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토막글)] [include(틀:탄도 미사일)] [목차] {{{+2 조정가능 재돌입 운반체[br]'''Ma'''neuverable '''R'''e-entry '''V'''ehicle, MaRV}}}[* 대소문자 표기에 있어 MaRV, MARV 두 가지 표기가 모두 쓰인다.] == 개요 == [[파일:CSIS_project_missile.jpg]] [[탄도 미사일]]의 재진입 단계에서 탄두의 궤적이 조정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 짧게 '조정 가능 재돌입체', '기동 탄두 재진입체'라고 표기하기도 한다. 상단 그림의 분홍색 선이 MaRV. 낙하 단계에서 회피기동, 선회기동 등을 펼친다. 미국이 1980년대에 실현화 시킨 기술로, 개념 자체는 오래된 개념이다. [[https://www.nytimes.com/1983/02/15/science/new-generation-of-warheads-just-around-the-bend.html|1983년의 뉴욕 타임즈]]기사에서 신기술로 소개되었을 정도이다. == 극초음속 미사일과의 관계 == [[극초음속 미사일]]의 한 유형인 HGV와 유사하다. 극초음속 미사일에 대해 전반적으로 다룬 CSIS 보고서[* [[https://csis-website-prod.s3.amazonaws.com/s3fs-public/publication/220207_Karako_Complex_AirDefense.pdf?SmaHq1sva9Sk.TSlzpXqWY72fg8PdLvA|PDF 파일]]로 열람할 수 있다.]에서는 MaRV를 HGV의 가까운 사촌격 미사일로 칭한다. 하지만 극초음속 무기를 정의하는 방법은 나라마다 다르기 때문에, 미국 CSIS에서는 MaRV를 극초음속 미사일로 포섭하지 않지만 [[북한]]은 제식불명 미사일 '[[극초음속 미사일 2형]]'[* 대한민국 연구자가 붙인 네이밍이다.]을 극초음속 미사일로 대외적으로 홍보한다. == 사례 == * [[미국]] - [[MGM-31 퍼싱]] * [[대한민국]] - [[현무-II#s-4.3|현무-ⅡC]] * [[북한]] - [[KN-18]], [[조선인민군 극초음속 미사일 2형]] * [[이란]] - [[에마드]] [[분류:탄도 미사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