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49년 출생]][[분류:동티모르 대통령]][[분류:동티모르의 독립운동가]][[분류:노벨평화상 수상자]] [include(틀:역대 동티모르 대통령)] || '''{{{#fff 조제 하무스오르타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역대 노벨평화상 수상자)] }}} || ||<-2> '''{{{#fff 동티모르 민주 공화국 제2·5대 대통령[br]{{{+1 조제 하무스오르타}}}[br]José Ramos-Horta}}}'''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019-05-24_José_Ramos-Horta_(cropped).jpg|width=100%]]}}} || || '''본명''' ||조제 마누엘 하무스오르타[br]José Manuel Ramos-Horta || ||<|2> '''출생''' ||[[1949년]] [[12월 26일]] ([age(1949-12-26)]세) || ||[[동티모르|포르투갈령 티모르]] [[딜리]] || ||<|6> '''재임기간''' ||제3대 총리[* 대통령 권한대행 수행 (2007년 5월 20일 ~ 2008년 2월 11일)]|| ||[[2006년]] [[6월 26일]] ~ [[2007년]] [[5월 19일]] || ||제2대 대통령 || ||[[2008년]] [[4월 17일]] ~ [[2012년]] [[5월 20일]] || ||제5대 대통령 || ||[[2022년]] [[5월 20일]] ~ [[현직]] || || '''링크''' ||[[https://twitter.com/JoseRamosHorta1|[[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20&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width=20&theme=dark]]]]||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배우자''' ||아나 페소아 || || '''자녀''' ||1명 || || '''학력''' ||안티오크 대학교[br]헤이그 국제법 아카데미[br]국제 인권 연맹[br][[컬럼비아 대학교]] || || '''종교''' ||[[가톨릭]] || || '''소속 정당'''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7bc1; font-size: .9em" [[티모르 재건국민회의|{{{#FFF '''티모르 재건국민회의'''}}}]]}}} ||}}}}}}}}} || [목차] [clearfix] == 개요 == [[동티모르]]의 제2·5대 대통령. [[2002년]] 외무장관, [[2006년]]에는 총리직을 거친 뒤 [[2007년]] 대선에서 제2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이후 [[2022년]] 대선에 출마하여 제5대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 생애 == [[1949년]] [[12월 26일]] [[딜리]]에서 포르투갈인 아버지와 티모르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18세가 되던 해부터 당시 동티모르를 식민 지배하고 있던 [[포르투갈]]을 비판하는 활동을 이어 갔는데, 그 과정에서 2차례에 걸쳐 동티모르 밖으로 추방되었다. [[1975년]] 포르투갈에서 갓 독립한 동티모르에 [[인도네시아]]군이 침공하자 그 3일 전에 [[미국]] [[뉴욕]]을 방문하여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동티모르인들을 위한 행동을 촉구하였으나, 그 길로 다시 한번 추방된 뒤 20여 년간 망명 생활을 하였다. [[1980년대]]에 걸쳐 [[헤이그]]와 [[스트라스부르]] 등지에서 [[국제법]], [[인권]], [[정치외교학]]을 공부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뉴욕]]에 머무르며 [[동티모르 독립혁명전선]](Fretilin)의 유엔 대변인 역할을 수행했다. [[1990년대]] 들어서는 동티모르 민족평의회(CNRM) 대표로서 인도네시아측에 동티모르 독립을 안건으로 한 국민투표 시행을 지속적으로 건의하였으며, 여러 평화적인 분쟁 해결 방법을 모색하여 결과적으로 [[1999년]] 국민투표를 통한 동티모르의 독립을 성사시켰다. [[1996년]]에는 평화적 독립운동에 앞장선 공로를 인정받아 그 해의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였다. [[1999년]] [[12월 2일]] 24년 간의 망명 생활을 끝내고 귀국한 뒤에는 본격적으로 동티모르의 정치 무대에 뛰어들었다. [[2002년]]부터 외무장관 직을 수행했으나 [[2006년]] 당시 동티모르 소요 사태의 책임자로 지목받는 마리 알카티리 총리의 재신임 결정에 반발하여 사임하였다. 마리 알카티리가 2006년 [[6월 25일]] 결국 총리직에서 사임한 뒤에는 후임 총리로 지명되어 샤나나 구스망 대통령의 임기가 끝난 [[2007년]] [[5월 19일]]까지 총리직을 수행하였다. 그 뒤 [[2007년]] 대선에 무소속 후보로 출마, 결선투표 끝에 [[프란시스쿠 구테흐스]] 후보를 꺾고 동티모르의 제2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 암살 시도 사건 === 대통령 임기 도중인 [[2008년]] [[2월 11일]] 아침 반군에 의해 자택이 습격당하여 경호원 1명이 사망하였으며 하무스오르타 본인 역시 복부에 총을 맞아 중상을 입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1954198?sid=104|#]] 사살된 반군 지도자 알프레도 레이나도 소령은 [[2006년]] 동티모르 소요 사태 때 이미 살인 등의 혐의로 수감되었으나 동년 8월 탈옥해 도주한 인물로, 2007년 11월에 이미 정부에 불만을 표하며 범행을 예고하기도 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동티모르 주둔 [[호주군]]의 야전병원으로 이송된 하무스오르타 대통령은 수술을 받은 뒤 안정을 찾아 [[3월 19일]] 퇴원하였다. === 2012년 이후 === 2012년 대선에서 재선에 도전하였으나 19.43%의 득표를 얻으며 결선 투표에 진출한 프란시스쿠 구테흐스와 타우르 마탄 루아크에 이어 3위에 오르는 데 그쳤다. 대통령 임기는 [[2012년]] [[5월 20일]]에 종료되었으며 이후 10년간 국제적인 활동에 전념했다. 그러나 [[2022년]] 대선에 다시 출마하였으며, 1차 투표에서 46.56%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22.13%의 득표를 기록해 2위에 오른 프란시스쿠 구테흐스[* 직전 대통령을 맡았다.]와의 리턴 매치가 성사되었다. 결선 투표에서는 62.10%를 득표하여 37.90%에 그친 구테흐스를 크게 앞질렀으며, 결과적으로 10년만의 재집권에 성공하였다. == 기타 == * 그를 소재로 한 다큐멘터리 영화가 여러 편 존재한다. * [[https://www.imdb.com/title/tt0258526/|The Diplomat]]: [[2000년]] [[호주]]에서 제작된 영화로, 인도네시아로부터의 독립운동이 결실을 맺던 [[1998년]]과 [[2000년]] 사이의 시점을 배경으로 한다. * [[https://www.imdb.com/title/tt1864253/|Alias Ruby Blade]] * 자주 [[방한]]한 외국 각료급 인사 중 한 명이다. * 국내 여러 [[대학교]]에 이따금 평화 관련 연설을 하러 방한한다. 특히 [[경운대학교]]는 그에게 명예 행정학 박사학위를 수여한 데 이어 교내의 건물을 '오르타 홀'로 명명하기도 하였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9472694?sid=102|#]] * 외무장관 시절인 [[2004년]] [[경북대학교]]를 방문했을 때는 경북대 측에서 [[동티모르]]의 공용어인 [[테툼어]]의 표기 수단으로 [[한글]]을 제안하였다는 기사가 나오면서 국민적으로 떠들썩했던 적이 있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2/0000020236?sid=102|#]] 당시 이같은 소식은 ''''한글-떼뚬 연결 프로젝트'''' 등의 거창한 제목과 함께 대대적으로 보도되었으나, 정작 프로젝트를 검토해온 이종현 교수가 외교마찰 등을 우려하여 이를 제의하지 않았다고 밝히면서 괜한 해프닝으로 끝나게 되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0/0000222502?sid=104|#]] == 선거 이력 == || {{{#fff 연도}}} || {{{#fff 선거 종류}}} || {{{#fff 선거구}}} || {{{#fff 소속 정당}}} || {{{#fff 1차 득표수 (득표율)}}} || {{{#fff 2차 득표수 (득표율)}}} || {{{#fff 당선 여부}}} || {{{#fff 비고}}} || || 2007 || 동티모르 대통령 선거 ||<|3> [[동티모르]] ||<|2> [include(틀:무소속)] || '''88,102 (21.81%)''' || '''285,835 (69.18%)''' || '''당선 (1위)''' || || || 2012 || 동티모르 대통령 선거 || 81,231 (17.48%) || - || 낙선 (3위) || || || 2022 || 동티모르 대통령 선거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7bc1; font-size: .9em" [[티모르 재건국민회의|{{{#FFF '''티모르 재건국민회의'''}}}]]}}} || '''303,477 (46.56%)''' || '''398,028 (62.10%)''' || '''당선 (1위)''' || || == 관련 문서 == * [[동티모르]] * [[노벨 평화상]] * [[프란시스쿠 구테흐스]] == 참고 자료 == * [[https://www.nobelprize.org/prizes/peace/1996/ramos-horta/facts/|1996년 노벨 평화상 수상자로서의 정보]] == 둘러보기 == [include(틀:대통령 및 총통 일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