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삼국지]]의 촉한 장수 == [[조운]] 항목 참조. == 물길을 통해 조세를 운반하던 제도 == 조운(漕運)은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조운선]]으로 강이나 바다 등의 물길(水路)을 이용하여 지방에서 거둬들인 조세를 수도로 수송하기 위해 운용되던 제도다. 학창시절 국사 시간에 졸지 않았다면 한 번쯤 들어봤을 것이다. 이 조운 제도하에서 설치된 창고는 조창(漕倉)이라 하여 국사책에 조운과 세트로 나왔기 때문에 [[삼국지]]를 좋아하는 학생들은 여기서 삼국지의 조운과 조조의 삼남인 [[조창]]을 떠올리기도 하였다. [[창원]] 및 [[마산합포구]] 관련 문서를 보면 조창과 조운선에 대한 내용이 많이 쓰여 있는데, 오늘날의 [[마산 어시장]]에 해당하는 마산포가 바로 이 조창을 끼고 상업이 발달한 지역이었기 때문이다. 이후 일제는 이 마산조창을 헐어버리고 정확히 네 동강(...) 내어 십자 길을 뚫었는데 이것이 현재의 남성동치안센터 네거리이며, 1990년대까지도 옛 마산의 중심가 역할을 했다. [[서울특별시]]의 [[광흥창역]]도 조선시대 조창인 광흥창 인근에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조선]]의 시인 == ||<-2> '''{{{+1 조운}}}[br]曺雲''' || || '''본명''' ||조주현 (曺柱鉉) || || '''생몰년도''' ||1900년 7월 22일~미상 || [[조선]]의 시인이자 [[한국전쟁]] 전후로 [[월북]][* 혹은 [[납북]]?.]하였다. == 영어 이름 [[조앤|Joan]] == 보통 조안이나 조앤으로 적히는 일이 많지만, 실제 발음은 /dƷoun/ 또는 /dʒoʊn/ 이다. 외래어표기법에 따르면 영어 표기법 8항 중모음은 각 단모음의 음가를 살려서 적되, [ou]/[oʊ]는 '오'로, [auə]/[aʊə]는 '아워'로 적는다. 규정에 의해 '존'으로 적어야 해서 남자 이름인 John하고 겹친다. 실제 발음을 고려해 John과 구별할 수 있도록 Joan을 조운으로 적어야 한다는 주장이 많다. 특히 John과 Joan 모두 흔한 이름이기 때문에 John Cusack과 Joan Cusack 남매 처럼 외래어표기법을 그대로 지킬 경우 남매 이름이 같아지는 경우까지 있기 때문이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5&aid=0000790285|#]] 한국에서도 Joan Rivers가 쓴 책에서 저자 이름을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7661635|조운 리버스]]로 표기한 경우가 있다. == [[스타크래프트 2]] 프로게이머 Zoun == [[박한솔(프로게이머)]] 참조 == [[배우]] == 남배우이자 본명은 김용민, 1978년 2월 10일 출생이다. 수컴퍼니 소속이고 2002년 연극 '우리로 서는 소리'로 데뷔해 주로 영화에 많이 출연 중이다. 신장은 186cm 2020년 영화 [[프리즈너(영화)|프리즈너]]에 출연하였다. [[분류:동음이의어]][[분류:시인]][[분류:1900년 출생]][[분류:실종된 인물]][[분류:납북자]][[분류:1978년 출생]][[분류:2002년 데뷔]][[분류:한국 남배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