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엑스박스 주요 게임)] [include(틀:죽기 전에 꼭 해야 할 비디오 게임 1001)] ||<-2>
{{{#000000,#dddddd '''{{{+1 지뢰 찾기}}}'''[br]''Minesweep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지뢰 찾기 화면.png|width=100%]]}}} || ||<-2> '''{{{#ffffff [[Windows 8.1|{{{#ffffff Windows 8.1}}}]]([[Windows 8|{{{#ffffff 8}}}]]), [[Windows 10|{{{#ffffff 10}}}]] 버전 지뢰 찾기}}}''' || || '''개발''' ||[[Microsoft Casual Games]] &[br]아카디움 || || '''유통''' ||[[Xbox Game Studios|[[파일:Xbox Game Studios 로고.svg|width=70&theme=light]][[파일:Xbox Game Studios 로고 화이트.svg|width=70&theme=dark]]]] || || '''등급번호''' ||[[http://www.grb.or.kr/Statistics/Popup/Pop_StatisticsDetails.aspx?13d256f5febdfd7c102b3cd1f8449829cecd98f227eaeaf17ed258610ac557e8|CC-NP-120608-015]][* 단순한 [[번들]] 게임이지만 [[게임물관리위원회]]의 정식 심사를 받았다.] || || '''심의 등급''' ||[[게임물관리위원회|[[파일:게관위_전체이용가.svg|width=16]] '''{{{#000000,#dddddd 전체 이용가}}}''']][* [[http://www.grb.or.kr/Statistics/Popup/Pop_ReasonInfo.aspx?13d256f5febdfd7c102b3cd1f8449829cecd98f227eaeaf17ed258610ac557e8|링크]]] || || '''다운로드''' ||[[https://www.microsoft.com/ko-kr/p/microsoft-minesweeper/9wzdncrfhwcn?activetab=pivot:overviewtab|[[파일:Microsoft Store 로고 다크.svg|width=25&theme=light]][[파일:Microsoft Store 로고.svg|width=25&theme=dark]]]] || [목차] [clearfix] == 개요 == >지뢰 찾기는 기억력과 추리력을 요하는 겉보기에 간단한 게임으로, 지금까지 어떤 [[Microsoft Windows|Windows]] 게임보다도 많은 인기를 누리고 있습니다. 지뢰를 피해 빈 사각형을 찾는 것이 이 게임의 목표입니다. > >'''[[참 쉽죠?|간단한 것 같습니까?]]''' >---- >— [[Windows 7]] 지뢰 찾기 '도움말' 메뉴 [[Microsoft Windows]]에 포함된 기본 게임 중 하나이자 [[Windows 3.1]]부터[* 이때의 지뢰 찾기 디자인은 XP 때까지 이어졌다. 다만 [[Windows 9x]] 계열에서는 숫자, 깃발, 지뢰의 디자인이 다소 달라지기는 했다.] [[Windows 7]]까지 꾸준히 개근해 온 게임. [[Windows 3.0]]에서는 지뢰 찾기 대신 바둑판 놀이라고 하여 [[오셀로]](othello)를 지원했다.[* 정확히는 이 시절부터 지뢰 찾기가 있었는데, 이때는 [[https://en.wikipedia.org/wiki/Microsoft_Entertainment_Pack|Microsoft Entertainment Pack]]이라는 별도로 출시된 게임 모음의 일부로 포함됐다. [[프리셀]]도 본래 이 게임 모음의 일부였다.] 윈도우 말고도 [[Linux|리눅스]] 몇몇 배포판 혹은 [[와인(소프트웨어)|와인]] 설치 시 같이 들어있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의외로 비디오 게임 원시기(즉 메인프레임 컴퓨터로 만들어진 게임)부터 있었던 게임. 제리맥 래티프가 개발한 '큐브'(Jerimac Ratliff's Cube)라는 게임이 그 원형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1980년대 다양한 소프트웨어 회사에서 만들어지면서 지뢰 찾기가 슬슬 보급되다가 윈도우로 인해 이제는 윈도우를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가지고 있을 수밖에 없는 게임이 됐다. == 난이도 == Windows 기본 지뢰 찾기뿐만 아니라 파생작들도 난이도를 정의할 때 대부분 아래 기준을 따른다. 괄호는 지뢰 비율. * 초급 : 가로 9, 세로 9, 지뢰 10개 (12.3%) * 과거에는 가로 8, 세로 8, 지뢰 10개로 15.6%였으며 [[Windows 2000]] 버전에서 지금처럼 변경되었다. 중급과 지뢰 비율이 같다는 점 및 후술할 찍기 문제 때문에 가로, 세로 길이가 각각 1씩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 중급 : 가로 16, 세로 16, 지뢰 40개 (15.6%) * 고급 : 가로 30, 세로 16, 지뢰 99개 (20.6%) 초보자 기준으로 지뢰 비율 약 15%, 즉 중급 정도까지는 쉽게 느껴질 수 있다. 지뢰 비율이 20%가 넘어가면 추론만으로 못 푸는 경우가 급격하게 늘어나기 시작하며, 약 25~30%부터는 추론만으로 풀기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 == 플레이 방법 == 플레이 목표는 '''맵에 지뢰가 존재하는 칸만 남기는''' 것. 플레이 방법은 칸을 클릭하는 것. 지뢰가 없는 칸을 클릭하면 그 칸과 연결된 (주변에 지뢰가 하나도 없는) 칸이 모두 사라지며, 지뢰가 있는 칸만 남기고 모든 칸을 없애는 것이 클리어 조건이다. 지뢰가 있는 칸을 클릭하는 즉시 게임오버다. 즉 이름과 달리 막상 지뢰를 직접 찾으면 안 된다(…). 게임을 시작하면 아무 칸을 눌러야 한다.[* 처음부터 지뢰가 있는 칸을 누르면 바로 게임오버다. 다만 요즘에는 첫클릭에 죽지 않도록 설정해두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는다.] 만약 클릭한 칸 주변에 지뢰가 존재하면 숫자가 뜨게 된다. 이 숫자는 그 칸을 중심으로 한 3×3 영역에 몇 개의 지뢰가 존재하는가[* 누른 칸에 숫자 2가 나온다면, 클릭한 주위 3x3지역에 지뢰가 2개 있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이렇게 나타나는 숫자들을 가지고 인접한 8칸에 숨어 있는 [[지뢰]]를 우클릭해서 깃발을 꽂아야 한다. 절대 밟으면(좌클릭) 안 된다. 밟는 순간 [[게임 오버]]. 그 칸을 포함해 모든 지뢰의 위치가 드러난다. 마우스 왼쪽 버튼 클릭으로 한 칸 열기, 오른쪽 버튼 1번 클릭은 지뢰 위치 확정(깃발 꽂기), 오른쪽 버튼 2번 클릭으로 물음표 표시[* 이 기능을 옵션으로 없앨 수도 있다. MS 지뢰 찾기도 해당 옵션이 제공된다.]를 할 수 있다. 또한 숫자가 쓰여진 칸 주변에 깃발을 꽂은 후 숫자가 쓰여진 칸에 왼쪽+오른쪽 버튼을 같이 클릭, 왼쪽 더블 클릭, Shift+좌 클릭, 휠 클릭 중 하나의 동작을 하면 그 칸에 인접한 칸들 중 깃발이 꽂히지 않은 칸을 전부 열어버리는 기능이 있다.[* 윈도우 8(또는 8.1) 이상의 Minesweeper에서는 이 기능 이름이 화음(chord)이라고 한다. [[https://en.wikipedia.org/wiki/Mouse_chording|여기]]에 따르면 마우스 버튼을 여러 개 누르는 모습이 마치 화음 연주와 비슷하다는 이유인 듯. 도전 과제 중에 '화음이 있는 사람'이라고 해서 첫 클릭을 제외하고 모두 화음과 깃발만 써서 3번 이겨야 하는 미션이 있다.] 당연히 깃발의 위치가 잘못된 상태에서 이 기능을 쓰면 열린 칸 중에 지뢰가 있었다는 뜻이 되므로 즉시 게임 오버. 오른쪽 클릭, 즉 깃발 꽂기 없이 그냥 열기만으로도 플레이가 가능하다. 양클릭을 사용할 수 없게 되므로 클릭이 더 많이 필요할 가능성이 높고 실수할 확률도 커지지만, 효율적으로 깃발을 꽂아 클릭 수를 줄이지 않아도 되고 동선을 효율적으로 짜서 실제 속도가 더 빨라지는 경우가 많다. 고급 세계기록 플레이들은 깃발 꽂은 수가 20개 이하인 경우가 많고, 약 9년 동안 깃발을 쓰지 않고 클리어한 게임이 중급 세계기록이었다. (카밀 무란스키의 7.03초) == 시리즈 == * [[Windows 3.1]] * [[Windows 95]], [[Windows 98]], [[Windows ME]] * [[Windows 2000]], '''[[Windows XP]]''' [[파일:windows-2000-minesweeper.png]] [[파일:windows-xp-minesweeper.png]] 많은 사람들이 기억하고 있을 지뢰찾기의 전성기. 미니멀한 그래픽과 시원한 가시성으로 현재까지 최고의 디자인으로 인정받는다. === [[Windows Vista]]~[[Windows 7|7]] === [[파일:S0ljnz4.png]] * 처음 클릭하는 칸과 그 주변에 지뢰가 없는 게 보장된다.[* 최적의 플레이를 할 때, 고급 승률이 53% 정도가 됐다. 이전 규칙으로는 약 40% 정도다.] * 그래픽과 사운드가 대폭 업그레이드됐다.[* 시작, 첫 클릭, 클릭, 지뢰 폭발 등 사운드가 추가됐고, 매우 딱딱한 네모 모양이던 Windows XP 버전과는 다르게 약간의 그라데이션 효과가 적용되어 있다. 그리고 지뢰가 터질 경우 펑 터지는 효과와 사운드와 함께 순차적으로 폭발한다.] * 각 난이도별로 전적을 기록한다.(예전에는 최단시간만 기록됐다) * 실패한 후 그 판을 처음부터 다시 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 즉, 지뢰의 위치가 변하지 않고 그대로다. 그렇기 때문에 새로 시작하는 것과는 달리 첫 턴에 지뢰가 걸릴 수도 있다. * 지뢰를 꽃으로 바꿀 수 있다. * 보드를 녹색과 파란색 두 가지를 지원한다. * [[엑스박스 360|XBOX 360]] 컨트롤러를 지원한다. 지뢰를 밟으면 진동까지 온다. * 저장 기능을 지원한다. * 지뢰를 밟으면 순차적으로 폭발한다.[* 다만 비디오 카드 드라이버가 없거나 애니메이션 효과 옵션이 꺼져있으면 3.1~XP 버전처럼 한 번에 터진다.] === [[Windows 8]] 이후 === [[파일:external/79e2ea95aa2c40c5fda5888fedadc01494d9caed12a8244e4b5f23a172f793ad.jpg|width=500]] 데스크탑 모드에서 실행되는 게임이 아니고 메트로 인터페이스상에서 실행되는 앱 형태의 게임으로 바뀌었다. 게다가 윈도우에 기본으로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에서 따로 다운로드하거나, 엣지(Edge), 크롬(Chrome), 웨일(Whale) 등의 브라우저에서 특정 사이트를 방문해 플레이해야 한다. 지뢰찾기 게임을 실행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에서 '지뢰찾기' 또는 'Microsoft Minesweeper'라고 검색하면 나온다. 혹시 스토어에 검색이 안 될 경우에는 [[https://www.microsoft.com/en-us/p/microsoft-minesweeper/9wzdncrfhwcn|영어 지뢰 찾기 페이지]]로 들어가, 지역을 미국으로 바꾸고 검색해보자. * 브라우저에서 이용할 수 있는 [[https://intlivi.com/bbs_detail.php?bbs_num=203&tb=b_mh_ibl_765&id=gpm&pg=&start=&delivery=0|마이크로소프트 마인스위퍼]]의 경우 다운로드와 설치가 필요 없기 때문에 편리함이 장점이다. 동일한 컴퓨터이고 브라우저 종료 시에 자동 쿠키 삭제 설정을 따로 해두지 않았다면 자신의 플레이 기록이 자동으로 저장된다. * 그래픽이 완벽하게 리뉴얼됐다. 이전까지 창 모드로만 실행되던 추레한 그래픽에서 일신하여 그야말로 --화려하기만 하고 눈은 더럽게 아파서 게임을 할 수가 없는-- HD급의 그래픽이 무엇인지 잘 보여준다. * 참바 상태에서도 게임을 돌릴 수 있다. * 라이브 계정과 연동한 도전과제를 지원한다. * '오늘의 도전'이라는 XBOX 360 연동 과제 시스템이 도입됐다. * '오늘의 도전'에서는 여러 가지 모드를 즐길 수 있다. 본 게임과 달리 모든 모드에서 맵의 가운데 4×4가 뚫려 있고(즉, 지뢰가 없다), 지뢰를 정해진 개수 이상 터뜨리지만 않으면 바로 실패 처리되지 않는다. 때때로 "타임 트라이얼"이라는 이름으로 제한시간을 걸어두는 경우도 있다. 날짜가 지난 챌린지도 플레이할 수는 있지만 두 달 이상 지났을 경우 프리미엄 정액제를 구입해야 할 수 있다. 오늘의 도전에 등장하는 모드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클래식: 목표는 본 게임과 같으며, 힌트로 몇몇 칸은 처음부터 열려있다.[* 숫자가 없는 빈칸이 나올 때도 있는데, 여기에 화음(좌우 동시 클릭)을 써서 시야확보를 할 수 있기에 처음에 빈칸이 많을수록 클리어하기 수월해진다. 다만 8칸이 전부 숫자로 둘러쌓인 꽝일수도 있다.] * 깃발: 지뢰가 있는 칸 위에 일정 개수(10개)의 깃발을 꽂아야 한다. 한 곳이라도 잘못 꽂으면 마지막 깃발을 꽂는 동시에 폭탄이 터지면서 실패로 처리된다. 빈 칸은 열 수 없다. * 보물 찾기: 맵 어딘가의 한 칸에 보물이 숨겨져 있으며, 보물은 주변 8칸이 모두 지뢰로 덮여 있다. 지뢰의 배치를 참고해서 보물이 있는 곳을 눌러야 한다. * 탭: 지뢰가 없는 칸을 일정 횟수(10개 또는 15개) 눌러야 한다. 깃발은 꽂을 수 없다. 화음(좌우 동시 클릭)이나 숫자도 없는 빈 칸이 단체로 열리는 경우는 1탭으로 처리되므로 주의. 초급 난이도에서 매우 낮은 확률로 탭은 남아 있는데 보드가 클리어된 경우에는 성공으로 처리된다. * 폭발: 맵상에 있는 모든 지뢰를 '''눌러서 터뜨려야 한다.''' 화음(좌우 동시 클릭)은 동작하지 않지만 그 대신 지뢰를 누를 때마다 주변의 빈칸이 드러난다. 지뢰가 없는 칸을 일정 횟수 이상 열면 실패로 처리된다. * 다양한 테마를 설정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현대식 테마와 정원 테마를 설정할 수 있는데, 정원 테마는 풀밭 위에 지뢰 대신 무당벌레가 숨어 있다. [[윈도우 비스타]] 시절의 지뢰를 꽃으로 바꾸는 모드로부터 온 듯하다. 중국어판에서는 현대식 테마로 변경할 수 없는 듯 하다. * 튜토리얼 모드를 통해 게임을 처음 시작하기에 앞서 게임의 규칙을 설명해준다. 일반 모드 및 모험 모드 공통. 이게 왜 중요하냐면 기존까지 지뢰찾기의 경우 처음 시작 시에도 직접적인 튜토리얼이 없어서 상대적으로 직관적인 룰의 [[클론다이크|카드놀이]]에 비해 혼자서는 제법 진입장벽이 높은 게임이었다. * '''프리미엄 정액제를 판매하고 있다.''' 월 2500원, 연간 11900원이며 기능은 다음과 같다. * '''광고 제거''' * 무료 계속하기 - 게임오버 시 해당 판을 광고없이 한번 계속할 수 있다. * 지난 일일 챌린지 플레이 - 두 달 이상 지난 일일 챌린지를 플레이할 수 있게 된다. * 10% 추가 경험치 === 공인 기록 === 지뢰 찾기도 최고 기록이 있으며 [[https://minesweepergame.com/world-records.php|공인 랭킹]]도 있는데 이젠 1초 단위로도 모자라 0.01초 단위로 경쟁하고 있다. 아래의 기록은 모두 공인 랭킹 기록.[* XP 이전 규칙이 적용되어, 처음 클릭하는 칸은 지뢰가 아니지만 숫자 하나만 나올 수도 있다.] * 세계 최고 기록 * 초급: '''0.45초'''[* 최소 3BV 2. 운이 좋아서 한 번의 클릭으로 깬 게임은 3BV가 1이므로 기록에 포함되지 않는다. 추론 없이 아무렇게나 클릭하다가 끝난 게임들도 인정되지 않는다. 폴란드의 kiraa96이 2021년에 기록했다. 다만, 중국 랭킹에서는 모든 3BV 2 이상인 게임을 인정하고, 이 쪽에서는 0.1초 밑으로 클리어한 게임들도 찾아볼 수 있다.] * 중급: '''5.80초'''[* 최소 3BV 30. 중국의 Ze-En Ju가 2022년에 세운 기록] * 고급: '''28.84초'''[* 최소 3BV 100. [[https://www.youtube.com/watch?v=aKML1EbVCvY|중국의 Ze-En Ju]]이 세웠다.] * 국내 최고 기록[* 셋 다 고영주씨가 세운 기록이다.] * 초급: '''0.93초''' * 중급: '''12.64초''' * 고급: '''40.62초''' == [[지뢰 찾기/공략|공략]]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지뢰 찾기/공략)] == [[지뢰 찾기/찍기|찍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지뢰 찾기/찍기)] == 파생작 == * [[https://minesweeper.online/ko/|'''Minesweeper Online''']] 웹으로 지뢰찾기를 즐길 수 있는 사이트. 좌클릭으로 양클릭, 커스텀 레벨, 관전과 리플레이, 재시도 기능에 '''찍기 없는 모드'''까지 지원되어 무척 편리하다. 무엇보다 힌트 기능과 확률 계산, [[https://minesweeper.online/ko/help/patterns|도움말]]이 잘 되어 있어서 기본을 익히기 좋다. 게임 플레이로 경험치를 얻어 계급을 올릴 수 있다. 퀘스트, 레이드, 투기장 등의 컨텐츠로 보상을 얻어 장비를 구매하고 강화하는 등 RPG와 같은 시스템이 구현되어 있다. 단점으론 광고가 있다. * [[https://g.co/kgs/nEYjrA|구글 지뢰찾기]] 구글에 '지뢰찾기'를 검색하면 나오는 게임. 뛰어난 접근성과 예쁜 디자인으로 인지도가 높으며, 첫 클릭 확정 오프닝에 찍기 패턴도 거의 안 나오는 등 난이도 또한 무척 낮다. 다만 좌클릭으로 양클릭 불가능, 음량 및 이펙트 조절 불가에,,(음소거밖에 없다),, 난이도도 상급이 끝이라 조금만 숙련되어도 Minesweeper Online로 갈아타게 된다. * [[https://cardgames.app/minesweeper/game/|Minesweeper.io]] [[io게임]] 버전 지뢰 찾기. 여러 명의 플레이어가 동시에 같은 맵에서 지뢰를 찾는다. 사각형 맵 이외에도 폭탄, 세계지도 모양이라든지 가운데에 'MineSweeper' 모양으로 구멍이 뚫려 있는 맵도 간혹 나오는데, 이 경우 글자가 굉장히 좁기 때문에 지뢰를 찾기 매우 어렵다. * [[https://m3o.xyz//|m3o]] 초대형 멀티플레이 지뢰 찾기. 전체 맵을 보면 세계 지도를 보는 것 같다. 빈 칸을 열거나 깃발을 제대로 꽂으면 점수를 획득할 수 있으며, 실수 없이 오래 플레이할 경우 지뢰를 찾을 때 점수가 높아진다. 단, 빈 칸에 깃발을 실수로 꽂은 경우 그 배수만큼, 지뢰가 있는 칸을 누른 경우 그 10배만큼 점수가 깎인다. Minefield의 개발진이 사이트를 터트리고 잠수를 타자 다른 사람이 개발한 사이트다. * [[http://www.1000mines.com/|Infinite minesweeper]] m3o처럼 맵이 무한하지만 이쪽은 싱글플레이어다. 덕분에 옵션으로 난이도 조절이 가능하다. 게다가 양클릭으로 깃발 꽂기 기능까지 있다. * [[https://coopminesweeper.com/|Co-op Minesweeper]] [[https://www.youtube.com/watch?v=RwkIpPawQn0|영상]] 2인 협동 지뢰찾기. 방 번호로 입장하며 서로의 커서 위치와 타일 클릭이 딜레이없이 반영된다. 아쉽게도 세부 설정이 전혀 없다. * [[https://sinseiki.github.io/mine.js/|mine.js]] 초고급/지고급/최고급 난이도가 있는데, 이 세 난이도는 지뢰가 '''한 칸에 두 개 이상''' 들어간다. 엄청난 난이도지만 평범한 지뢰찾기에 싫증을 느낀다면 신선한 자극이 될 것이다. * [[https://duncanacnud.itch.io/omegasweeper|Omegasweeper]] 지뢰 중 3할은 '''마이너스 지뢰'''다. 마이너스 지뢰의 개수는 -1로 취급 된다. 우클릭 2회로 마이너스 깃발, Shift+N으로 난이도 조절. * [[http://egraether.com/mine3d/|Mine 3D]] 2D인 기존의 지뢰 찾기를 넘어 3D로 만들어진 버전. 3D이므로 상자 속의 숫자는 주변의 26칸(3^^3^^-1)에 있는 지뢰의 개수를 나타낸다. 지뢰의 밀도가 2D 버전보다 적은 편이므로 26칸 중에 지뢰가 하나만 들어 있는 경우도 꽤 있다. 2D처럼 플레이하려면 x, y, z 중 하나를 1로 하면 된다. Classic mode와 Sweep mode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데, 전자는 기존의 규칙과 같으며, 후자의 경우 지뢰가 없는 칸에 지뢰 표시를 하면 게임 오버가 된다. * [[https://minesweepergame.com/download/arbiter.php|Minesweeper Arbiter]] 리플레이와 세부 통계 등을 지원하는 강력한 기능의 지뢰찾기. 해당 게임으로 플레이한 기록은 세계 랭킹에 등재 가능하다고 한다. 지뢰찾기 상급자들이 사용한다고. 사이즈 조절 기능이 없어서 눈이 아플 정도로 화면이 작다. * [[https://www.chiark.greenend.org.uk/~sgtatham/puzzles/js/mines.html|Mines]] [[https://www.chiark.greenend.org.uk/~sgtatham/puzzles/mines.exe|다운로드]] 세이브 로드 기능과 [[시드#난수 용어]] 기능, 찍기 없기 기능이 있다. 웹과 실행파일 모두 가능. 첫 클릭이 무조건 오프닝이다. * [[https://mnsw.pro/|mnsw.pro]] 동일한 보드를 누가 빨리 깨는지 경쟁할 수 있는 멀티플레이어 지뢰찾기. [[https://www.youtube.com/watch?v=2GjI09nC4DM|#]] 협동 모드도 가능하다. [[https://www.youtube.com/watch?v=PFz3pPgQ9AE|#]] 하지만 서버 연결이 매번 안 되는 게 단점. * [[https://versussweeper.com/|Versus Sweeper]] mnsw.pro와 비슷한 보드 경쟁 게임. 서버가 멀쩡한 대신 mnsw.pro와 달리 상대 보드가 보이지 않는다. * [[https://lefun.fun/|Eggsplosion]] 사이트의 여섯 가지 게임 중 Eggsplosion을 선택. 같은 보드를 공유하면서 누가 더 많은 타일을 여는지 승부한다. * [[HEXCELLS 시리즈]] * [[지뢰용사 : 지뢰찾기 초급을 겨우 깰까말까한 내가 이세계에서는 용사라고?]] 지뢰 찾기를 소재로 [[마사토끼]]가 만든 퍼즐 어드벤처 [[동인게임]]이다. 대사와 스토리를 즐길 수 있고 찍기 패턴도 없지만 초보자에겐 어려운 난이도다. * [[간식 찾기]] * [[스타크래프트]] 유즈맵이 있다. [[https://cafe.naver.com/edac/91406|#]] EUD가 잘 되어 있어서 일반 지뢰 찾기와 거의 비슷하다. 하지만 좁은 칸에 많은 지뢰가 있어서 실력이 있어도 상당한 운이 필요하다. * [[타이니팜]]에는 동물원 사파리존에서 지뢰 찾기와 원리가 같은 동물 찾기 게임을 할 수 있다. 여기선 최대한 많은 동물을 찾는 게 목표. 타이니팜 답게 횟수 제한과 랜덤 요소가 강하다. * [[검은사막]]의 [[라키아로|미니 게임]]으로도 등장한다. * [[https://store.steampowered.com/app/867180/Tilesweeper/|Tilesweeper]] 스팀 유료 3D 지뢰찾기. 화려한 비주얼이 세일즈포인트다. 십자가, 계단 모양, S자 모양 등 기존의 게임판과는 다른 전략을 필요로 하는 참신함을 지니고 있다. 물론 우리에게 익숙한 게임판은 클래식 모드로 볼 수 있다. * [[https://armorgames.com/play/6636/cluesweeper|Cluesweeper]] [[클루]]와 지뢰 찾기를 합친 게임. 각 스테이지마다 용의자들이 3~6명 주어지는데 플레이어는 용의자들의 특징과 범인의 특징을 찾아내고, 범인과 특징이 일치하는 용의자를 찾아내어 검거해야 한다. 주변에 있는 지뢰의 숫자 대신 단서의 숫자가 나타나며, 단서들을 찾아내야 한다. 즉 지뢰 찾기의 깃발 기능은 이 게임에서는 단서가 '''없는''' 구역을 표시하는데 쓴다. * [[https://armorgames.com/play/10627/legend-of-the-golden-robot|Legend of the golden robot]] 레벨업과 장비 등 RPG의 특징이 강한 지뢰 찾기. 맵에 몬스터들이 돌아다니므로 몬스터들을 죽이고 레벨업을 하며 장비를 구매하는 등의 방식으로 플레이하게 된다. 돈이 되는 보물이나 장비 아이템들을 찾아내며 진행하게 되고 최종적으로는 다섯 조각으로 나누어진 황금 로봇을 찾아내어 재조립한 뒤 마지막 맵에 있는 최종 보스를 쓰러뜨리는 게 목표다. == 여담 == * 공식 번역명 '지뢰 찾기'는 의역으로, 정확히는 '지뢰 제거'가 맞다. Mine Sweeper는 원래 [[소해함]]이라는 뜻이기 때문. 그래서 이름은 '지뢰 찾기'인데 지뢰를 찾으면 죽는 이상한 게임이라는 개그도 있다.[* 물론 대부분의 사람들은 지뢰를 탐지해서 깃발을 꽂고 나머지 것들을 소거하는 방법을 이용하므로 [[거짓말은 하지 않는다|틀린 말은 아니다.]] 그리고 게임 내에선 지뢰 하나가 터지면 화면 안에 있는 모든 지뢰들이 터지는데, 현실에서도 인근 지뢰도 충격을 받아 터지는 데다가, 옆에서 폭발하는 동료를 본 사람들이 당황할 테니 연쇄폭발이 발생한다. 그래서 게임 이름대로 지뢰를 찾긴 찾았는데, 그 지뢰를 밟고 터져죽은 거라고 생각한다면 게임 오버 화면의 이유가 납득이 갈 수도 있다.] 실제로 [[개그콘서트]]의 코너였던 [[황현희 PD의 소비자 고발]]에서 [[황현희]]가 이를 다룬 개그를 하기도 했다. * 아래의 두 치트 모두 Windows Vista 이후의 버전에서는 먹히지 않는다. MS의 [[이스터 에그]] 관련 정책이 변경된 탓에 같이 사라진 것.[* 비스타 이후의 윈도우라도 XP 버전을 다운로드하면 이 두 치트를 쓸 수 있기는 하다.] * 지뢰 찾기 실행 후 xyzzy[* 1976년에 나왔던 텍스트 어드벤처 게임 'Colossal Cave Adventure'에서 처음 나온 치트 코드. 이 게임에서 적절한 시점에 xyzzy를 입력하면 다른 장소로 순간이동할 수 있다.]를 입력한 다음 Shift를 누른 상태에서 마우스를 게임판 위에 올려보자. 그러면 화면 좌측 상단(지뢰 찾기 창 좌측 상단이 아니다. 윈도우 화면 전체의 좌측 상단)에 1 픽셀 크기의 점이 생기는데 하얀색은 안전한 곳, 검은색은 지뢰가 있는 곳을 가리킨다. * 그 밖에도 한 곳 이상을 연 후에 열지 않은 곳에서 좌우 동시클릭을 하는 도중에 Esc 키를 누르면 시간이 더 흐르지 않는 버그가 있으며, Windows+D 키를 누르면 시간이 흐르지 않는 버그도 있다. * 좌우 대칭, 상하 대칭, 90도/180도/270도 회전으로 일치되는 게임판을 동일한 게임이 아닌 __다른 게임으로 치면__, 초급 레벨의 경우(높이 9칸, 너비 9칸, 지뢰 10개)의 수만 무려 1조 8783억 개[* [math(\dbinom{9 \times 9}{10})] = 1,878,392,407,320]나 된다. 중급 레벨(높이 16칸, 너비 16칸, 지뢰 40개)의 경우의 수는 1049[[재#s-3|재]] 개[* [math(\dbinom{16 \times 16}{40})] = 104,921,249,538,770,987,879,991,995,968,495,941,124,675,048,800개]가 넘으며, 고급 레벨(높이 16칸, 너비 30칸, 지뢰 99개)의 경우 경우의 수가 자릿수로만 [[구골|105자리]]나 된다.[* [math(\dbinom{16 \times 30}{99})] = 560,220,999,337,421,345,429,058,985,775,821,108,059,290,502,723,897,901,281,458,809,527,214,479,570,631,168,198,385,673,295,159,633,481,600][* 관측 가능한 우주 내에 존재하는 원자의 개수를 다 합쳐도 10^^89^^개가 안 된다.] 105자리 숫자는 우리말로는 표기조차 불가능한 숫자다.[* 정확히 말하자면 [[긍갈라]](10^^112^^), [[아가라]](10^^224^^) 등의 더 큰 수의 단위는 존재하나, 10^^104^^의 숫자를 따로 표기하는 단위는 존재하지 않는다. 영어로는 100 Tretrigintillion, 100 Septendecillion 혹은 100 Gooaol 등으로 표기할 수 있다.] 다만 일반적으로 카운트 할 때는 대칭이나 회전으로 게임판이 같아지면 같은 게임으로 취급한다. 위 값들에 각각 ÷16[* 뒤집기(대칭)로 인해 4종류, 돌리기(회전)로 인해 4종류의 중복이 발생하므로 총 4*4=16개의 중복 게임이 존재한다.]을 해주면 실제로 서로 다른 게임의 수가 된다. * 칸 크기를 더 확장할 수 있는 [[http://www.curtisbright.com/msx/|Minesweeper X]][*주의 [[바이러스토탈]] 검사 결과 악성코드가 다수 발견됐으므로 실행에 주의.]의 경우 최대 높이 60칸, 너비 118칸에 지뢰 1460개[* 지뢰는 최대 7008개까지 설정이 가능하지만 60×118칸 크기를 일반 지뢰찾기 고급 난이도와 비슷한 난이도로 플레이 할 때의 지뢰 수는 1460개가 적당하다. ([math(\dfrac{7080}{480})] = 14.75, 99×14.75=1460.25)]로 설정이 가능한데, 이 때는 경우의 수의 개수가 10^^1562^^로, 1,563자리를 넘긴다.[* [math(\dbinom{60 \times 118}{1460})] = 677,731,220,959,757,067,236,709,977,418,704,071,241,104,064,556,557,108,124,167,907,018,813,891,228,110,143,698,942,263,399,167,935,319,450,682,767,542,475,175,597,004,974,768,750,296,859,707,986,757,426,934,852,991,260,368,680,115,941,083,032,447,134,895,802,496,385,613,677,353,678,639,794,441,872,056,681,659,061,111,862,015,737,282,654,258,996,417,078,590,182,437,374,884,363,838,845,696,913,407,970,937,354,771,056,631,144,492,174,814,832,482,714,297,244,936,944,281,209,398,674,955,481,828,003,159,495,647,570,274,705,451,638,225,747,265,727,353,122,227,970,425,504,622,802,539,991,723,740,934,582,628,353,330,080,821,731,739,472,286,884,510,184,620,331,688,539,202,171,321,192,128,386,537,116,545,864,528,388,548,346,250,690,279,938,661,977,455,659,243,867,615,658,266,380,748,136,155,411,204,390,222,626,461,139,274,471,067,751,437,782,952,404,648,146,334,768,947,848,894,236,196,197,203,050,892,665,393,799,687,023,091,640,559,038,264,638,631,506,863,752,539,502,895,336,543,319,659,741,259,066,360,592,931,950,149,601,098,059,621,985,811,628,677,494,240,552,895,549,403,131,654,693,677,438,629,996,658,845,347,232,436,663,235,713,012,754,535,318,193,269,985,316,315,043,401,785,359,041,850,266,760,267,648,142,684,205,416,825,280,665,550,634,866,685,844,865,934,606,529,771,060,572,988,963,498,477,004,974,367,302,020,679,497,073,817,891,970,010,255,066,317,256,339,451,072,727,379,218,557,371,671,906,378,248,800,327,622,915,899,495,982,581,879,951,321,907,232,326,485,613,748,882,975,548,351,720,985,873,406,853,150,915,046,486,667,327,887,373,635,637,037,322,159,598,055,192,298,372,827,460,304,789,999,926,604,882,060,564,918,909,935,292,630,433,451,297,720,380,021,951,807,741,061,204,632,836,597,581,560,442,183,915,962,862,217,226,549,538,979,897,700,415,816,453,922,504,816,989,492,171,580,364,506,251,434,145,794,352,112,864,194,698,254,334,237,321,315,192,338,872,729,076,293,406,794,941,699,398,783,580,271,539,799,494,279,492,303,311,619,396,630,985,496,237,396,491,362,706,878,616,805,986,520,608,868,991,166,006,125,986,198,853,176,047,312,459,528,202,320,000개][* 10^^1562^^는 한국어로는 표기가 불가능하다. 영어로는 100 Novemdeciquingentillion으로 표기할 수 있다.] * 참고로 바둑의 경우의 수가 총 208,168,199,381,979,984,699,478,633,344,862,770,286,522,453,884,530,548,425,639,456,820,927,419,612,738,015,378,525,648,451,698,519,643,907,259,916,015,628,128,546,089,888,314,427,129,715,319,317,557,736,620,397,247,064,840,935가지로 2.6·10^^845^^개 정도. 바둑도 가능한 경기의 수는 그보다 훨씬 많아서 그 자릿수만 최소 49만 자리 숫자라고 알려져 있다. * 버전별 타일 숫자 색은 이러하다. ||
버전 || '''1''' || '''2''' || '''3''' || '''4''' || '''5''' || '''6''' || '''7''' || '''8''' || || [[Windows 3.1|3.1]] || {{{#blue 파란색}}} || {{{#green 초록색}}} || {{{#red 빨간색}}} || {{{#navy 짙은 파란색}}} || {{{#maroon 갈색}}} || {{{#teal 청록색}}} || {{{#black 검은색}}} || {{{#gray 회색}}} || || [[Windows 9x|9x]][* [[Windows 95]], [[Windows 98]], [[Windows Me]]] || {{{#blue 파란색}}} || {{{#green 초록색}}} || {{{#red 빨간색}}} || {{{#navy 짙은 파란색}}} || {{{#maroon 갈색}}} || {{{#teal 청록색}}} || {{{#purple 보라색}}} || {{{#black 검은색}}} || || [[Windows 2000|2000]]~[[Windows XP|XP]] || {{{#blue 파란색}}} || {{{#green 초록색}}} || {{{#red 빨간색}}} || {{{#navy 짙은 파란색}}} || {{{#maroon 갈색}}} || {{{#teal 청록색}}} || {{{#black 검은색}}} || {{{#gray 회색}}} || || [[Windows Vista|Vista]]~[[Windows 7|7]] || {{{#414FBC 파란색}}} || {{{#1E6B00 짙은 초록색}}} || {{{#AC0505 빨간색}}} || {{{#000283 짙은 파란색}}} || {{{#7C0800 갈색}}} || {{{#007D8C 청록색}}} || {{{#AC0505 빨간색}}} || {{{#AC0505 빨간색}}} || || [[Windows 8|8]] 이후 || {{{#18B6D7 하늘색}}} || {{{#78A317 연두색}}} || {{{#D01A61 심홍색}}} || {{{#1851B5 파란색}}} || {{{#A41313 갈색}}} || {{{#008486 청록색}}} || {{{#1F1F1F 검은색}}}[* 과거에는 보라색이었으나 변경되었다.] || {{{#707070 회색}}}[* 과거에는 주황색이었으나 변경되었다.] || * [[게임패드]]를 지원한다. XBOX 360 컨트롤러 기준으로 A가 좌클릭, X가 우클릭에 대응. * [[유희왕]]의 효과 몬스터 카드 [[지뢰거미]]의 모티브다. * '지뢰찾기' 또는 'minesweeper'라고 구글에 치면 지뢰 찾기를 플레이할 수 있다. || [[파일:external/www.minesweeper.info/PratoFiorito2000Lost.jpg]] || [[파일:external/www.minesweeper.info/PratoFiorito2000Icon.jpg]] || ||<-2> 이탈리아의 꽃 찾기 || * 이탈리아에서는 ICBW[* International Campaign to Ban Winmine, 즉 '''지뢰 찾기를 없애자.'''] 캠페인으로 인해 '''지뢰를 꽃으로 대체했다.'''[* [[Windows 2000]]에서는 초록색, [[Windows XP]]에서는 노란색으로 나온다.] 제목 역시 꽃밭을 뜻하는 prato fiorito로 개명됐다. 이는 이탈리아가 과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전쟁이 일어나던 시절에 심어진 수많은 지뢰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많은 인명 피해가 발생했고, 다른 한편으로는 돈을 벌기 위해 수많은 국가들에게 지뢰를 팔아 많은 국가들에게 비난을 받아서 폐쇄하는 등 지뢰에 대한 아픈 기억이 있기 때문. [[Windows Vista]]부터는 모든 국가에서 옵션에 꽃 아이콘을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꽃을 찾았을 시 뭔가 신비한 사운드가 나온다. 윈도우 10의 지뢰 찾기에서 '정원 테마'를 선택하면, 지뢰 대신 무당벌레가 있다. 누르면 터지는 대신 무당벌레들이 다같이 날아간다. * 지뢰 찾기를 보급시킨 것이 [[빌 게이츠]]의 가장 큰 업적이라는 우스갯소리도 있다.[* 혹은 기업들이 "우리 직원들이 자꾸 일 안하고 지뢰 찾기 하는데 이것 좀 윈도우에서 빼주면 안 됩니까?"하는 요청에 게이츠가 직접 "그거 내가 제일 좋아하는 게임인데요? 절대로 못 뺍니다!"라고 답했다는 [[도시전설]]도 있다. 빌 게이츠는 지뢰찾기 출시 전에 초급을 4초에 깼다고 개발자에게 자랑스럽게 메일을 보내서, [[http://www.minesweeper.info/wiki/World_Record_History|게임의 세계기록 변천사]]에도 짧게 언급되어 있다.] * 지뢰 최대치인 667개의 위엄. [[파일:external/public.blu.livefilestore.com/667.jpg|width=300]] * 제대로 성공한 경우. 지뢰의 밀도가 밀도인 만큼 정상적인 추론방법으로는 절대로 찾을 수 없고 [[이스터 에그]]이자 치트 키를 이용해 찾은 것이다. [[Windows 7]] 이상에서는 한번 실패한 후 '이 게임 다시 시작' 버튼을 누르면 지뢰의 위치가 그대로인 채로 게임이 다시 시작되는데, 실패했을 때의 지뢰 위치를 캡쳐한 후 그것을 보고 플레이하면 된다. [[파일:d5DrCFl.jpg|width=300]] * [[Windows XP]] 버전까지의 지뢰 찾기는 winmine.exe 파일 하나만으로 실행이 가능하지만 [[Windows Vista]] 이후 버전은 활성화된 컴퓨터에서만 작동한다. 64비트의 [[Windows 7]]에선 기본 설치가 되어있지 않아 활성화를 시켜야 한다.([[https://web.archive.org/web/20151014135316fw_/http://windows.microsoft.com/ko-kr/windows/where-games#1TC=windows-7|활성화 시키는 방법]]) * 대학교에서 [[프로그래밍 언어]]를 배울 때 지뢰 찾기 만들기가 과제로 종종 나온다. 1학년 대상 교양 과목에서 나올 수도 있는데 나온다면 교양 수준에서는 난이도 있는 과제가 된다. 다른 부분은 쉽지만 주변 8칸 중에 지뢰가 없을 때 판을 반복적으로 여는 부분에서 재귀 등 초보자 입장에서는 다소 어려울 수 있는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 지뢰 찾기는 [[P-NP 문제]]에서 이 문제는 NP-완전 문제, 즉 다항차 시간 내에 풀 방법이 아직 발견되지 않은 문제에 속한다. * 윈도우 XP 이전의 지뢰 찾기에서는 위의 스탯창에 항상 [[스마일리#s-1]]가 등장했다. 클릭하면 놀라는 표정을 짓고 지뢰를 밟으면 x_x 표정이 나오고, 게임을 클리어하면 선글라스를 쓰는 게 클리셰. 비단 윈도우즈 포트만이 아닌 윈도우즈가 대중화되기 이전에 등장했던 일부 포트(ex. GB판)에서도 등장. * [[고전게임 갤러리]]의 [[https://gall.dcinside.com/game_classic/1121822|리뷰 대회]]에서 해당 게임에 대한 리뷰가 우승을 했다. [[https://gall.dcinside.com/game_classic/1119263|#]] 심지어 마감 1분 남기고 올린 거라고 한다. * 지뢰 찾기를 [[재능낭비]]의 도구로 활용하는 사례도 존재한다.([[https://www.youtube.com/watch?v=1aL8Sn_v2qY|Bad Apple]], [[https://www.youtube.com/watch?v=v_bG49fMjrA|케이온 OP]]) * 2016년 7월 20일 [[https://gall.dcinside.com/minesweeper|지뢰 찾기 마이너 갤러리]]가 개설됐다. * 지뢰 찾기 효과음이 [[Windows Vista]]부터 난다고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은데, 사실 2.9버전에서도 설정할 수 있다. 다만 2.9버전은 소리가 상당히 시끄럽다.[* 지뢰가 꽃으로 대체된 이탈리아 버전의 경우 다른 효과음으로 변경됐다.][* Windows 95 이후 버전도 ini를 수정하면 소리가 나온다. Windows XP는 기본으로 포함.] * [[스타크래프트 2: 공허의 유산/협동전 임무|스타크래프트 2 협동전 모드]]의 돌연변이원 [[지뢰청소부]]의 원문이 '''Minesweeper'''다. 게임 시작부터 맵 전역에 [[거미 지뢰]]와 [[땅거미 지뢰]]가 다발로 묻혀있어서 이를 제거하면서 진군해야한다. * [[엔하위키 미러]]의 [[만우절]] 이벤트에 이 게임이 들어 있었다. Harder를 선택하면 한 칸에 지뢰가 두 개까지도 들어 있는 지뢰찾기가 내장되어 있었는데 그 게임은 현재 [[http://klutzy.github.io/mine.js/|여기]]에서 해 볼 수 있다. * 지뢰 찾기 [[https://www.youtube.com/watch?v=LHY8NKj3RKs|영화판 예고편]]도 있다.[* [[https://531style.tistory.com/580|한글 자막판]]] 개그로 만든 것이긴 하지만 아득히 높은 퀄리티로 시대를 초월한 명작으로 취급받고 있다. * [[게임보이 컬러]]에 Best of Microsoft Entertainment Package로 이식된 적이 있다. * 오늘의 도전에서 [[XEED]]가 [[https://gall.dcinside.com/rhythmgame/2694459|버그를 발견한 바 있었다.]] * 숫자가 없는 안전지대 (해당 칸뿐만 아니라 주변 8칸에도 지뢰가 없는 경우) 주변의 칸에 있는 숫자는 상하좌우로 인접한 칸의 경우 최대 3, 대각선으로 인접한 칸의 경우 최대 5이다. 해당 칸이 변이나 귀퉁이에 있을 경우 그 주변의 칸들 중 변에 있는 칸의 숫자 값은 최대 2이다. [[분류:퍼즐 게임]][[분류:Windows 번들 게임]][[분류:엑스박스 게임 스튜디오의 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