 재선거가 계속 연기돼왔다. 2016년 아이티 대통령 선거에서 집권 여당 후보로 출마해 55.67%의 득표율로 제58대 대통령에 당선됐다. 야당 LAPEH의 후보 쥐드 셀레스탱(19.52%)에 크게 앞섰고, 뒤를 이어 모이즈 장 샤를 후보(11.04%)와 마리스 나르시스(8.99%)가 각각 득표율 3위, 4위를 기록했다. 당시 아이티 대선에 총 27명의 후보가 대거 출마했다. 모이즈 후보가 득표율 과반을 달성함에 따라 다른 후보들이 이의를 제기하지 않는 한 [[결선투표]]는 치러지지 않는다.[* 아이티 법은 최종 결과가 발표되기 전까지 대선 후보들이 투표 결과에 이의를 제기할 수 있는 기회를 허용하고 있다.] 모이즈 당선인은 [[2010년 아이티 지진]] 이후 회복되지 못하고 있는 국가 경제를 재건해야 한다는 과제를 떠안게 됐고, 2017년 2월 7일 공식적으로 취임하게 되면서 대통령 임기를 시작했다. 그러나 그의 재임 기간 동안 아이티의 심각한 경제난과 사회 문제들은 해결되지 못했으며 극심한 여야 간 정치적 대립으로 2018년 예정된 총선이 연기되고 의회가 해산되는 등 혼돈이 이어졌다. 결국 [[2018-2023년 아이티 위기|전국적 규모의 시위]]가 발생했다. 2021년 들어서 조브넬 모이즈 대통령의 임기 만료일에 대한 논란이 불거지면서 정국 혼란이 심해지기 시작했다. 야당은 그가 임기를 다 채우지 못하고 내려온 미셸 마르텔리 대통령에 이어 취임한 만큼, 5년 대통령 임기를 채우는 대신 전임자의 임기 종료일에 맞춰 2021년 2월에 퇴임해야한다고 주장했지만, 모이즈 대통령은 자신이 2017년 2월에서야 취임했으므로 2022년까지 재임하는 게 정당하다는 입장으로 맞섰다. 이로 인해 야당들이 반발하였고 일부 국민들도 대통령에 대한 불만이 폭발하여 경제난 해결과 모이즈 대통령의 퇴진을 요구하는 반정부 시위가 이어졌으며, 조직 범죄 집단의 활동으로 사회 불안이 심화됐다. == [[조브넬 모이즈 암살 사건|피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jovenel moise funeral.jpg|width=100%]]}}} ||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조브넬 모이즈 암살 사건)] || [[분류:아이티 대통령]][[분류:북아메리카의 남성 기업인]][[분류:기업인 출신 정치인]][[분류:1968년 출생]][[분류:2021년 사망]][[분류:총기에 죽은 인물]][[분류:암살된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