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8E018, #F8E018)" '''[[민주당계 정당|{{{#000000 대한민국의 민주당계 정당}}}]]'''}}}|| ||<:>[[중도개혁통합신당]]||<|2><:>{{{+1 →}}}||<|2><:>'''{{{#000000 중도통합민주당}}}'''||<:>{{{+1 →}}}||<:>[[민주당(2007년)|민주당]]|| ||<:>[[민주당(2005년)|민주당]]||<:>{{{+1 →}}}||<:>[[대통합민주신당]][br]{{{#!html
(개별 합류)}}} || [include(틀:제17대 국회의 원내 구성)] ||<-2><:>[[파일:중도통합민주당 로고.svg|width=250]]|| ||<-2><:>{{{#000000 '''중도통합민주당'''}}}|| ||<:>'''다른 표기'''||Centrist United Democratic Party(CUDP)[br]中道統合民主黨|| ||<:>'''약칭'''||통합민주당|| ||<:>'''창당일'''||[[2007년]] [[6월 27일]]|| ||<:>'''당명변경'''||[[2007년]] [[8월 13일]] ,,([[민주당(2007년)|민주당]]),,|| ||<:>'''해산일'''||[[2008년]] [[2월 17일]] ,,([[통합민주당(2008년)|통합민주당]]으로 신설합당),,|| ||<:>'''통합 정당'''||[include(틀:중도개혁통합신당)], [include(틀:민주당(2005년))]|| ||<:>'''대표'''||[[박상천]] ,,초대(공동),,[br][[김한길]] ,,초대(공동),,|| ||<:>'''원내대표'''||[[강봉균]]|| ||<:>'''중앙당사'''||[[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67 (여의도동)|| ||<:>'''의석 수'''||{{{#!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F7C517 2.4%, #ddd 0%)" {{{#black '''8석 / 299석'''}}}}}}|| ||<:>'''당 색'''||<:>{{{#000000 노란색 ,,(#F7C517),,}}}|| ||<:>'''이념''' ||[[자유주의]][br][[보수자유주의]][br][[중도개혁주의]][br][[사회보수주의]]|| ||<:>'''공식 사이트'''||--[[http://www.minjoo.kr/|www.minjoo.kr]]--[* 지금은 폐쇄 되었다.]||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중도통합민주당_창당.jpg|width=100%]]}}} || [[민주당(2005년)]]과 [[중도개혁통합신당]]이 신설 합당하여 48일간 존속한 정당. '''중도통합민주당'''의 전신인 민주당 창당년도는 2000년이지만[* 2000년 창당 당시엔 [[새천년민주당]].] 신설 합당을 하였기 때문에 창당년도가 2007년이 되었다. 이 합당으로 소속의원 34명이 되어 원내[[교섭단체]]가 되었다. 그러나 [[2007년]] 7월 말엔 6명의 의원이 탈당, [[8월 3일]]엔 [[김한길]] 공동대표를 비롯한 19명의 의원들이 탈당하자, 중도통합민주당 당명으로 활동한 지 2개월이 채 안된 2007년 8월 13일, 다시 합당 이전의 상태[* 비교섭단체로 강등과 [[민주당(2007년)]]으로 당명·로고 원상복구. 아마 2000년에 창당한 새천년민주당의 직접적인 후신 정당이라는 정통성을 강조하고자 도로 민주당으로 복구한 듯하다.]로 돌아갔다. --도로 민주당-- == 로고 == 로고는 농악대의 상모 돌리기를 형상화한 것이라고 한다. 상모는 복을 불러 들이는 것으로 대한민국의 번영을 상징하며, 점점 확산되는 로고의 원심력과 진한 색으로의 변환은 중도 세력의 힘을 모아 확산하겠다는 정신을 의미한다. 로고의 노란색은 정권교체와 창출을 이룬 50년 정통 민주당의 정신을 계승하고[* 다만 수평적 정권교체를 이뤘던 [[새정치국민회의]]의 상징색은 초록색이었다. 노란색은 [[평화민주당]]과 [[열린우리당]] 시절 상징색이었다.] 주황색은 중도통합의 정신으로 화합을 이루어 대한민국을 통합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며, 오렌지색(진한 주황색)은 대한민국을 위해 열심히 일하겠다는 열정을 나타낸다. == 비판 == 두 정당이 통합하기는 했지만 유기적인 결합에 이르지는 못해서 [[따로국밥]]에 비유되기도 했다. 대표적으로 [[김한길계]]는 [[중도개혁통합신당]] 시절의 홈페이지를 계속 사용했고, 박상천계는 이전 [[민주당(2005년)|민주당]]의 홈페이지를 계속 사용했다고 한다. [[https://news.mt.co.kr/mtview.php?no=2007080816343609925|#]] 잦은 당적 변경에 [[네이버]] 등의 포털에도 소속 의원의 당적이 제대로 표기되지 못하는 상황도 벌어졌다. == 역대 지도부 == [include(틀:중도통합민주당 대표)] * 공동대표 * [[박상천]] 대표(2007.6.27.~2007.8.13.) - 2007년 8월 3일까지는 김한길과 공동대표. 김한길의 대표직 사퇴 후 1인 대표가 된다. * [[김한길]] 대표(2007.6.27.~2007.8.3.) - 중도개혁통합신당의 당 대표인 상태에서 민주당과 신설 합당을 하여 공동대표가 됐다. 허나 8월에 [[열린우리당]]과 탈당파들이 합쳐져서 [[대통합민주신당]]이 창당되자 김한길계와 기존 [[새천년민주당|민주당]] 소속이었던 [[김효석(1949)|김효석]], [[이낙연]], [[채일병]], [[김홍업]] 등 지역구 의원들이 대통합민주신당으로 이적했다. 이적과 동시에 김한길은 대표직 사퇴. 훗날 김한길은 자신이 [[민주당(2013년)|당 대표인 상태]]에서 [[안철수]] [[새정치연합|세력]]과 [[새정치민주연합|신설 합당]]하여 또 한번 공동대표가 된다. == 원내대표 == [include(틀:중도통합민주당 원내대표)] * [[강봉균]](2007년 6월 27일~2007년 8월 13일) == 여담 == 후신인 [[통합민주당(2008년)|통합민주당]]과 마찬가지로 당적변경의 쌍두마차(...)인 [[이인제]]와 [[김한길]]이 잠시나마 함께했던 정당이다. 이후 이인제가 [[국민의힘]] 당적을 가지게 되고, 김한길이 윤석열 대선캠프에 합류하게 되면서 2022년 둘의 조우가 다시 이루어졌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민주당계 정당(국민의 정부-참여정부))] [include(틀:제3지대/정당(참여정부-이명박 정부))] [[분류:민주당계 정당]][[분류:호남권 지역정당]][[분류:중도개혁주의 정당]][[분류:2007년 정당]][[분류:나무위키 정당 프로젝트]][[분류:2008년 해체]][[분류:한국의 없어진 정당]][[분류:김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