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의 원내 구성)] [include(틀: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의 원내 구성)] ||<-2> [[파일:중국국민당 혁명위원회 로고.png|width=160]] || ||<-2> {{{+1 {{{#fff '''중국국민당 혁명위원회'''}}}}}}[br] {{{#fff '''中国国民党革命委员会'''[br]'''Revolutionary Committee of the Chinese Kuomintang(RCCK)'''}}} || || '''창당일''' ||[[1948년]] [[1월 1일]] ^^([age(1948-01-01)]주년)^^ || || '''중앙당사''' ||[[베이징시]] [[둥청구(베이징시)|둥청구]] 둥황청건난제84호[br]北京市东城区东黄城根南街84号 || || '''이념''' ||[[삼민주의]][br][[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 || '''주석''' ||정젠방(郑建邦) || || '''전인대 의석 수'''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94 1.4%, transparent 0%)" {{{#fff '''43석 / 2980석 (1.4%)'''}}}}}} || || '''당색'''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000094; border: 1px #000094; border-radius: 3px; padding: 3px 4px" {{{#ffffff 파란색 {{{-2 (#000094)}}}}}}}}} || || '''당보''' ||단결보 || || '''당원 수''' ||131,410명 ^^(2017년 기준)^^ || || '''공식 사이트''' ||[[http://www.minge.gov.cn/| [[파일:중국국민당 혁명위원회 로고.png|width=25]]]] || [목차] [clearfix] == 소개 == [[중화인민공화국]]의 [[민주당파]] 8개 [[정당]] 중 하나이다. 약칭은 '''민혁'''. [[1948년]] [[1월 1일]], [[국공내전]] 때 [[리지선]], [[천밍수]], [[쑹칭링]], [[차이팅카이]] 등 [[중국국민당]] 내 좌파 당원들이 탈당하여 창당했다. == 상세 == 현재 중국은 [[일당제]] 국가이기 때문에 [[중국 공산당]]의 [[구색정당]]으로서 활동이 제약된 상황이다.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초기(1949-1957년)에는 중국공산당과 정부를 공개적으로 비판하는 등 나름 야당의 모습을 보였고 상당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1957년 [[반우파투쟁]] 때 일부 인사들이 숙청됐고 [[문화대혁명]] 때는 사실상 조직이 와해되어 활동을 중단하는 수모도 겪었다. [[문화대혁명]] 종결 후 조직을 복구했지만 중국 공산당이 허용하는 범위 안에서만 활동하고 있다. [[구색정당]]이긴 하지만 공개적으로 당원을 모집하고 각 [[성(행정구역)|성]]과 [[직할시]]에 지역조직을 갖추고 있다. 신문과 잡지 등의 정기간행물 발행 등 정당으로써 하는 일상적인 활동은 대부분 하고 있으며, 산하 당영기업인 단결출판사를 운영하고 있다. 지금도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나 중국인민대표대회 회기 때에는 언론에 이미 폭로된 중국공산당이나 정부 몇몇 인사의 부패를 비판하곤 한다. 2010년 2월 중국국민당혁명위원회 소속 단결출판사에서 [[장제스]]의 저작 《장개석가서일기문묵선록(蔣介石家書日記文墨選錄)》을 출판했는데 장제스의 저작이 대륙에서 출판된 것은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후 최초다. 책 출판은 [[양안관계]] 개선을 위한 중국공산당과 중국 정부 측의 용인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출판된 책 내용은 장제스 총통과 가족 간의 서신, 장제스 총통의 일기, 장제스 총통의 가족과 주변 인물들에 대한 회상, 장제스 총통의 시와 산문 등 5개장으로 구성돼 있다. [[대만]]으로 이동한 중국국민당과는 [[삼민주의]]를 이념으로 삼고 있는 것을 제외하면 상당히 다르다. 당의 이념으로 [[민주사회주의]][* 애초에 쑨원은 이쪽에 가까웠다. 중국의 반식민지적 현실을 고려해서 즉각적인 마르크스주의, 레닌주의적 혁명은 현실적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했지 그의 삼민주의는 기간 산업의 국유화를 직접 언급하는 등 (포괄적인 의미에서의) 사회주의 지향을 반대하지 않는 반제국주의적 민주주의 혁명 사상으로 보는 게 맞다. 문제는 이런 진보성을 계승할 후계자가 없었으니 당내 우파는 두말할 것도 없고 장제스는 [[4.12 상하이 쿠데타]]로 뒤통수를 후려갈겼고 [[왕징웨이]] 등 자칭 당내 좌파는 연공과 분공 사이에서 오락가락하다가 결국 결렬했으며 왕징웨이는 한 술 더 떠서 장제스도 공개적으로는 부인한 파시즘을 수용하더니 끝내 [[한간]]이 되면서 돌아올 수 없는 다리를 건너고야 말았다. 이러니 국민당의 진보성과 혁명성에 감화되어 입당한 자들로서는 국민당이 돌이킬 수 없는 길을 가게되자 선택의 여지가 공산당 지지 밖에 없었던 것. 중국혁명기를 다룬 팩션 소설을 보면 민혁 등 민주인사가 어째서 내전에서 공산당을 지지하게 되었는지 묘사가 잘 되어있다.]를 받아들였으며 [[중도좌파]] 정당임을 표방한다. 물론 이들은 분명하게 '''중국국민당을 계승한 후신 정당임을 표방하고 있다.''' 창당 때 당원 대부분이 [[중국국민당]] 당원이었다. [[쑹칭링]]만 해도 쑨원의 부인이자 [[중국국민당]]의 중앙집행위원을 역임한 인물이다. 중화인민공화국은 [[대만]]의 중국국민당도 인정[* 중화인민공화국이 중국국민당을 정당으로서 인정한다는 증거는 양안 교류 시 당 대 당 교류 형태로 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대만에 위치한 중화민국은 국가로 인정하지 않지만, 정당으로서의 중국국민당은 인정한다.]하고 있지만, '(중화인민공화국 영토인) [[대만]]의 지방자치 정당'으로 규정한다. == 주요 인물 == * [[쑹칭링]]: 명예주석. * [[리지선]]: 1~4대 주석, 1~4기 상무위원. * [[허샹닝]]: 4대 주석, 2기 부주석, 1~4기 상무위원. * [[청첸]]: 3~4기 부주석, 2~4기 상무위원. * [[차이팅카이]]: 3~4기 부주석, 1~4기 상무위원, * 담평산: 3기 부주석, 1~3기 상무위원. * [[천밍수]]: 2~3기 상무위원. * [[장광나이]]: 2~3기 상무위원. * [[룽윈]]: 3기 부주석, 3~4기 상무위원. * [[장즈중]]: 3기 부주석, 3기 상무위원. * [[사오리쯔]]: 2기 상무위원. * 웅극무: 3~4기 부주석, 3~4기 상무위원. * [[탕성즈]]: 3~4기 상무위원. * [[웡원하오]]: 3~4기 상무위원. * 황소횡: 3기 상무위원. * [[펑위샹]]: 1기 상무위원. * [[류원후이]]: 3~4기 상무위원. * [[천사오콴]]: 3~4기 부주석, 3~4기 상무위원. * [[웨이리황]]: 2기 상무위원 == 역대 주석 == * 초대: 리지선(李济深) - [[1949년]] ~ [[1959년]] * 제2대: 허샹닝(何香凝) - [[1960년]] ~ [[1972년]] * 제3대: 주윈산(朱蕴山) - [[1979년]] ~ [[1981년]] * 제4대: 왕쿤룬(王昆仑) - [[1981년]] ~ [[1985년]] * 제5대: 취우(屈武) - [[1987년]] ~ [[1988년]] * 제6대: 주쉐판(朱学范) - [[1988년]] ~ [[1992년]] * 제7대: 리페이야오(李沛瑶) - [[1992년]] ~ [[1996년]] * 제8대: 허루리(何鲁丽) - [[1996년]] ~ [[2007년]] * 제9대: 저우톄눙(周铁农) - [[2007년]] ~ [[2012년]] * 제10대: 완어샹(万鄂湘) - [[2012년]] ~ [[2022년]] * 제11대: 정젠방(郑建邦) - [[2022년]] ~ == 언어별 명칭 == * [[중국어]] * [[간화자]](간체자): 中国国民党革命委员会 * [[정체자]](번체자): 中國國民黨革命委員會 * [[한어병음]]: Zhōngguó Guómín Dǎng Gémìng Wěiyuánhuì *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Chung¹-kuo² Kuo²-min² Tang³ Ko²-ming⁴ Wei³-yüan²-hui⁴ * [[외래어 표기법/중국어]]: 중궈 궈민당 거밍웨이위안후이 * [[영어]]: Revolutionary Committee of the Chinese Kuomintang[* [[대만]]([[중화민국]])의 [[중국 국민당]]은 the Kuomintang of China를 쓰고 있으나 중국 본토의 민혁은 '중국 국민당' 부분을 the Chinese Kuomintang으로 쓰고 있다. 하긴 이미 Revolutionary Committee of라고 썼는데 뒤에서 또 of를 이용해 전체 명칭을 얽어 놓으면 문법적으로 틀린 것은 아니지만 보기에 지저분하다.] (RCCK) == 역대 선거결과 == === 부주석 선거 === ||
'''연도''' || '''후보자''' || '''득표수 ''' || '''결과''' || || [[1959년]] || '''[[쑹칭링]]''' || 불명 || '''{{{#ffffff 당선}}}''' || || [[1964년]] || '''[[쑹칭링]]''' || 불명 || '''{{{#ffffff 당선}}}''' || ===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부위원장 선거 === ||
'''연도''' || '''후보자''' || '''득표수 ''' || '''결과''' || || [[2013년]] || '''완어샹''' || '''2,970''' || '''{{{#ffffff 당선}}}''' || || [[2018년]] || '''완어샹''' || '''2,970''' || '''{{{#ffffff 당선}}}''' || || [[2023년]] || '''정젠방''' || '''2,952''' || '''{{{#ffffff 당선}}}''' || ===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전국위원회 부주석 선거 === ||
'''연도''' || '''후보자''' || '''득표수 ''' || '''결과''' || || [[2013년]] || '''치쉬춘''' || '''2,237''' || '''{{{#ffffff 당선}}}''' || || [[2018년]] || '''정젠방''' || '''2,158''' || '''{{{#ffffff 당선}}}''' || || [[2023년]] || '''허바오샹''' || '''2,125''' || '''{{{#ffffff 당선}}}''' || == 같이 보기 == * [[민주당파]] * [[중국공산당]] * [[중국국민당]] [[분류:민주당파]][[분류:1948년 정당]][[분류:중국국민당]][[분류:삼민주의]][[분류:중국 내셔널리즘 정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