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호주 총리)] ---- [include(틀:퍼스나우 선정 위대한 호주인)] ---- ||<-2> '''[[호주 총리|{{{#fff 호주 제14대 총리}}}]][br]{{{+1 존 커틴}}}[br]John Curtin''' || ||<-2> [[파일:Prime Minister John Curtin.jpg|width=100%]]|| || '''{{{#white 본명}}}''' ||존 앰브로스 조지프 커틴 (John Ambrose Joseph Curtin)|| || '''{{{#white 국적}}}''' ||[[파일:호주 국기.svg|width=28]] [[호주]]|| || '''{{{#white 출생}}}''' ||[[1885년]] [[1월 8일]], [[파일:빅토리아주 주기(1877-1901).svg.png|width=28]] [[대영제국]] [[빅토리아주|빅토리아 식민지]] 크레스윅|| || '''{{{#white 사망}}}''' ||[[1945년]] [[7월 5일]] (향년 60세), [[파일:호주 국기.svg|width=28]] [[호주 자치령]] [[캔버라]] 총리 관저[* The Lodge]|| || '''{{{#white 학력}}}''' ||세인트 앰브로스 스쿨|| || '''{{{#white 정당}}}''' ||[[노동당(호주)|호주 노동당]]|| || '''{{{#white 계파}}}''' ||[[노동당 좌파]]|| || '''{{{#white 직업}}}''' ||[[저널리스트]], [[정치인]]|| || '''{{{#white 당수 임기}}}''' ||[[1935년]] [[10월 1일]] ~ [[1945년]] [[7월 5일]]|| || '''{{{#white 총리 임기}}}''' ||[[1941년]] [[10월 7일]] ~ [[1945년]] [[7월 5일]]|| || '''{{{#white 가족관계}}}''' ||[[아버지]] 존 커틴 시니어[* John Curtin Sr.][br][[어머니]] 캐서린 애그니스 버크[* Catherine Agnes Bourke][br]배우자 엘시 커틴[* Elsie Curtin, 결혼 전 성씨는 니덤(Needham)](1890~1975)[* 결혼생활은 1917~1945], 자녀 2명[br]처남 테드 니덤[* Ted Needham](1872~1929)[* [[노동당(호주)|노동당]] 소속 의원이었다.][br]조카 클로드 커틴[* Claude Curtin](1920~1994)[* [[오스트레일리안 풋볼]] 선수였다.]|| || '''{{{#white 서명}}}''' ||[[파일:256px-John_Curtin_Signature.svg.png|width=120]]|| [목차] == 개요 == ||[[파일:Aph.John_Curtin_Official_Portrait.png|width=100%]][br]공식 초상화|| [[호주]]의 [[정치인]]. 제14대 [[호주 총리]]로 [[제2차 세계대전]] 당시 호주를 이끈 전시총리 겸 23대 국방장관이었다.[* 정확하겐 1943년 9월 21일까지는 국방조정장관이었으나 이후 국방장관으로 변경되었다.] 2013년 '퍼스나우'에서 조사한 [[https://www.perthnow.com.au/news/nsw/the-greatest-of-all---our-50-top-australians-ng-7f7a64b5cd9f4a765cb4fa5d3dbca0c9|위대한 호주인]] 중에서 역대 호주 총리 중 최상위인 4위를 차지하기도 했을 정도로 많은 호주인들에게 존경을 받는 총리다. == 생애 == === 정치인이 되기 전 === ||
[[파일:JohnCurtin1908.jpg|width=100%]][br]1908년의 존 커틴|| 존 커틴은 1885년 [[빅토리아주|빅토리아 식민지]] 크레스윅[* [[멜버른]]에서 북서쪽에 위치하고 있다.]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인 존 "잭" 커틴은 [[아일랜드]] 남서부 코크주 출신으로 1873년 다른 두 형제들과 함께 남부 호주로 이민(다른 두 형제들은 [[애들레이드]]에 정착)을 왔고, 이후 다시 빅토리아로 이사하여 그곳에서 펜트리지 감옥[* 1851년 설립되어 현 [[멜버른]]에 위치한 감옥]에서 일 하다가 곧 빅토리아 [[경찰|경찰관]]이 된다. 이후 그는 캐서린 애그니스 "케이트" 버크와 결혼하여 커틴을 낳았다. 커틴은 처음에 세례를 받고 로마 [[가톨릭]] 신자로 자랐다. 커틴은 13세까지 지역의 한 국공립학교에 다니고나서 이후 멜버른의 노동운동에 참여하기 시작하였다. 이후 1899년 초, 주간잡지사 램블러(The Rambler)에서 주당 5[[실링]]을 받고 일했다. 그러나 오래가지는 못 했고 이후 몇년간 여러 단기알바를 전전하며 살았다. 그러다가 [[노동당(호주)|노동당]]에 가입하고 빅토리아 사회주의자당[* Victorian Socialist Party(VSP), 1906년 멜버른에서 창당되어 빅토리아주에서 활동한 호주 최초의 [[마르크스주의]] 정당. 이후 호주 공산주의자당이 창당되어 당원이 이곳으로 유출되어 이때부터 힘을 잃었다.]의 활동에도 참여하게 된다. 그리고 그는 급진적이고 사회주의적 성향의 글을 신문에 기고했다. 1911년부터 1915년까지, 커틴은 목재공장 노동조합[* Timberworkers' Union, 현재는 Construction, Forestry, Maritime, Mining and Energy Union(CFMEU) : 건설, 임업, 해상, 광업 및 에너지 노조라는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장관으로 재직했다. 그리고 [[1차 세계대전]] 동안 그는 자신이 매우 좋지 않은 시력 때문에 시험에서 탈락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에 의무병 시험을 거부하여 감옥에 가 이때 활발한 반징병주의자가 된다. 또한 이 시기에 과로로 그는 과음을 하게 되었고, 이로인해 훗날 그의 경력에 오점이 되었다. 1917년, 그는 [[노동당(호주)|노동당]] 상원 의원 테드 니덤의 여동생인 엘시와 결혼했다. ||
[[파일:John_and_Elsie_Curtin.jpg|width=100%]][br]존 커틴(우)과 그의 아내 엘시 커틴(좌)|| 그리고 커틴은 [[퍼스]] 인근 코테스터 근처의 코테슬로로 이사를 가서 공식적인 노동조합지인 웨스트레일리언 노동자의 편집장이 되었다. 그는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에서 그동안의 압박에서 해방되어 전보다 자유로운 삶을 살았으며 이로인해 그의 급진적인 성향의 정치적 견해는 점점 완화되어갔다. 그는 1917년에 호주 언론인 협회에 가입하여 1920년에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 주총리로 선출되었다. 그는 주총리 시절 매일 AJA[* Australian Journalists Association, 호주 언론인 협회]배지를 착용했다. 또한 노동 권리에 대한 그의 입장 외에도 여성과 아이들의 권리에 대해 강력하게 주장한 사람이었다. 1927년, 연방 정부는 왕립 아동 기금에 왕립 위원회를 소집했는데 커틴은 그 위원회의 일원으로 임명되었다. === 정치생활 === 존 커틴은 1925년 국회의원 선거에 [[프리맨틀]][*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에 위치한 지역으로 [[퍼스]] 남쪽에 있다.] 지역구에 출마하게 되었다. 그러나 첫번째 선거에서는 상대 후보인 호주연합당의 윌리엄 왓슨에게 크게 패하긴 했지만, 왓슨이 1928년에 은퇴를 선언하고 커틴이 이 지역구에 다시 출마하여 당선이 되었다. 그는 내년에 있을 [[노동당(호주)|노동당]]의 대표 후보로 선출될 예정이었으나 불출마했고 제임스 스쿨린이 이끄는 내각에 구성원으로 임명될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그의 과음으로 인해 반대 의견이 나오면서 내각 구성원 임명은 뒷전으로 미루어졌다. 이 와중에 윌리엄 왓슨은 1931년 다시 선거에 출마했고, 노동당이 의석 14석을 차치했던 이 선거에서 커틴은 낙선하고 만다. 낙선한 이후, 커틴은 연방 보조금 위원회와 함께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 정부의 지지자가 되었다. 그는 왓슨이 두번째로 은퇴를 선언한 후 1934년 그의 지역구인 프리맨틀에서 다시 당선되어 의회로 다시 돌아왔다. 스쿨린이 1935년 노동당 당수직을 사임하고 존 커틴은 이 선거에서 승리한다는 자신이 없었지만 당수 선거에 나섰다. 그의 상대편은 스쿨린 정부의 경제 정책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프랭크 포드였다. 이로인해 좌파 세력과 노동조합은 커틴의 지지 세력으로 변화하였고 이로 인해 포드가 당내 선거에서 우위를 잡지 못하게 되었고 이와 반대로 좌파 세력과 노동조합의 지지를 받은 커틴은 노동당 대표 선거에서 단 한 표 차이로 포드를 이기고 7대 노동당 당수에 취임하였다. 이후 커틴이 이끄는 노동당은 1937년 총선에서 11석을 추가로 확보하여 29석을 차지하여 원내1당이 되지만 여권 연합이었던 [[연합(호주)|호주 보수연립]][* 당시에는 호주연합당과 [[국민당(호주)|국민당]]]의 43석[* 호주연합당 28석 + 국민당 15석]에 못 미쳐 야당에서 벗어나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커틴은 1940년 총선에서 노동당의 의석을 다시 3석을 추가해 32석의 의석을 가진 원내1당을 유지하고 마침 보수연립이 의석 수가 줄어들었지만 이번에도 보수연립[* 총 36석 : 호주연합당 23석 + 국민당 13석]이 차지한 의석 수를 넘지 못해 다시 야당으로 남게 된다. 하지만 이 선거에서 주목할만한 점은 여론조사에서 호주 보수연립과 노동당의 양당의 선호도 조사결과 노동당이 앞섰다는 점[* 노동당 50.3% : 49.7% 호주 보수연립][* 반대로 1937년 총선에서는 노동당 49.4% : 50.6% 호주 보수연립이었다.]이다. [[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고 커틴은 [[로버트 멘지스]] 총리 주도의 거국중립내각에 참여하지 않고 1940년 설립된 전쟁 자문 평의회[* 멘지스 총리가 설립한 전쟁내각]에 참여한다. 그러나 전쟁에 대한 대처가 미흡했던 멘지스 총리는 결국 1941년 총리직과 호주연합당 당수직을 사임하였고 뒤를 이어 아서 페든이 총리가 되지만 1달여 만에 실각하고 결국 당시 원내1당이었던 노동당을 중심으로 존 커틴을 총리 겸 국방장관으로 하는 전시 내각이 조각되었다. 당시 존 커틴의 내각은 무소속 의원 2명[* 아서 콜스 경, 알렉산더 윌슨]을 포함하는 [[소수정부]] 체제[* 전체 의석 74석 중 34석]로 출범하게 되었다. 그리고 그해 12월, 커틴이 이끄는 전시 내각은 [[미국]]과의 동맹을 선언하고 뒤이어 [[일본 제국|일본]]과의 전쟁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보여 커틴과 노동당 내각은 국민들의 인기를 얻기 시작하였다. 이를 발판으로 1943년 열린 총선에서 노동당이 17석을 추가로 얻어 단독으로 호주 의회의 74석 중 49석을 차지하여 단독으로 과반수[* 반면에 호주 보수연립은 13석을 잃어 23석에 그친다.]를 차지해 대승을 거두게 되었으나 전쟁으로 인한 과다한 업무에서 오는 스트레스로 인해 건강이 안 좋아지기 시작하였다. 급기야 1944년 [[윈스턴 처칠|처칠]]과 [[프랭클린 루스벨트|루스벨트]]를 만나기 위해 [[워싱턴 D.C.|워싱턴]]과 [[런던]]을 오갔던 커틴 총리는 이 시기를 즈음하여 심장병을 얻게 되었고 이는 이듬해인 1945년 들어서 스트레스와 함께 점차 빠르게 악화되기 시작하였다. 결국 2차 세계대전이 끝나기 몇 달 전인 1945년 7월 5일 숨을 거두었다. ||
[[파일:John_Curtin_grave.jpg|width=100%]][br]커틴 부부의 묘역|| 그의 사후 그는 카라카타 묘역[* 퍼스 서부에 위치]에 매장되었으며 후임은 프랭크 포드가 내정되어 [[노동당(호주)|노동당]]의 임시 내각을 맡은 뒤, 대략 일주일 만에 노동당에서는 커틴 내각의 재무장관이었던 벤 치플리를 총리로 선출하였다. == 여담 == * 위의 초상화나 사진을 보면 알겠지만 심각한 [[사시(질병)|사시]]이다. 아예 양쪽 눈이 전부 외사시일 정도. 사실 1920년대까지만해도 저 정도로 심하지는 않았다.[* [[파일:Johncurtin.jpg]]][* [[파일:Nla.pic-an23301715-v.jpg]]] 사시라는 점으로인해 [[1차 세계대전]]에서 의무병 시험에서도 탈락 사유가 될 만큼 시력에 이상이 있었다. 특유의 찡그리고 있는 표정도 사시로 인한 시력 이상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 * 위의 초상화는 생전에 그린 것이 아닌 그의 사후 1947년 안토니오 다틸로 러보[* [[이탈리아]] [[나폴리]] 태생의 예술가. 1897년 [[호주]]로 넘어와 활동하기 시작하였다. 생년 : 1870~1955]가 그린 것이다. * 1935년 그가 당수 선거에 도전하고 프랭크 포드에게 불만이 많았던 당내 좌파 세력과 노동조합은 반대급부로 커틴을 지지하기로 하는데 커틴이 너무 심각한 [[알코올 중독]] 수준으로 술을 많이 마셔서 예전 내각 구성원으로 임명되려다 반대의견으로인해 무마된 일까지 있었던 상황이라 문제가 되자 그에게 술을 끊는다는 약속을 받아내고 지지 선언을 했다고 한다. * 현재 [[노동당(호주)|호주 노동당]]에는 그의 이름을 딴 존 커틴 재단이 설립되어 있다. 이름과 달리[* 커틴은 신념있는 사회주의자로 알려져있다.] 노동당 내에서도 부유한 사업가들의 후원으로 이루어진 재단으로 1984년 10월에 설립되었다. * [[호주국립대학교]] 의학대학원인 '존 커틴 의학 대학원'이 있다. == 주요경력 == * 제14대 [[호주 총리|오스트레일리아 연방의 총리]] * 제7대 [[노동당(호주)|노동당]] 당수 * 제23대 국방장관[* 총리직과 겸직] * 호주 프리맨틀 지역구 국회의원([[1928년]] [[11월 17일]] ~ [[1931년]] [[12월 19일]], [[1934년]] [[9월 15일]] ~ [[1945년]] [[7월 5일]]) == 대중매체에서 == [[하츠 오브 아이언 4]]에서 [[호주]]를 선택하면 [[대공황]] 페널티를 국민정신으로 가지고 있으며, 존 커틴이 이끄는 [[노동당(호주)|호주 노동당]]이 집권당으로 나온다. 여기서 초상화는 개요란에 있는 초상화를 바탕으로 그린 것이지만 [[사시(질병)|사시]]는 어느정도 보정이 된 것을 쓴다.[* [[파일:Portrait_Australia_John_Curtin.png]]] ~~그러나 호주로 플레이하면 난이도가 어려워서 잘 안 한다.~~ [[문명 6]]의 추가 DLC로 인해 [[문명 6/등장 문명/호주|호주]]의 지도자로 등장한다. [[문명 6/시나리오/아웃백 재벌|아웃백 재벌]] 시나리오에서 '[[대통령]]'이라고 잘못 나오기도 했으나 패치로 수정되었다. 과거엔 적폐 문명으로 분류될정도로 사기였으며 지금도 성능 상위권에 존재한다. [[대통령 각하 만세]]에서는 영국의 동양함대가 몰살당한 후, 대한민국군 소속 [[강재호]] 대령으로부터 '''백인 전부 추방령'''을 받는다. 이에 격노하지만, 상대는 일본 열도에서 전쟁 한 번으로 일본인 4천만 명을 몰살한 대한민국 군대라 별다른 수 없이 통첩을 받아들인다. 게다가 중간에 성질을 내서 심기를 거스르는 바람에 원숭이 흉내까지 내야 했다. [각주] [[분류:1885년 출생]][[분류:1945년 사망]][[분류:호주 총리]][[분류:기자 출신 정치인]][[분류:사회운동가 출신 정치인]][[분류:아일랜드계 호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