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 내의 외교공관)] [include(틀:한영관계)] ---- ||<-2> [[파일:영국 국장.svg|width=9%]] [br] {{{+1 {{{#fff '''주한영국대사관'''}}}}}}'''[br]'''{{{#fff '''British Embassy Seoul'''}}}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photos.wikimapia.org/70_big.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주한영국대사관, 너비=100%, 높이=100%)]}}} || || '''{{{#fff 위치}}}''' ||[[서울특별시]] [[중구(서울특별시)|중구]] 세종대로19길 24 || || '''{{{#fff 업무 시간}}}''' ||월~금요일: 09:00 ~ 17:15 || || '''{{{#fff 상급기관}}}''' ||[[영국 외무·영연방 및 개발부]] || || '''{{{#fff 공관장}}}''' ||[[콜린 크룩스]] (Colin Crooks) 대사 || || '''{{{#fff 전화}}}''' ||02-3210-5500 || || '''{{{#fff 홈페이지}}}''' ||[[https://www.gov.uk/government/world/organisations/british-embassy-seoul.ko|[[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 '''{{{#fff 소셜 미디어}}}''' ||[[https://www.facebook.com/ukinrok/|[[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https://twitter.com/UKinKorea|[[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20]]]] [[https://www.instagram.com/ukinrok/|[[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주한영국대사관.jpg|width=100%]]}}} || 주한영국대사관 '''British Embassy Seoul''' [[https://www.gov.uk/government/world/organisations/british-embassy-seoul.ko|홈페이지]] [목차] [clearfix] == 개요 == [[영국]]이 [[대한민국]]에 설치한 대사관급 [[외교공관]]. == 역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주한영국공사관)] > This building was opened > by Their Royal Highness > [[찰스 3세|The Prince]] and [[다이애나 스펜서|Princess of Wales]] > on 2 [[11월|November]] [[1992년|1992]][* 1992년 방한한 [[찰스 3세]]와 [[다이애나 스펜서]]가 리본커팅을 했었다. 이 때 영국문화원 개장식도 함께 가졌다.][* 공교롭게도 찰스와 다이애나는 한국 방문을 끝으로 별거에 들어갔고, 4년 후 공식적으로 이혼했다. 이혼 1년 후 다이애나는 파리에서 교통사고로 사망했다.] > ---- > 주한영국대사관 표지석 1883년([[고종(대한제국)|고종]] 20년) 11월에 [[조선]]과 [[영국]]은 [[조영수호통상조약]]을 체결한 후 다음해 4월에 비준서를 교환하여 [[한영관계#s-2.1.1|외교 관계]]를 수립했다. 당시 영국은 [[거문도]]를 무단으로 2년간 점령했었는데 이 거문도 문제 해결 및 개방 정책의 일환으로 수교했다. 영국은 곧바로 [[한성부|한성]]에 [[영사관]]을 두었다. 이는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한성부|한성]]에 설치한 [[서양]] 외교공관이었다. 처음에는 [[중구(서울특별시)/행정#s-4|정동]]에 있는 [[신헌]][* 강화도 조약 체결 당시 조선 측 대표였으며 [[경복궁 경회루]]의 [[현판]] 글씨를 쓴 사람이다.] 부자가 살던 [[한옥]]에 입주했다. 그러나 [[서양인]]들에게 한옥 생활은 매우 낯설고 불편했으므로, 1890년([[고종(대한제국)|고종]] 27년) 5월에 한옥을 철거하고 서양식 건물을 짓는 공사를 시작했다. 1호관은 1891년(고종 28년), 2호관은 1892년(고종 29년)에 완공했다. 영국영사관은 [[대한제국]] 수립 후인 1898년([[광무]] 2년) 2월에 [[공사관]]으로 승격했다.[[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_id=CP_THE001&cp_code=cp0710&index_id=cp07100176&content_id=cp071001760001&search_left_menu=3|#]] 1905년([[광무]] 9년) 11월에 [[일본 제국|일제]]가 [[을사조약|을사늑약]] 체결로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강탈하여 [[국교]]가 끊겼다. [[주한영국공사관|영국공사관]]은 다시 [[영사관]]이 되었고 [[경술국치]] 이후에도 계속 남아있었다. [[8.15 광복]] 이후 1949년에 외교관계를 재개했고, 1957년에 서울 영국공사관이 주한영국대사관으로 승격되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 대사관 == || [[파일:external/photos.wikimapia.org/70_big.jpg|width=100%]] || [[서울특별시]] [[중구(서울)|중구]] [[세종대로|세종대로19길]] 24 (정동)에 있다. [[조선]]과 [[대한제국]] 시절에 쓰였던 영국 공사관의 건물[* 여기는 대사 관저로 이용한다.]을 그대로 활용하고 있다. 물론 이 건물 외에 현대에 지은 건물도 사용 중이다. 바로 옆에 [[서울주교좌대성당|성공회 서울대성당]]이 있다.[* [[서울광장]]과 상당히 가깝고 [[덕수궁]]과는 담장 바로 옆이다. 특히 대사관이 [[덕수궁]] 부지 일부를 오랫동안 점유하다가 2017년에서야 대사관 측이 서울시에 부지를 반환했다. 그 덕분에 60년간 끊겼던 [[덕수궁]] 돌담길이 다시 하나로 이어지게 됐다.] == 대사 == 현 대사는 '''주__[[북한|북]]__영국대사'''[*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2020년 이후로는 한시적으로 영국에 귀국하여 업무를 수행하였고 2022년 2월 한국 현지 공관장에 부임하였다.]였던 [[콜린 크룩스]]이다. 사이먼 스미스 전 대사 은퇴 이후 내정되었다. 주한 대사가 북한 지역에 대한 외교 업무를 겸직하는 경우는 많지만, 양쪽에 모두 대사를 파견한 국가에서 양국의 대사로 모두 일한 경력을 가지게 되는 사람은 콜린 크룩스가 최초라고 한다. [[한국어]] 역시 [[한국인]]에 더 가까울 정도로 상당히 능통하다.[[https://www.youtube.com/watch?v=gpQUgdH90K0|#]][*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관해 [[콜린 크룩스|크룩스]] 대사가 우크라이나 지지를 호소하는 내용의 연설을 하는 모습이 나온다.] 2022년 9월,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이 사망한 이후 대한민국에 메시지를 전했는데, 이번에도 우수한 한국어 실력을 발휘하였다.[[https://youtu.be/te0MF9pPnEk|#]] [[주한 벨기에 대사관|주한 벨기에 대사]]인 프랑수아 봉땅 대사와 같이 한국계 배우자를 두고 있으며, [[1999년]] [[엘리자베스 2세]] [[영국 국왕|국왕]]의 [[안동시|안동]] [[하회마을]] 방문 당시 수행원으로 근무했었다. [[엘리자베스 2세/사망|엘리자베스 2세 사망]] 이후 [[매일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배우자가 [[경상북도]] [[안동시|안동]] 출신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크룩스 대사 본인은 [[엘리자베스 2세]] 국왕의 안동 방문을 보좌하면서 안동 출신의 배우자를 만났었고, 엘리자베스 2세가 [[궁중요리]], [[안동시/문화|지역 향토]] [[한정식]] 등 [[한국 요리]]에 감동받았다는 것을 밝혔다.[[https://n.news.naver.com/article/088/0000755577?sid=102|#]] == 기타 == * [[영국문화원]]: [[영국식 영어]]와 [[IELTS]]를 한국에서 배울 수 있는 곳으로 유명하다. [[분류:중구(서울)]][[분류:대한민국의 외교]][[분류:영국의 외교]][[분류:한영관계]][[분류:외교공관]][[분류:재한영국사회]][[분류:서울 미래유산]][[분류:근대건축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