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 내의 외교공관)] ||<-2> [[파일:중국 국장.svg|width=9%]][br]{{{+1 '''중화인민공화국주대한민국대사관'''}}}[br]'''中华人民共和国驻大韩民国大使馆'''[* 외교공관의 이름은 보통 주 대한민국 ○○ 대사관" 형태인데 반해 중국 대사관은 순서가 특이하다.]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iybrb.com/20140124162643.jpg|width=100%]]}}} || ||<-2> 주한중국대사관 전경[* 청사는 원래 [[대만|중화민국]]이 쓰던 걸 그대로 쓰다가 업무량 증가 등으로 인해 대규모로 재건축했다. [[중화민국]] 시절에 [[화교]]는 많아야 5만명 남짓이었지만 지금 [[한국]]에는 [[중국인]]이 100만명 정도다. 그리고 옛 청사의 모습은 [[한국-대만 관계]] 문서를 참고하길. [[서울특별시]] [[중구(서울특별시)|중구]] 명동2길 27에 위치한다. [[비자]]나 [[여권]]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영사부는 이곳이 아닌 다른 곳(중구 퇴계로18길 103)에 위치한다.]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서울특별시 중구 명동 명동2길 주한 중화인민공화국 대사관, 너비=100%, 높이=100%)]}}} || || '''위치''' || '''[[서울특별시]] [[중구(서울특별시)|중구]] [[명동]]2길 27 ''' || || '''업무 시간''' || '''월~금요일: 오전 9:00~오후 5:30''' || || '''상급기관''' || '''[[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 || || '''공관장''' || '''[[싱하이밍]](邢海明)''' || || '''누리집''' || [[http://kr.china-embassy.org/ko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공식홈페이지는 [[한국어]] 페이지 관리가 [[2017년]]에 멈춰 있는데 경제상무처, 중국문화원이 더 업데이트가 잘 된다. 그리고 이전 도메인이었던 chinaemb.or.kr은 링크가 죄다 명함천사라는 회사에 먹혔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이 [[대한민국]]에 설치한 [[외교공관]]. 본관은 [[서울특별시]] [[중구(서울)|중구]] 명동2길 27 (명동2가)에 있다. == 역사 == === 공관의 역사 === 주한중국대사관의 역사는 [[1992년]] [[한중관계|한중수교]]를 기점으로 시작된다. 공식적으로는 [[대만|중화민국]]과 단교하고 [[중국|중화인민공화국]]을 [[하나의 중국|인정]]하는 것이지만 실질적으로 수교 시점을 [[1992년]]으로 잡는다. 그래서 부지만 [[주한청국공사관]]과 [[주한국대만대표부|주한 중화민국 대사관]]의 부지를 쓰는 것이지 실제로는 이 둘과 관계가 없다. [[1992년]] [[한중관계|한중수교]] 및 [[한국-대만 관계|중화민국과의 단교]] 이후 [[중국|중화인민공화국]]은 [[주한청국공사관]]과 [[주한국대만대표부|주한 중화민국 대사관]] 부지를 취득했다. 그러나 곧장 쓰지는 않고 [[용산구]]에 임시 대사관을 잠시 마련하여 6개월간 그곳을 사용했다. 이후 여러가지 정돈을 미리 한 뒤, [[1993년]] 2월부터 해당 건물을 대사관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한중수교 이후 중국과의 교류가 크게 증가하자 기존 대사관 건물이 굉장히 좁아져 [[2002년]]부터 잠시 [[종로구]] [[효자동(종로구)|효자동]]과 [[남산(서울)|남산]]로 이전하고 명동 대사관 건물은 비어 있었다. 중국에서는 원래 있던 건물을 허물고 새 대사관저를 지으려고 했는데 당시 양국 간 문제로 인해 착공하지는 못 하고 있다가 [[2010년]]에 드디어 [[서울특별시청]]의 승인을 받아 재건축을 시작했다. 이 대사관은 [[2013년]]에 완공되었고, 동시에 [[종로구]] [[효자동(종로구)|효자동]]으로 이사간 중국 대사관도 다시 명동으로 돌아왔다. 다만 영사부는 여전히 남산에 있다.[[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3/04/13/2013041300935.html|#]] [[2021년]] [[6월 20일]] 주 광주 중국 총영사관 소속 영사가 만취상태인 혈중알콜농도 0.119%의 [[음주운전]]으로 적발되어, 입건 직후에 공무수행을 이유로 음주운전 면책특권을 주장하다가 경찰 측에서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으며 공무에만 면책특권을 적용받는 '영사관계에 대한 비엔나 협약'에 의하여 기소의견으로 검찰에 송치되었다.[[https://www.hani.co.kr/arti/area/honam/1003114.html|#]][* 실제로 지자체, 정부기관에서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불가피하게 공무 목적 행사를 할 경우 물과 무알콜 음료만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이후 해당 영사는 중국으로 송환되었으며, [[주한일본대사관]]도 공사가 [[문재인]] [[대한민국 대통령|대통령]]이 [[자위행위|자위]]를 한다는 [[주한 일본 공사 한국 대통령 비하 발언 논란|망언]]을 하고 난 뒤 본국으로 송환되어 쌍으로 나라 망신을 시키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 공관 부지의 역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주한청국공사관)]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주한국대만대표부)] 주한중국대사관의 부지는 [[주한청국공사관]]과 [[주한국대만대표부|주한 중화민국 대사관]]의 부지로 [[1992년]] 한중수교 당시 [[중국|중화인민공화국]]의 요구로 받아낸 곳이다. 이 곳은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 이후로 [[주한청국공사관]]과 [[주한국대만대표부|주한 중화민국 대사관]]으로 역할을 했으며, [[주한국대만대표부|주한 중화민국 대사관]] 철수 당시 기밀 문서 소각, [[장제스]] 동상 이송 등이 이루어졌다. [[2013년]] 재건축 이후 중국대사관이 입주했다. == 영사관 == [[부산광역시|부산]] [[해운대구]], [[광주광역시|광주]] [[남구(광주)|남구]], [[제주특별자치도|제주]] [[제주시]]에 총영사관이 있다.[* 이 중 주 부산 총영사관은 과거 [[중화민국]] 영사관이었던 것을 한중수교 때 접수한 후 2000년대에 옮긴 것이고 주 광주 총영사관과 주 제주 총영사관은 처음부터 중화인민공화국이 설치한 것이다. 참고로 영사관에서는 비자 발급을 해주지 않으므로 비자 발급을 원한다면 밑에 있는 비자센터에서 발급을 해야 된다.] * [[http://busan.china-consulate.org/kor/|중화인민공화국 주 부산총영사관]]: [[부산광역시|부산]] [[해운대구]] [[해운대로]]394번길 25 ([[우동(부산)|우동]])[* 위치가 [[수영로교회]] 옆이고 개신교계는 종교와 사상의 자유를 허용하지 않는 중국, 중국은 유학생들까지 전도하려는 종교계에 적대적인 시각을 가지다 보니 서로가 서로를 좋게 보지 못하고 있다.] * 관할지역: [[부산광역시|부산]], [[대구광역시|대구]], [[울산광역시|울산]], [[경상남도|경남]], [[경상북도|경북]] 관할 * [[http://gwangju.china-consulate.org/kor/|중화인민공화국 주 광주총영사관]]: [[광주광역시|광주]] [[남구(광주)|남구]] [[대남대로]] 413 (월산동)[* [[https://n.news.naver.com/article/032/0002979432|2019년 12월 5일에 광주 시민 단체가 [[전남대학교|전남대]] 인문대학에서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과 관련해서 재한 [[홍콩인]]과의 간담회를 하려고 했으나, 이쪽에서 항의해서 취소를 당한 논란이 있다.]]] * 관할지역: [[광주광역시|광주]], [[전라남도|전남]], [[전라북도|전북]] 관할 * [[http://jeju.china-consulate.org/kor/|중화인민공화국 주 제주총영사관]]: [[제주특별자치도|제주]] [[제주시]] 청사로1길 10 (도남동) * 관할지역: [[제주특별자치도|제주]] 관할 * [[https://bio.visaforchina.org/SEL3_KO/|서울비자센터]]: [[서울특별시|서울]] [[중구(서울)|중구]] [[한강대로]] 416, [[서울스퀘어]](原 대우빌딩) 6층 * [[https://bio.visaforchina.org/SEL4_KO/|남산비자센터]]: [[서울특별시|서울]] [[중구(서울)|중구]] [[퇴계로(서울)|퇴계로]] 173, 남산스퀘어(原 극동빌딩) 3층 * [[https://bio.visaforchina.org/BUS2_KO/|부산비자센터]]: [[부산광역시|부산]] [[해운대구]] [[마린시티2로]] 38, C1 5층 ([[우동(부산)|우동]], [[해운대 아이파크]]) * [[https://bio.visaforchina.org/GWA2_KO/|광주비자센터]]: [[광주광역시|광주]] [[북구(광주)|북구]] [[금남로]] 136, 교보생명 누문동빌딩 7층 * [[https://bio.visaforchina.org/CJU2_KO/|제주중국비자사무실]]: [[제주특별자치도|적주]] [[제주시]] 과원북4길 3, 하나빌딩 502호 * [[http://cccseoul.org/mastart/mastart.php|주한중국문화원]]: [[서울특별시|서울]] [[종로구]] [[사직로(서울)|사직로]] 8길 23-1 * [[http://visitchina.or.kr/|중국주서울관광사무소]]: [[서울특별시|서울]] [[중구(서울)|중구]] [[퇴계로(서울)|퇴계로]] 97, [[고려대연각타워]] 1501호 * [[http://kr2.mofcom.gov.cn/index.shtml|경제상무참사처]]: [[서울특별시|서울]] [[중구(서울)|중구]] [[동호로(서울)|동호로20길]] 34-10 * [[http://busan2.mofcom.gov.cn/index.shtml|주 부산 경제상무참사처]]: [[부산광역시|부산]] [[해운대구]] [[해운대로]]394번길 25 ([[우동(부산)|우동]]) == 대사 == 2021년 기준으로 [[싱하이밍]] 대사이다. 한반도 통으로 1992~1995년, 2008~2010년에 주한 중국대사관에 직원으로 근무하였다. === 역대 대사 === 중화인민공화국 재대한민국 특명전권대사 * 장팅옌(张庭延, 장정연) 1992~1998 * 우다웨이(武大伟, 무대위) 1998~2001 [* 2004년부터 2017년까지 6자회담 중국측 대표을 맡았다.] * 리빈(李滨) 2001~2005 * 닝푸쿠이(宁赋魁, 녕부괴) 2005~2008 * 청융화(程永华, 정영화) 2008~2010 * 장신썬(张鑫森, 장흠삼) 2010~2013 * [[추궈훙]](邱國洪, 구국홍) 2014~2020[* 2014년 2월 부터 2020년 1월 30일까지 근무했던 최장수 대사 이다.] * [[싱하이밍]](邢海明, 형해명) 2020~ === [[국방무관]] === 국방무관으로 [[소장(계급)|소장]]이 온다. 수행무관으로 [[교관급 장교]]들이 온다. 2021년 기준 왕징궈(王京国) 육군소장 == 그 외 == [[파일:20220922_165023.jpg|width=600]] 대사관 건너편에 위치한 옛 중화민국 대사관 시절 삼민주의 청년회 건물에는 국민당 휘장이 그대로 남아있다. 건너편의 국기게양대는 한동안 청천백일만지홍기를 게양하고 있었겠으나 최근 30여 년 동안 아무것도 게양하지 않고 있다. 서울의 땅에서 길 하나를 두고 양안이 마주보고 있는 형국. 명목상으로 중국의 영토로 간주되는 대만과 중국의 특별행정구인 홍콩, 마카오 주민들도 주한중국대사관의 영사부나 산하 총영사관에서 영사 업무를 받을 수 있다. 허나 실제로 영사업무를 보기 위해 이곳을 방문하는 해당 지역 주민들은 별로 없다.[* 대만인들의 경우 [[주한국대만대표부]]가 별도로 있기에 굳이 이곳으로 올 필요를 못 느끼며 홍콩과 마카오 주민들은 [[친중|친 중국 본토 성향]]이거나 [[중국인|중국 본토 출신]]이 아니면 이곳에 오는 것을 달가워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는 한국에 홍콩,마카오 영사관이 없기 때문.] 중화민국 대사관 시절부터 이 대사관 주변 거리에는 서울에서 유명한 수입서적 딜러가 밀집되어 있어서 각종 분야에서 원서를 찾는 이들의 요람이 되었다. 또한 한국의 1세대 [[오타쿠]](수도권 거주자 한정)들이 일본 서브컬쳐 관련해서 원서를 찾으러 가는 루트이기도 했다. 대사관 인근에는 중화민국 대사관 시절에 지어진 부속시설들이 몇 군데 남아 있기도 하다. 대사관 뒤의 [[한성화교학교|한성화교소학교]]와 대사관 길 건너편의 옛 [[중국국민당|국민당]] 한국 지부 건물이 대표적이다. 한성화교소학교는 중화민국 측에서 아직도 운영 중인데 대한민국과 중화민국 간의 외교관계가 단절된 이후 [[청천백일만지홍기|자국 국기]]를 외부에 게양하고 있지 않으며 국민당 옛 청사는 카페로 이용된다. [[https://m.blog.naver.com/tkadbr/221064104988|#]] 중국의 [[북한이탈주민|탈북자]] 강제북송에 항의하는 탈북자 관련 단체들의 시위가 이 대사관 앞에서 종종 열린다.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이 격화되면서 한국 내에서 홍콩 민주화 세력을 지지하는 시위자들이 홍콩 경찰의 폭력적 시위 진압에 대해 항의를 하러 자주 가는 장소가 되기도 했다. == 관련 문서 == * [[한중관계]] * [[반중/국가별 사례/대한민국|한국 내 반중 감정]] * [[주중국 대한민국 대사관]] * [[중국의 국외 불법 경찰조직 운영]] * [[중국의 국외 불법 경찰조직 운영/대한민국|국내 사례]] * [[공자학원]] * [[주한 벨기에 대사 아내의 옷가게 점원 폭행 사건]] * [[중국의 해외 불법 조업]] * [[한중관계/불법 조업|국내 사례]] * [[중국/인권 탄압|중국의 인권 문제]] * [[북한이탈주민]] * [[홍콩 민주화 운동]] * [[2014년 홍콩 민주화 운동]] * [[홍콩특별행정구의 국가안전을 수호하는 법률제도와 집행기제 수립 및 완비에 관한 전국인민대표대회의 결정|홍콩 국가보안법]] *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 * [[민주화 운동/중화인민공화국|중국의 민주화 운동]] * [[베이징의 봄]] * [[천안문 6.4 항쟁]] * [[천안문 어머니회]] * [[중국 재스민 혁명]] * [[2022년 중국 제로 코로나 반대 시위]] * [[신장 재교육 캠프]] * [[류사오보]] * [[티베트 노동수용소]] * [[주한미군 THAAD 배치 논란]] * [[한한령]] * [[화웨이의 한국 내 통신장비 납품 관련 논란]] * [[동북공정]] * [[중국의 한국 문화 예속화 시도]] *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문화공정 논란]] [[분류:대한민국의 외교]][[분류:중국의 외교]][[분류:한중관계]][[분류:외교공관]][[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