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수지구의 법정동)] ||<-2> '''[[용인시|{{{#000000,#dddddd 용인시}}}]] [[수지구|{{{#000000,#dddddd 수지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죽전동}}}'''[br] 竹田洞 | Jukjeon-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용인시 수지구 죽전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 '''기초자치단체''' || [[용인시]] || || '''일반구''' || [[수지구]] || || '''행정표준코드''' || 5640010 || || '''관할 법정동''' || 죽전동 || || '''관할 행정동''' || 죽전1동, 죽전2동, 죽전3동 || || '''하위 행정구역''' || 90통 710반 || || '''면적''' || 4.8㎢ || || '''인구''' || 73,087명[*A 2023년 11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15,226.45명/㎢ || ||<|6>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대지로15번길 50 (죽전동 1070-9) || || [[https://www.sujigu.go.kr/lmth/06center04.asp|죽전1동 행정복지센터]] || || 포은대로 523 (죽전동 1003-122) || || [[https://www.sujigu.go.kr/lmth/06center05.asp|죽전2동 행정복지센터]] || || 대지로 42 (죽전동 484-12) || || [[https://www.sujigu.go.kr/lmth/06center10.asp|죽전3동 행정복지센터]]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에 위치한 [[동(행정구역)|동]]. 용인군 수진면(水眞面) 지역으로 1895년 용인현(龍仁縣)이 용인군(龍仁郡)으로 개칭되어 용인현 수진면 죽전동에서 [[용인시|용인군]] [[수지구|수진면(水眞面)]] 죽전동(竹田洞)이 되었다. [[동천동(용인)|동천동]], [[신봉동(용인)|신봉동]]과 같이 용인 수지지구 택지개발구획 지구단위계획구역으로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2&oid=015&aid=0000464381|동천.죽전.신봉]]택지개발지구가 형성되었다.[* [[기흥구]] [[보정동]]도 이 시기 함께 개발되었다.] 수지 죽전동은 [[개풍구역|개풍군]]에서 포은 [[정몽주]]의 유해가 풍덕천동을 지나자 개풍에서 덕(德)이 높은 사람이 온 것에서 '풍덕내(豊德來)'라는 풍덕천동의 지명이 만들어졌고, 면례(緬禮) 행렬이 있었던 [[풍덕천동]]에서는 포은 정몽주의 충절을 기리게 되는데 이 풍덕천동은 오늘날 수지 죽전동이 된다.[* 1576년 용인에서는 [[정몽주]]의 묘와 [[조광조]]의 묘가 있어 정몽주와 조광조에 대한 서원 건립이 논의되어 수진면 [[풍덕천동|풍덕천]]에 죽전서원(竹田書院)을 건립하고 사액돼 정몽주와 함께 조광조를 배향하였다. 풍덕천의 죽전서원은 [[임진왜란]]으로 훼손되었으며 조광조의 위패는 1605년 용인 심곡리에 심곡서원을 건립해 옮겼고, 정몽주의 위패는 1608년 충렬서원으로 옮겨 배향하게 되었다.] [[경부고속도로]]로 인해 풍덕천 일대는 도로망 서쪽으로 수지 [[풍덕천동]], 동쪽은 수지 죽전동으로 구분된다. [[수지구|수지]]에서 [[동천동(용인)|동천동]]과 함께 [[분당신도시]] 생활권으로 분류되며 수지 죽전동에는 도로와 철로길 밑으로 성복천이 조성이 되어 있다. 성복천은 수지구 [[성복동]]에서 죽전동까지 흐르는 하천이다.[* 성복동의 물은 죽전동에서 하구를 형성하고 [[풍덕천동]]을 지난다. 중간에 정평천도 합류되어 [[탄천]]으로 합수한다.] 성복천에서는 [[너구리]], [[청둥오리]], [[백로]], [[왜가리]]를 볼 수 있다. [[용인시]]는 [[성복동]]에서 죽전동까지 이르는 성복천의 자연길을 생태공원으로 조성할 예정이다. 2021년 현재 성복천변이 일반 보행로, 보행로 겸용 자전거도로, 자전거도로 등으로 조성되어 있고 운동시설 등이 마련돼 있다. == 역사 == 죽전동(竹田)은 본래 [[용인시|용인현]] [[수지구|수진면(水眞面)]] 지역이다. 940년 용구현이었다. 1413년 용구현과 처인현이 합해져 [[용인시|용인현(龍仁縣)]]으로 지방 제도가 개편되었고 이곳을 [[용인시|용인현(龍仁縣)]] [[수지구|수진면(水眞面)]] 죽전동이라 하였다. 1895년 지방관제 개편에 따라 용인현(龍仁縣)이 용인군(龍仁郡)으로 개칭되면서 [[용인시|용인군(龍仁郡)]] [[수지구|수진면(水眞面)]] 죽전동이 되었다. 용인현(龍仁縣)과 용인군(龍仁郡) [[수지구|수진면(水眞面)]]에서 죽전동, 토월리는 [[풍덕천동|풍덕천]]에 속하였다. [[일제강점기]] [[부군면 통폐합|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당시 광주군[* 광주군 낙생면 구미리→[[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성남)|구미동]].]과 용인군 사이 곡류지점부의 들판을 경계로 수진면에서 마주하던 [[동천동(용인시)|동막리(東幕里), 원천동(머내)]]과 함께 일부분을 [[구미동(성남)|구미리(九美里)]]로 묶어 광주군 낙생면에 넘겨주었고 다시 [[수지구|수진면]] [[풍덕천동|풍덕천]]의 풍덕천(풍덕내), 감바위, 점촌, 대지 일대를 병합하여 수지면(水枝面) 죽전리로 편제하였다. 수지면 죽전리는 [[일제강점기]] 일제의 식민지 정책에 의해 읍삼면[* 1931년 [[일본]] 조선총독부 계획 구성면으로 개칭.]으로 강제 편입되었다가 1973년 7월 1일 [[대한민국]] 대통령령 제1,983호에 의하여 원래의 수지면(水枝面)으로 복구되었다.[* [[일제강점기]] 읍삼면(구성면) 시절 [[일본 제국|일제]]의 잔재가 남아있긴 하다. 대지초등학교가 수지초등학교의 분교가 아니라 구성초등학교의 분교였던 것처럼 [[일본 제국|일제]]에 의해 [[대동아 공영권]] 사전계획에 따른 강제 조정으로 읍삼면(구성면)에 예속되었던 식민지 정책 흔적이 있다.] 1996년 3월 1일 용인군이 [[도농복합시|도농복합형태]]의 [[용인시]]로 승격되면서 수지면이 [[수지구|수지읍]]으로 승격되었고 2001년 12월 24일 수지읍이 수지출장소로, 2005년 10월 31일 수지구로 승격되어 [[수지구]] 죽전동이 되었다. 현재 [[수지구]]에서 5만명이 넘는 법정동은 [[풍덕천동]], 죽전동, [[성복동]], [[상현동]]이다. 수지 죽전동은 2001년 수지읍이 수지출장소로 격상될 당시 인구의 증가로 죽전1동과 죽전2동으로 분동되었고, 2021년 9월 죽전1동은 죽전1동, 죽전3동으로 분동이 되었다. 반면 죽전2동은 수지구에서 유일하게 2만 명을 넘지 않는 동이기도 하다.[* 수지구의 나머지 동은 인구가 각각 2만 명에서 5만 5천 명에 달한다.] == 행정동 == === 죽전1동 === [include(틀:지도, 장소=용인시 수지구 죽전1동)] ||<-2> '''[[용인시|{{{#000000,#dddddd 용인시}}}]] [[수지구|{{{#000000,#dddddd 수지구}}}]]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죽전1동}}}'''[br] Jukjeon 1(il)-dong / 竹田一洞 || ||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 '''기초자치단체''' || 용인시 || || '''일반구''' || 수지구 || || '''행정표준코드''' || 5640011 || || '''관할 법정동''' || 죽전동 || || '''하위 행정구역''' || 35통 264반 || || '''면적''' || 1.65㎢ || || '''인구''' || 28,499명[*A] || || '''인구밀도''' || 17,272.12/㎢ || [[수지구|수지]] 죽전1동은 수지 지역의 죽전택지지구개발 단위로 북부 지역 일부가 속해 있는 동이다. 대지로를 기준으로 북쪽 지역에 있다.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성남)|구미동]] 무지개마을과 동백죽전대로~미금로, 무지개로를 통하여 인접해 있다. 수지 죽전1동 대지마을, 새터마을은 [[분당구|분당]] 구미동 무지개마을과 붙어 있고 새터마을, 내대지마을 근처는 택지개발계획에 의해 정연하게 개발이 이루어진 동네이다. 때문에 상가도 잘 형성되어 있으며 [[분당신도시]]로의 이동이 편리하다. [[수지구청]]으로 가는 [[용인 버스 59|59번 버스]]가 수지 죽전1동을 경유한다. [[용인 버스 102(대원버스)|102번 버스]], [[용인 버스 1303|1303번 버스]]는 내대지마을과 새터마을을 경유하여 [[서울특별시]], [[안양시]]로 가는 노선이다. 출근 시간 한정으로 [[성남 버스 9000-1|9000-1번 버스]]가 하루 3번 운행한다. [[분당구|분당]]과 인접해 있는 죽전1동의 경우 마을버스 노선 체계가 잘되어 있고 죽전역보다는 주로 [[수인분당선]] [[오리역]]과 [[신분당선]] [[미금역]]에서 지하철 환승을 이용한다. 공항버스는 내대지마을과 새터마을에서 정차한다. 용인죽전도서관은 죽전1동에 있다. 수지 죽전1동 동쪽에 죽전디지털밸리가 조성되어 있는데[* 자세한 내용은 [[용인시/행정에 대한 비판#s-9|백군기 전임 용인시장 수지 죽전1동 데이터센터 건설허가 논란]] 참고.] [[다우기술]], [[신한금융그룹]] [[데이터센터]], [[DB손해보험]] 데이터센터, [[한화그룹]] 데이터센터 등이 있다. === 죽전2동 === ||<-1> [include(틀:지도, 장소=용인시 수지구 죽전2동)] || ||<-1> {{{#!folding [ 계획도 ] [[파일:동천동 죽전2동 농수산물유통센터.jpg|width=100%]]}}} || ||<-2> '''[[용인시|{{{#000000,#dddddd 용인시}}}]] [[수지구|{{{#000000,#dddddd 수지구}}}]]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죽전2동}}}'''[br] Jukjeon 2(i)-dong / 竹田二洞 || ||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 '''기초자치단체''' || 용인시 || || '''일반구''' || 수지구 || || '''행정표준코드''' || 5640012 || || '''관할 법정동''' || 죽전동 || || '''하위 행정구역''' || 22통 194반 || || '''면적''' || 1.07㎢ || || '''인구''' || 18,022명[*A] || || '''인구밀도''' || 16,842.99/㎢ || [[수지구|수지]] 죽전2동은 [[용구대로]] 축에 있는 동네로 [[풍덕천동|풍덕천1동]], [[동천동(용인시)|동천동]]과 붙어있다. [[용인포은아트홀]], [[수지레스피아]], [[동천 EX-허브]]의 상행선 정류소인 [[죽전휴게소]], 수지 로데오 상설타운, [[죽전역(분당선)|죽전역]]과 [[신세계백화점 경기점]], [[CGV 신세계경기|CGV 신세계경기점]], [[이마트 죽전점]][* 이곳에 있는 [[이마트 죽전점]]을 말하자면 전국 대형마트 매출순위에서 손꼽힐정도로 유명하고 [[이마트]] 중에서도 매우 큰 편이라고 한다. [[이마트/지점]] 참고.]이 위치해 있다. [[수지구]] [[마을버스]]의 성지이다. 죽전2동은 [[신분당선]] [[동천역(신분당선)|동천역]]의 역세권을 포함하고 [[동천역(신분당선)|동천역]]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죽전2동에는 [[동천역(신분당선)|동천역]] 연결통로가 위치해 있다. [[풍덕천동]]까지는 하천 도보길을 따라 [[수지구청]], 수지구보건소를 걸어서 갈 수 있으며 [[신분당선]] [[수지구청역]]으로도 갈 수 있다. [[동천동(용인시)|동천동]] [[IBK기업은행]]까지는 경부고속도로로 인해 보행로가 조성된 굴다리 밑으로 동천동과의 [[차량]] 연계가 잘 안되어 있지만 [[https://m.hankookilbo.com/News/Read/A2022012813560003110|경부고속도로 지하화]]를 통해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신분당선]] [[동천역(신분당선)|동천역]] [[https://www.yongin21.co.kr/news/articleView.html?idxno=64849|연결통로]]를 포함해 여러 굴다리들이 있지만 도보 보행 말고는 차량이 다닐 수 없는게 대다수이다. 실제로 [[동천역(신분당선)|동천역]]에서 수지 죽전2동, [[분당구|분당]] [[구미동(성남)|구미동]]의 [[오리역]]은 매우 가깝지만 차량으로는 10분 가까이 소요된다. '''[[수지구|수지]] 죽전2동과 [[동천동(용인시)|동천동]]은 용구대로 2771번길, 2801번길과 통해있는 굴다리를 이용해 걸어가면 5분도 안걸린다.[* 수지 죽전2동에서 신분당선 동천역으로 도보 보행할 때 용구대로 2771번길 사이로 수지벽산1단지랑 붙어있는 세종텔레콤 분당IDC센터 일대도 [[동천동(용인시)|동천동]]이다.]''' [[경부고속도로 죽전 정류장]]에서는 [[시외버스 서울경부-탕정삼성]], [[고속버스 서울경부-세종]][* 국책연구단지 경유 노선에 한하여 하차만 가능.] 노선을 이용할 수 있다. === 죽전3동 === [include(틀:지도, 장소=용인시 수지구 죽전3동)] ||<-2> '''[[용인시|{{{#000000,#dddddd 용인시}}}]] [[수지구|{{{#000000,#dddddd 수지구}}}]]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죽전3동}}}'''[br] Jukjeon 3(sam)-dong / 竹田三洞 || ||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 '''기초자치단체''' || 용인시 || || '''일반구''' || 수지구 || || '''행정표준코드''' || 5640029 || || '''관할 법정동''' || 죽전동 || || '''하위 행정구역''' || 33통 252반 || || '''면적''' || 2.08㎢ || || '''인구''' || 26,566명[*A] || || '''인구밀도''' || 12,772.11/㎢ || [[수지구|수지]] 죽전3동은 수지 지역의 죽전택지지구개발 단위로 대지로 남쪽 지역 일부가 속해 있는 동이다. 본래 수지 죽전1동 관할이었지만 죽전1동의 인구가 많아서 2021년 9월 수지 죽전3동으로 나뉘어 분동되었다. 죽전1동은 관내 [[동천동(용인시)|동천동]]과 같이 분당 [[구미동(성남)|구미동]], 죽전2동은 같은 수지 관내 [[동천동(용인시)|동천동]], [[풍덕천동]]과 연담화가 되어있기 때문이다. 대지로 남측구간으로 도담마을, 성현마을, 꽃메마을 일대이다. [[단국대영업소]]를 기점으로 하는 [[간선급행버스]]와 [[직행좌석버스]]가 수지 죽전3동에서 출발한다. [[용인 버스 102(대원버스)|102번 버스]], [[용인 버스 1303|1303번 버스]]는 성현마을에서 수지 죽전1동 내대지마을과 새터마을, 수지 죽전2동 인현마을, 현암마을을 경유하여 분당 구미동 하얀마을로 진출하고 공항버스는 성현마을에서 수지 죽전1동 내대지마을과 새터마을을 경유해 분당 금곡동 청솔마을로 간다. 현암초등학교, 현암중학교 인근에 [[금융보안원]]이 있다. [[서울역]]으로 가는 [[용인 버스 8100|8100번 버스]], [[강남역]]으로 가는 [[용인 버스 1101|1101번 버스]], [[여의도]]로 가는 [[용인 버스 7007-1|7007-1번 버스]]는 [[수지구|수지]] 죽전3동 꽃메마을에서 [[기흥구]] [[보정동]]을 경유하여 [[분당구|분당]]으로 진출한다. 마을버스 [[용인 마을버스 24|24번]]과 [[용인 마을버스 40|40번]] 버스가 적절한 배차 간격으로 운행되어서 죽전역에 갈 수 있다. [[용인시]] [[수지구]]에 있는 [[단국대학교]]는 죽전3동에 위치해 있다. 현재 수지 죽전3동의 정식 청사가 완공되지 않아서 죽전위드어반오피스텔 상가에 임시 청사를 마련하여 민원 업무를 하고 있다. == 주거 == * 죽전1동 * --[[e편한세상]] 죽전 프리미어포레(예정)-- (430세대) * 용인죽전 경기행복주택 (85세대) * 새터마을 [[힐스테이트]] 3차 1단지[* 2010년 즈음 현대홈타운에서 바뀜.] (1,990세대) * 대지마을 현대홈타운 2차 (346세대) * 대지마을 현대홈타운 3차 2단지 (538세대) * 대지마을 [[중앙하이츠]] (271세대) * 더리버하임 (336세대) * 퍼스트하임 (480세대) * 수지 죽전 한신 (311세대) * 도담마을 휴먼빌 (260세대) * 새터마을 [[우미이노스빌]] (115세대) * 새터마을 [[모아미래도]] (252세대) * 새터마을 [[푸르지오]] (79세대) * 벽산블루밍 (19세대) * 진우 엘리시온 (19세대) * 용인 죽전 동부[[센트레빌]] (536세대) * 현대시티빌 (33세대) * 내대지마을 1단지 현대 1차 (702세대)[* 2단지는 죽전3동에 있다. 3단지는 결번.] * 내대지마을 4단지 [[푸르지오]] (142세대) * 내대지마을 5단지 주공아파트 (225세대) * 내대지마을 6단지 우미이노스빌 (59세대) * 내대지마을 7, 8, 9단지 [[건영캐스빌]] (1,254세대)[* 10단지는 결번이다.] * 내대지마을 11단지 정석베르데파크 (37세대)[* 12단지는 결번이다.] * 내대지마을 13단지 [[광명샤인빌]] (91세대) * 내대지마을 14단지 진흥더블파크 (160세대)[* 15단지는 결번이다.] * 내대지마을 16단지 힐스테이트 6차 (120세대) * 성현마을 4단지 광명샤인빌 (192세대) * 롯데빌리지 (36세대) * 지오빌리지 (19세대) * 현대빌라트 (54세대) * 현대홈타운 (108세대) * 죽전 GS[[자이]] (109세대) * 죽전2동 * 한솔노블빌리지 (275세대) * [[월드메르디앙]] (47세대) * 벽산첼시빌 (179세대) * 수지 벽산블루밍 1단지 (612세대) * 수지 벽산블루밍 2단지 (684세대) * 수지 벽산블루밍 3단지 (425세대) * 수지 벽산블루밍 4단지 (465세대) * 수지 벽산블루밍 5단지 (35세대) * 현암마을 동성 1차 (684세대) * 현암마을 동성 2차 (838세대) * 현암마을 대우넷씨빌 (119세대) * 현암마을 죽전아이뷰 (432세대) * 용인 죽전 효성 해링턴플레이스 (113세대) * 인현마을 현대홈타운 7차 1단지 (162세대) * 인현마을 현대홈타운 7차 2단지 (194세대) * 현인마을 죽전 [[e편한세상]] 2차 (206세대) * 현인마을 죽전 e편한세상 3차 (239세대) * 죽전3동 * 죽전역 월드메르디앙 (104세대) * 도담마을 [[아이파크]] (360세대) * 도담마을 [[롯데캐슬]] (231세대) * 도담마을 1단지 현대홈타운 4차 1단지[* 2단지는 결번이다.] * 도담마을 3단지 우미이노스빌 (418세대) * 도담마을 4단지 [[한양수자인]] (332세대) * ~~도담마을 5단지~~ 꽃메마을 현대홈타운 4차 2단지 (254세대) [* 권역도 도담마을 인데다가 도담마을의 결번인 5단지를 동번호인 500번대로 사용했다. 또한 아파트 바로 앞 마을버스 정류장도 도담마을'''5'''.6.7단지이다. 그러나 어떤 사유인지는 모르겠으나 꽃메마을이 되었다.] * 도담마을 6단지 [[푸르지오]] (111세대) * 도담마을 7단지 뜨리에체 (430세대) * 도담마을 8단지 주공아파트 (643세대) * 도담마을 9단지 죽전파크빌 (561세대) * [[꽃메마을 아이파크]] 1단지 (374세대) * 꽃메마을 2단지 극동[[스타클래스]] (196세대) * 꽃메마을 3단지 한라프로방스 2차 (195세대) * 꽃메마을 4단지 현대홈타운 4차 3단지 (770세대) * 꽃메마을 5단지 현대홈타운 4차 4단지 (342세대) * 꽃메마을 6단지 한라프로방스 1차 (388세대) * 꽃메마을 7단지 금강펜테리움 (120세대) * 성현마을 1단지 [[반도유보라]] (637세대) * 성현마을 2단지 우미이노스빌 (538세대) * 성현마을 3단지 주공아파트 (388세대) * 죽전 e편한세상 1차 (141세대) * 내대지마을 2단지 주공아파트 (136세대) == 교육 == [[수지구]]의 여타 동네가 그러하듯 [[풍덕천동]] 학원가, [[보정동]] 학원가로 학원을 다닌다. 하지만 다른 동네와 다르게 [[분당구]]와의 접근성이 매우 좋은지라[* 차를 타면 5분~15분에 분당구 대부분 지역을 갈 수 있다.], [[금곡동(성남)|금곡동]], [[정자동(성남)|정자동]], 심지어 [[수내동]]으로 대형학원을 다니는 학생들도 있다. 수인분당선을 타고 강남구 [[대치동]] 학원가도 이용한다.[* 죽전역에서 지하철을 타면 환승없이 40분정도에 대치동(도곡역, 한티역)까지 갈 수 있다.] === 초등학교 === * 대지초등학교 * 대청초등학교 * 대현초등학교 * [[용인대덕초등학교]] * 용인대일초등학교 * [[용인신촌초등학교]] * 죽전초등학교 * 현암초등학교 === 중학교 === * [[대지중학교]] * [[용인대덕중학교]] * [[죽전중학교]] * [[현암중학교]] === 고등학교 === * [[대지고등학교]] * [[죽전고등학교]] * [[현암고등학교]][* 과거 용인 청운초등학교가 있던 자리였다.] === 대학교 === * [[단국대학교]][* 용인시 수지구 죽전3동.] == 교통 == 수지 죽전동은 수지구 관내에서도 용인 시내([[처인구]]), [[기흥구]]와도 상호간 왕래가 편한 편으로, [[수지구|수지]] 죽전동에서 [[상현동]], [[신봉동(용인)|신봉동]], [[성복동]]으로 바로 가는 버스편은 [[경기광주 버스 660|660번]], [[용인 버스 670|670번]], [[화성 버스 720-3|720-3번]]을 제외하곤 없지만, [[풍덕천동]]으로 대표되는 [[수지구청]] 버스 노선들이 [[용인 마을버스 59|59번]], [[용인 버스 59-1|59-1번]]을 포함해 5개 이상이나 있을 뿐 아니라, 직통으로 갈 수 없다고 해도 수지구의 대부분 마을 버스들이 모이는 [[신세계백화점 경기점]] 버스환승장 [[죽전역(분당선)|죽전역]][* 다만, 죽전역은 죽전동 제일 끝자락 있어서 죽전1동 주민들은 [[오리역]]을 이용한다. 대지마을, 새터마을에서는 무지개로를 따라가면 오리역 접근이 더 편리하다.]에서 얼마든지 환승해서 갈 수 있기 때문에 상호 교통은 좋은 편이다. 죽전동 초입에 해당하는 현인마을, 인현마을, 대지마을, 새터마을, 내대지마을은 10분 이상의 도보로 가거나 마을버스로 이동해 이용해야 하는 단점[* 특히, 수지 죽전1동의 새터마을과 내대지마을은 심각한 대중교통 취약 지역이다. 현인마을, 인현마을과 대지마을은 대중교통을 이용해 [[신분당선]] [[미금역]]까지 10분 정도면 갈 수 있지만 새터마을, 내대지마을에서는 열악한 대중교통 때문에 20분 가까이 소요된다.]이 있으나 [[수인분당선]] [[오리역]]과 [[신분당선]] [[미금역]]까지 5~15분이면 가까이서 이용할 수 있어 교통이 괜찮은 편에 속한다. 꽃메마을은 [[수인분당선]] 죽전역과 가까워 지하철 이용이 편리하나 죽전역 이남 구간을 이용할 경우 배차 간격이 길다는 단점이 있다. [[풍덕천삼거리 고가차도]]와 [[용구대로]]의 교통정체로 통행에 어려움이 있어 '수지IC([[나들목]])'을 추진중이다.[* 실제로 [[신갈JC]]의 번호는 45번이고 [[판교IC]]의 번호는 47번이라 46번이 결번이라는 점에서 신설 가능성이 있다. 용인시에서는 [[용인플랫폼시티]] 개발과 연계하여 고속도로 나들목 개설을 추진 중이다.] 내대지마을, 새터마을에서 [[분당구|분당]]으로 나갈려면 [[마을버스]]인 [[용인 마을버스 22|22번]]과 [[용인 마을버스 39|39번]], [[용인 마을버스 39-1|39-1번]]을 이용하면 된다. [[풍덕천삼거리 고가차도]]를 진입으로 [[수인분당선]] [[죽전역(분당선)|죽전역]]이 위치해 있다. [[동백죽전대로]]로 인해 [[구성읍|구성]]과의 연계성도 강화된 상태. 여담으로, 용인 관내에서 유일하게 수지구 죽전동에서도 [[비발디 파크]], [[오션월드]]행 셔틀버스를 탈 수 있다. 여름에는 매일 오전 6시 20분에 죽전동에서 출발하는 노선과 오후 6시에 죽전동으로 출발하는 노선이 있다. [[김포국제공항]]과 [[인천국제공항]]을 운행하는 공항버스는 용인터미널에서 출발해 죽전역을 경유하는 [[공항버스 8165|8165번]], [[공항버스 8852|8852번]]([[경남여객]])과 [[오리역]]을 경유하는 [[공항버스 5200|5200번]]([[경기고속]])이 있다. [[신분당선]]이 [[동천동(용인)|동천동]] - [[풍덕천동]](수지구청역) - [[성복동]] - [[상현동]]을 지나가고 [[수인분당선]]은 죽전동 - [[보정동]] - [[마북동]](구성역) - [[신갈동]] - [[구갈동]](기흥역) 방면으로 지나간다. 하지만, 죽전1동에서는 [[수인분당선]] [[오리역]], [[수인분당선]] [[신분당선]] [[환승역]]인 [[미금역]]까지 10분이면 갈 수 있어서 죽전1동 주민들은 마을버스를 이용하여 [[신분당선]] [[미금역]]이나 [[수인분당선]] [[오리역]]을 이용한다. 죽전2동에서는 [[신분당선]] [[동천역(신분당선)|동천역]] 역세권을 포함하고 있어서 죽전2동 주민들은 주로 굴다리 보행로를 통해 [[신분당선]] [[동천역(신분당선)|동천역]]을 이용하여 [[서울특별시|서울]]로 올라가는 교통편이 편리하다. 죽전3동은 [[죽전역(분당선)|죽전역]]까지 15분 소요된다. 죽전3동 주민들은 마을버스를 이용하여 [[죽전역(분당선)|죽전역]]이나 [[오리역]]을 주로 이용하는 편이다. 다만, 죽전역은 행정구역상 [[풍덕천동]]에 붙어 있어서 죽전1동과 죽전3동 주민들이 이용하기에는 다소 불편함이 있다. 오히려 [[풍덕천동]] 주민들이 이용 빈도가 높다. [[분류:수지구의 법정동]][[분류:수지구의 행정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