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천문학)] [목차] == 개요 == 주극성([[周]][[極]][[星]])은 지구 표면의 어떤 한 지점에서 볼 때 [[지평선]] 아래로 지지 않는 [[별]]을 말한다. == 상세 == 천구상의 모든 별은 [[지구]]의 [[자전]]에 따라 지구의 자전축 주변을 도는 겉보기 운동을 한다. 그래서 천구의 북극과 가장 가까운 별인 [[북극성]]을 중심으로 별들이 회전을 하는 것이다. 이 [[북극성]]의 고도[* 북극성의 고도는 그 지방의 위도이다. 북극성이 정확히 천구의 북극과 일치하진 않고 약간의 오차가 있으나 천구의 북극이 인간의 눈에 보이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보통 [[천체관측|천체사진]] 촬영시의 가이드 촬영 정도 정밀도를 요구하는 작업이 아니면 북극성=천구의 북극으로 사용해도 무방하다.]로부터 지평선까지의 각거리를 반지름으로 원을 그렸을 때 그 원 안에 있는 별은 모두 주극성이 된다. 반대로 뜨지 않는 별을 전몰성(全沒星)이라 한다. 이해하기 쉽게 말하자면 [[북극성]] 주위를 도는데 북극성과 거리가[* 실제 거리가 아닌 천구상의 겉보기 거리. 각거리.] 너무 가까워 지평선 밑으로 떨어지지 않는다는 뜻이다. [[위도]]마다 이 주극성은 달라지지만 북극점과 남극점에서만큼은 모든 별이 주극성이다. 당연하게도 지구 자전측이 정수리 바로 위에 존재하게 되기 때문에 별들이 뜨고 지는 게 아니라 관측자의 주변을 회전한다. 반대로 적도에서는 모든 별이 뜨고 지는 출몰성[* 주극성의 반대 개념으로 뜨고 지는 별]이 된다. 천체사진 촬영법 중에 북천일주 촬영법은 바로 이 주극성들을 위주로 촬영하는 것이다. 물론 전부 주극성이 찍히는 것은 아니지만 북극성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별들을 찍기 때문에 북천일주 사진속 대부분의 별은 바로 이 주극성이다. == 범위 == * 주극성 : 별의 [[적위]] > (90-[[위도]])° * 출몰성 : -(90-위도)° < 별의 적위 < (90-위도)° * 전몰성 : 별의 적위 < -(90-위도)° [[분류:항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