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중국 관련 문서)] [include(틀:대만 관련 문서)] [include(틀:중국 사대 고전소설)] [목차] == 개요 == {{{+1 中國四大奇書 / 中國四大名著 [br] The Four Great Classic Novels}}} [[명나라]], [[원나라]] 시절의 소설들 중 특출나게 뛰어난 4개의 걸작 소설을 칭하던 말. == 유래 == [[명나라]] 말기의 저명한 통속 문학가 [[풍몽룡]]은 명대의 저명한 네가지 소설인 《[[삼국지연의]]》, 《[[서유기]]》, 《[[수호전]]》, 《[[금병매]]》를 합쳐서 사대기서(四大奇書)라고 했다. 이후 비교적 인지도가 낮은 금병매 대신 [[청나라]] 때의 걸작 소설 《[[홍루몽]]》을 금병매 대신 포함해서 '4대 명저(四大名著)'로 부르기도 한다. 홍루몽은 청나라 중기의 작품이라 최초로 사대기서라는 말이 나온 [[건륭제]] 시절에는 아직 널리 읽혀지지 않아서 포함되지 못했다. 따로 명저라고 묶는 이유는 기([[奇]])라는 글자가 현대 [[중국어]]에서는 (기이한 이야기를 다루는) [[판타지]]라는 의미로 더 널리 통하기 때문에 앞의 네 소설과 달리 판타지적 요소가 거의 없는 홍루몽을 기서라고 칭해지는 것은 [[중국어]] 화자에게는 부자연스럽게 느껴지기 때문이다. 4대 명저는 중국 최고의 고전 장회 소설을 가리키는 것으로, 중국 문학 중의 최고 경전을 일컫는 용어다. 현대에는 그냥 명칭 정도로 여겨지지만, 조선조만 해도 삼국지가 사대기서제일종(四大奇書第一種)[[https://hanauction.com/htm/off_auction_read.htm?id=67907&off_id=171&page=4&ac_num=227|#]] 이라는 이름으로 목판본이 간행되는 등 일종의 출판사 총서 개념으로 실제 유통한 모습이 발견된다. 홍루몽은 한국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중국에서는 매우 애독되는 소설이며 내용 자체가 워낙 방대한 배경지식을 요구하기 때문에 '홍학(紅學)'이라는 전문적이고 학문적인 연구까지 있는 소설이기도 하다. 또는 금병매를 빼지 않고 다섯 번째로 쳐서 '5대 기서'로 부르기도 한다. 금병매는 현대 중국에서 그냥 [[포르노]] 소설(...) 취급이긴 하지만, 금병매도 수많은 학자들이 진지하게 문학으로서 연구를 하고 논문을 쓰는 작품으로 유명하다. 여기에 청대의 [[요재지이]], [[유림외사]], [[금고기관]]까지 더한 '8대 기서' 혹은 '8대 명저'라는 표현도 존재한다. 이 작품들은 드라마틱한 완성도, 주제의식, 문체 등을 포함한 모든 면에서 '''[[중화]] [[고전소설|고전 문학]]의 정점'''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이 작품들은 오늘날까지 오랫동안 쇠퇴하지 않는 가운데, 그 중의 이야기와 장면은 이미 [[중국인]]들의 사상 관념, 가치 취향에도 깊은 영향을 주었다. 네 권의 저작은 모두 예술 수준이 매우 높고, 세밀한 묘사와 함축된 사상은 독자들에게 칭송을 받았으며, 오늘날까지 나온 영화, 드라마 파생 작품은 헤아릴 수 없이 많다. 이 책들의 판매량이 얼마인지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지금도 중국에서는 매년 여러 가지 버전의 4대 명저들이 대량으로 팔리고 있는 중이다. 중국인뿐 아니라 [[한국]], [[일본]], [[베트남]] 등 주변 [[동아시아]] [[한자문화권]]의 [[동아시아인]]들 사이에서도 널리 읽혔으며, 다른 즐길거리가 많아진 21세기 현대에도 이 소설들의 영향력은 매우 크다. 수호전같이 허구한 날 사람들을 죽이고 [[인육]]을 [[식인|먹는]][* 단, 수호전에서 인육을 먹는다고 해서 단지 잔인한 부분으로만 판단할 수는 없다고 봐야 한다.] [[소설]]이나 금병매 같은 진한 [[19금]] 소설도 4대기서로 취급되는 걸로 봐서는 [[무협지]]나 [[야설]]도 잘 쓰면 고전 예술작품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중국의 문학계에서도 중국사대기서는 여전히 수많은 학자들이 진지하게 연구를 하고 논문을 쓰는 작품이기도 하다. 일반적인 인지도는 '''[[삼국지연의]]'''가 가장 높으며, [[서양]]에도 [[동아시아]] 문명권을 대표하는 고전소설로 널리 알려져 있다. 삼국지 다음으로는 보통 --손오공빨로-- [[서유기]]가 꼽히고 [[수호전]]은 삼국지연의, [[서유기]]에 비해서 인지도가 좀 떨어진다. 그리고 [[금병매]]는...그런 소설이 있는 줄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 중국 사람들도 삼국지연의, 서유기, 수호전, 그리고 홍루몽까지는 워낙 유명하기에 잘 알고 있지만 금병매는 이름만 들어 본 ~~[[에로 동인지]]~~ 수준인 경우가 태반이다. [[초한지]], [[열국지]]도 거론되기도 하지만 중국사대기서와 달리 독립된 작품으로 남아있지 않고 문학성도 그렇게 높은 작품은 아니어서 보통 사대기서로는 쳐주진 않는다. [[일본]]에서 [[봉신연의]]라는 만화책이 인기를 얻을 때는 금병매 대신 봉신연의([[봉신방]])를 끼워넣는 사람도 있었다. 하지만 중국사대기서에 봉신연의가 들어가지 않는 것은 단순히 봉신연의의 문장수준, 주제의식, 구성 등 작품성이 위의 네 작품에 영 미치지 못하기 때문이다. [[봉신연의]] 3번 항목 참조. 본고장인 [[중국]]과 [[대만]], [[싱가포르]], [[홍콩]] 등의 [[중화권]]에서는 만화나 소설, 드라마, 연극, 게임으로 두고두고 우려먹고 마찬가지로 [[한자문화권]]인 [[한국]]과 [[일본]], [[베트남]]에서도 만화나 소설, 게임 등으로 우려먹고 있다. [[중국]] 정부에서는 [[중국/문화 검열|원전의 내용이 왜곡된다는 이유로 사대기서의 드라마판 제작을 조만간 금지를 하겠다고 발표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4999329|#]] 다행히 4대기서 가운데 메인인 [[삼국지연의]]는 [[2010년]]에 95부작 [[삼국(드라마)|삼국]]이라는 고퀄리티의 드라마로 방영이 완료되었으며, [[수호전]]과 [[홍루몽]]도 각각 [[2011년]]과 [[2010년]]에 86부작과 50부작 드라마로 제작/방영되면서 다행히 없는 이야기가 된 듯 하다. == 조선에서의 수용 양상 == 한국사의 경우 [[조선]] 시대에는 중국사대기서를 대놓고 읽는 것이 '''금기시''' 되었는데 그 이유는 대충 다음과 같다. * 《[[삼국지연의]]》: '''다른 기서들과는 달리 [[금서]]는 아니었다.''' 오히려 [[http://news.donga.com/3/all/20120309/44657031/1|삼국지연의는 조선시대 최고의 베스트셀러였다.]] 사실 [[촉한정통론]]에 기반을 둔 연의의 경우[* 그런데 사실 나관중은 그 시대 기준으로 [[촉빠]]나 [[촉한정통론|촉한정통론자]]는 아니었다. 정확히 말해서 정통성을 [[촉한]]에 두고 [[유비]]에 우호적으로 저술했지만 당시 시대를 감안하면 [[위빠]], 심지어 [[오빠]]적 성격도 있을 정도로 [[조조]] 및 [[손오]]에 대해서도 어느정도 비중을 늘리고 우호적인 저술을 해줬다. 오늘날의 '[[간웅]]이지만 뭔가 멋있는' 조조의 이미지를 만든 게 나관중으로 나관중 이전의 조조는 그냥 '때려죽여도 시원찮을 대악인'으로 [[소동파]]는 사람들이 삼국지 이야기를 들을 때 유현덕이 져서 쫓겨다니는 부분에서 눈물을 흘리고 반대로 조조가 져서 어려움에 처하는 부분에서는 기뻐한다는 이야기를 실으며 군자와 소인의 영향은 백대가 지나도 끊어지지 않는다고 평가했다. 소동파의 시대는 그래도 [[조위정통론]]에는 좀 우호적인 [[북송]]시대임에도 이정도다. 삼국지연의 이전에 나온 [[삼국지평화]]는 극단적인 촉빠 성향을 보이고 있으며 연의와 비교하면 연의는 그래도 현실역사에 맞춰가며 저술했다면 삼국지평화도 어느정도 그렇긴 한데 [[흉노족]]인 [[유연(전조)|유연]]을 [[한나라]] [[후삼국지|후손이라는 억지설정을 넣어가며 한나라가 다시]] [[천하통일]]하는 억지 [[해피엔딩]](?)으로 끝난다.] [[충의]]라는 [[유교]]적 이념을 충실히 살리고 있으므로, 모든 논리를 유교적으로 해석하려 했던 [[조선왕조]]에서 특별히 금지될 하등의 이념적 이유가 없다. 억지로 이유를 들자면, [[정사 삼국지|정사]]와 소설을 헛갈리는(...) 사람들이 등장[* 단적으로 연의의 허구인 낙봉파에서 죽은 [[방통]] 이야기를 했다가 바보 취급을 당한다거나 하는 이야기가 중국에도 있고, 한국에도 있다.]하기도 해서 대외적으로는 수준 떨어지는 작품으로 취급하고 뒤로는 다들 읽은 모양이다. [[임진록]]에서도 삼국지연의 이야기가 나오고 [[제갈량]], [[도원결의]], [[관우]] 같은 이야기가 엄청나게 많이 나오며 조선시대 임금들도 신하들과의 어전회의에서 삼국지 이야기를 했으며 [[충무공]] 이순신[* 대표적으로 어느날 [[진린]]이 장군성이 흔들리니 당신이 잘못될까 뭔가 불길하다며 [[제갈량]]처럼 수명 연장을 위한 의식이라도 치러보자고 하자 이순신이 그래도 내가 제갈량만 못한데 너무 지나친거 같다며 정중히 거절한다. 즉 두 사람 모두 연의를 읽어봤다는 것이고 실제로도 이순신은 연의를 애독했다고 한다.]을 비롯한 [[조선인]]들도 [[삼국지]] 얘기를 했다는 기록이 심심치 않게 남아 있다.[* 다만 단지 삼국지라고만 말한다면 실제 역사서인 [[진수(서진)|진수]]의 [[정사 삼국지]] 이야기일 수도 있으니까 유심하게 봐야 한다. 그래도 [[조선왕조실록]]에 연의의 창작인 [[도원결의]]가 나온다던가 조선시대에 세워진 [[관왕묘]]에서는 연의의 창작인물인 [[주창]]의 상이 세워져 있는 점으로 미루어 정사가 아닌 연의도 널리 읽힌 것은 틀림없다.] 또한 민간에도 널리 퍼져 2차 창작인 [[적벽가]]란 판소리로 널리 퍼지기도 했다. *《[[수호전]]》: '''[[역모]]를 미화하기 때문. 또한 간휼과 잔학을 가르치기 때문.''' 수호전의 스토리는 도적들이 [[탐관오리]]에 대항하여 [[군벌|무장단체를 조직]], [[역모|조정과 싸운다는 이야기]]인데, 아무리 미화를 해도 이런 식의 범죄집단을 구성하는 것은 [[유교]]사회에서는 절대 용납할 수 없는 이야기였다. 그리고 [[투희]]로 싸우는 [[여장부]],[* [[손이랑]], [[고대수]], [[호삼랑]]이 대표적이다.] [[후건|바느질하는 남자]] 역시 받아들이기 힘들었다. 민간인에게 [[살인]]과 [[약탈]]과 [[방화]]는 필수요, [[이규|여기에 인육 먹는 얘기]], [[이규|별 사소한 이유로 사람을 죽인 얘기]]가 툭하면 나오고 [[불륜|정을 통한다는 얘기]]까지도 가끔씩 나오다 보니 아무리 생각해도 [[19금]]. 현대에도 쇼킹할만하니 조선시대의 취급 또한 당연하다. 또 후반에 조정에 귀순하여 공을 세우기는 하지만, '''[[도적]]들과 [[역적]]들의 이야기'''라는 것도 문제가 될 만하다. 그래도 암암리에 읽기는 많이 읽은 듯하다. *《[[서유기]]》: '''[[불교|부처의 도]]와 [[괴력난신]]을 논하기 때문.'''[* 이에 가장 많이 인용되는 경구가 '[[공자]]는 괴력난신에 대해 이야기하지 않았다.'다.] 애초에 불교가 숭상되는 [[신라]]나 [[고려]] 시절이었다면 모를까, [[숭유억불]]의 유교국가 조선에서 유학자 기준으로 이단 외도의 가르침인 쓸모없는 [[불경]][* 일본의 [[오우치]] 씨가 조선에게 고려시대의 불경 [[팔만대장경]]을 달라고 요청하자 [[http://sillok.history.go.kr/id/kda_10512025_001|우리는 이거 필요도 없는데 그냥 쟤들 줄까라고 논의된 적도 있다.]] 다행히 이는 '''팔만대장경판이 소중한 물건은 아니지만, 그걸 요구한다고 줬다간 나중에는 더 큰 것을 요구할 것'''이라는 이유로 대신들이 반대해서 지금까지 남아있다.]을 구하러 [[인도]]까지 가는 이야기가 씨알이 먹힐 리가 없다. 게다가 온갖 [[요마]]가 나오는 이야기이고 주연들까지도 유학자들이 거슬릴 [[승려]] 한 명 빼면 죄다 [[수인]]이다. 그런데 조선시대 건축에서 '''[[궁궐]]''' 지붕에 올리는 [[잡상]]들 중 '''[[삼장법사]], [[손오공]], [[저팔계]], [[사오정]]'''이 들어있는 것을 보면 뒤로는 다들 읽었으리라 생각된다. *《[[금병매]]》 : '''[[야설|너무 야해서.]]'''(...) 그래서, 성적으로 보수적이었던 조선시대에는 공식적인 한글 번역서가 아예 없었다. 하지만, [[허균]]이 [[한정록]]에서 뛰어난 작품이라고 언급한 걸로 보면, 암암리에 많은 사람들이(...) 몰래 읽긴 읽은 모양이다. 일단 삼국지연의만 빼면 금기시되었지만, 금기시할뿐이고 대놓고 금서로 지정한 것은 아니었다고 한다. 그래서 [[영조]]의 경우는 [[조선왕조실록]]에서도 삼국지연의, 수호전, 서유기를 즐겨읽었다는 기록이 있다. 심지어 신하가 낭독해주는 걸 듣기도 했다고 하는데, 그런 의미에서 보면 쉬쉬하며 읽는 건 되고 너무 대놓고 읽는 건 안 되는 그런 수준이었던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단, 정조땐 [[문체반정]]이 있었기에 사대기서가 모두 금지됐었다. == 관련 문서 == * [[고전소설]] * [[삼국지]] * [[삼국지연의]] * [[서유기]] * [[수호전]] * [[금병매]] * [[홍루몽]] * [[초한지]] * [[열국지]] [[분류:중국 고전 소설]][[분류:중국사/숫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