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줄리아드 스쿨]] ||<-3> {{{#!wiki style="margin: -6px -11px; padding: 7px 11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E5585, #0071BC, #0071BC, #0071BC, #0071BC, #0E5585)" {{{+3 '''{{{#!html The Juilliard School}}}'''}}}[br]{{{-1 '''{{{#!html 줄리아드 스쿨}}}'''}}}}}} || ||<-3><#fff,#191919> [br][[파일:줄리아드 스쿨 로고.png|width=350]][br][br] || ||<-3><#0071BC> {{{#fff '''대학 정보'''}}} || ||<-2> '''정식 명칭''' ||'''The Juilliard School''' || ||<-2> '''설립 연도''' ||[[1905년]] {{{-1 ([age(1905-01-01)]주년)}}} || ||<-2>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2> '''소재''' ||[[뉴욕주]] [[뉴욕시]][br]{{{-2 (New York City, New York, United States)}}} || ||<-2> '''분류''' ||[[사립대학]], [[예술대학]] || ||<-2> '''설립자''' ||프랭크 담로쉬 (Frank Damrosch) || ||<-2> '''총장''' ||데미안 워첼 (Damian Woetzel) || ||<-2> '''발전기금''' ||$1.06 billion {{{-2 (2020년)}}} || ||<-2> '''합격률''' ||7.4% {{{-2 (2021년)}}} || ||<|2> '''재학생''' || '''학부''' ||608명 {{{-2 (2022년 가을)}}} || || '''대학원''' ||400명 {{{-2 (2022년 가을)}}} || ||<|2> '''직원''' || '''교직원''' ||350명 {{{-2 (2022년 가을)}}} || || '''행정직원''' ||736명 {{{-2 (2022년 가을)}}} || ||<|2> '''상징''' || '''마스코트''' ||[[펭귄]] (Penguin) || || '''색상'''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15px; background: #0071BC; font-size: .8em" {{{#fff '''블루 (#0071BC)'''}}}}}} || ||<|2> '''링크''' || '''웹사이트''' ||[[https://www.juilliard.edu/|[[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 '''SNS''' ||[[https://www.linkedin.com/school/the-juilliard-school/|[[파일:LinkedIn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facebook.com/TheJuilliardSchool/|[[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instagram.com/juilliardschool/|[[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JuilliardSchool, 크기=20)] | [[https://www.youtube.com/juilliardschool|[[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3> '''위치''' || ||<-3><#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Juilliard School, 너비=100%, 높이=100%)]}}} || ||<#fff>{{{#!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1k_18-NOB0)]}}}|| ||<#0071BC> {{{#fff '''줄리아드 스쿨 소개 영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줄리아드 스쿨 캠퍼스.png|width=100%]]}}}|| ||<#0071BC> {{{#fff '''캠퍼스 사진'''}}} || [목차] [clearfix] == 개요 == 줄리아드 스쿨(The Juilliard School)은 [[미국]] [[뉴욕]] [[맨해튼]] [[링컨 센터]]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세계 최고의 공연 예술 학교''', '''세계 최고의 [[음대]]''' 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있다. 그 명성에 걸맞게 본 전공인 음악 연주 실력뿐만 아니라, 영어 능력도 기준이 매우 높기로 정평이 나 있다. 심지어 토플 점수가 최저 기준에 충족했다 할지라도, 입학 오디션 때 국제 학생들을 위한 영어 인터뷰에서 학교 측에서 평가를 낮게 주면 입학이 불허될 수도 있다. (그 치열한 라이브 오디션을 통과하고서도 영어 인터뷰를 통과하지 못해 탈락한 사례도 있다.) 아무리 실기가 뛰어난다 한들, 영어에 대한 평가가 까다롭고 철저한 만큼 언어가 되지 않으면 학교에 입학하는 게 힘들다. 줄리아드 음대가 가장 규모가 큰 전공이고 음대가 국내외에 널리 알려져서 그렇지 Drama와 Dance 전공도 있다. 이름을 들어본 [[클래식(음악)|클래식]] 음악 연주자 중 미국에서 공부한 사람들 대부분이 줄리아드 스쿨에서 수학했을 정도로 음대의 명성이 매우 높다. 1905년 음악예술연구원(Institute of Musical Art)이 모체이고 1968년에 오늘날의 명칭으로 개명하였다. 종종 이름으로 인해 학위를 주지 않는 학원 취급을 받을 수 있는데 엄연히 클래식이나 공연예술 전문의 음악대학이다. 학부와 대학원 과정을 합한 학생 수는 약 850명 정도이며, '''합격률은 해마다 지원인원의 6% 정도인데''' 이는 미국에서 합격률이 가장 낮은 스탠퍼드 대학교(4%) [[하버드 대학교]](5%), [[프린스턴 대학교]](5%)에 이어 [[예일 대학교]](6%)와 비슷한 수준이다. Artistic Diploma(AD)나 박사는 악기별로 한 두명 정도나 아예 안 뽑는 경우도 있는 등 극소수만 뽑기 때문에 합격률이 더 욱 낮다. 대학 입학 전의 어린 학생들이 다니는 예비학교 과정(Pre-college division)[* 우리나라의 예중, 예고 같은 학교과정은 아니며 정규학교 수업 후 방과후 과정 처럼 다닌다.], 4년제 학부과정(Bachelor of Music), 정규대학원 과정(Master of Music, Doctor of Musical Arts), 디플로마 과정(Artistic Diploma, Graduate Diploma)이 있다. Graduate Diploma는 학사학위를 소지했지만 아직 석사학위는 없는 사람만을 위한 과정인 탓에 지원자가 다른 과정에 비해 적다고 하니 틈새시장을 노려보도록 하자. [[피아노]] 전공이라면 솔로 피아노보다는 그나마 들어가기 좀 더 수월한(?) 반주 전공(Collaborative Piano)을 노려보는 것도 괜찮다. 국내에 있는 [[한국예술종합학교]]가 줄리아드 스쿨을 벤치마킹하여 설립된 학교다. 한예종의 학제는 줄리아드 스쿨과 비슷하게 예비학교 과정 - 예술사(학부) - 예술전문사(대학원)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학비가 특출나게 비싸다는 오해가 있으나, 2018년 기준 1년 학비는 $45,110으로 보통의 사립학교들과 비슷한 수준이다. 클리블랜드 음악원보다는 조금 비싸고 맨해튼 음대나 [[뉴잉글랜드 음악원]]보다는 약간 저렴한 편. 대신 줄리아드 스쿨은 [[장학금]]이나 재정보조 사정이 조금 나은 편이라고 한다. 하지만 비교 대상인 미국 대학교 학비들이 원래 비싼데다가 뉴욕의 생활비를 고려하면 돈이 많이 드는 건 사실이다. [[https://www.juilliard.edu/|웹 사이트]] == 학과 == * [Music] * Instruments[* 순서대로 [[금관악기]], Collaborative Piano, [[기타]], [[하프]], [[오르간]], [[타악기]], [[피아노]], [[현악기]]가 있다.] * Vocal / Opera Arts * Jazz Studies * Historical Performance * Composition * Orchestral Conducting * [Dance] * [Drama] * Acting * Playwriting == 출신 인물 == ##가나다 순 정렬. 나무위키에 문서가 있는 인물 위주 작성. === 음악 === * [[강효]] * [[게릭 올슨]] * [[길 샤함]] * [[김덕우]] * [[김대진(피아니스트)|김대진]] * [[김봄소리]] * [[로웰 리버만]] * [[리처드 용재 오닐]] * [[마린 알솝]] * [[마일스 데이비스]] * [[미도리 고토]] * [[박혜상]] * [[박선혜]] * [[박세두]] * [[배리 매닐로]] * [[백건우]] * [[버나드 허먼]] * [[선우예권]] * [[앨런 그린스펀]] : 미국 [[연방준비제도]] 이사회 전 의장인 그 사람 맞다. 본래는 고등학교 때부터 음악을 전공하였고, 1943년에 입학해서 다음해인 1944년까지 [[클라리넷]]을 배웠다. 그러나 이후 경제학으로 전공을 바꿔서 1945년 뉴욕대학교 스턴 경영대학원에 입학하여 경제학을 공부했다. * [[요요마]] * [[유진 박]] * [[이승일]] * [[이작 펄만]] * [[이주연(음악인)|이주연]] * [[이태원(1966)|이태원]] * [[임동혁(피아니스트)|임동혁]] * [[임형주]] : 예비학교 출신 * [[장영주]] * [[장한나]] : 예비학교 출신 * [[정경화]] * [[정명화]] * [[정명훈(지휘자)|정명훈]] * [[조던 루데스]] * [[조수아(성악가)|조수아]][* 본명은 조푸름이나 조수아(Jo Sua)라는 예명으로 활동하고 있다.] * [[존 노]] * [[존 바티스트]] * [[지박]] * [[지용(피아니스트)|지용]] * [[추희명]] * [[필립 글래스]] * [[홍혜경]] === 드라마 === * [[길리언 제이콥스]] * [[데이비드 가렛]] * [[로빈 윌리엄스]] * [[리 페이스]] * [[마야 호크]] * [[발 킬머]] * [[브래들리 휘트포드]] * [[비올라 데이비스]] * [[샘 윗워]] * [[아담 드라이버]] * [[오스카 아이작]] * [[윌리엄 허트]] * [[제니퍼 카펜터]] * [[제시카 차스테인]] * [[존 윌리엄스]] * [[케빈 스페이시]] * [[케빈 콘로이]] * [[켈리 맥길리스]] * [[켈시 그래머]] * [[테요나 패리스]] * [[토마스 깁슨]] * [[톰 블라이스]] * [[팀 블레이크 넬슨]] == 관련 문서 == * [[음악대학]] * [[미국/교육]] * [[대학입시/미국]] * [[국외 소재 대학교 일람/북미]] * [[대학 서열화/외국/미국]] * [[유학/국가별 정보]] * [[외국 유학 장학금]] * [[NCA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