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 최종 보스)] ||<-5> {{{#ffffff '''프로필'''}}} || ||<|9> [[파일:external/sonic.sega.jp/gmel.gif]] ||<|3> {{{#ffffff '''이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px]] || '''지멜'''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px]] || '''ジーメル'''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2]] || '''Gemerl''' 혹은 '''G-merl'''[* 정작 [[소닉 어드밴스 3]] 공식 홈페이지에 사용된 지멜의 아트워크는 파일명이 '''gmel'''.gif이다.] || ||<-2> {{{#ffffff '''개발자'''}}} || [[닥터 에그맨]] || ||<-2> {{{#ffffff '''신장'''}}} || 110cm || ||<-2> {{{#ffffff '''체중'''}}} || 110kg || ||<-2> {{{#ffffff '''데뷔'''}}} || [[소닉 어드밴스 3]] (2004) || [목차] == 개요 == ||[[에멜]]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닥터 에그맨]]이 개발한 로봇. 외부 부가 장치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며, 다른 메카의 코어 유닛으로도 기능할 수 있는 범용성이 특징. || [[소닉 어드밴스 3]]에 등장하는 로봇. [[소닉 배틀]]의 사건 이후, [[닥터 에그맨]]이 [[에멜]]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만들어낸 메카이다. 즉 소닉 배틀에 등장한 E-121 파이(Phi) 시리즈의 발전형이라고 할 수 있다. == 상세 == 에멜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했다고는 하나, 겉으로 드러나기엔 에멜과 기능적으로 많은 차이가 있다. 주로 비행과 미사일 공격, 에그맨의 거대 전투 병기와 합체한 상태에서의 공격 등을 해오기 때문에 작중에서 에멜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는 부분은 생김새, 공식 일러스트의 포즈, 그리고 게임 내의 파이팅 포즈 정도밖에 없다.[* 한 손을 살짝 든 포즈를 취한 공식 일러스트를 [[에멜]]의 아트워크와 비교해보면 거의 일치한다. 또한 게임 내에서 지멜과 싸울 때 그의 파이팅 포즈를 보면 이것 또한 에멜과 일치한다.] 다만 여기서 에그맨이 사용한 '데이터'가 과연 어디까지인지는 불명이라는 것이 팬들 사이에서도 상당한 떡밥이다. 에멜의 기술은 [[제럴드 로보트닉]]마저도 완벽하게 이해하지 못했으며, 병기가 아닌 생명체로 살아갈 수 있도록 AI를 교체하는 프로그램과 폭주 시 소멸하도록 하는 안전 장치를 설치하는 것 외에는 할 수 있는 게 없었을 정도였다. 에그맨 역시 [[소닉 배틀]] 내내 에멜의 기술을 완전히 재현하지 못하여 양산형 열화 카피인 파이 시리즈만을 사용했다. 반면에 작중에서 지멜의 행적을 보면 파이 시리즈와는 비교가 안 될 정도의 완성도를 자랑하며, '''특히 진 엔딩 루트에선 정말로 에멜의 재림이 아닌가 할 정도로 유사점이 강조된다'''. 물론 이렇다고 해도 지멜이 에멜에게 없었던 신규 무기 체계를 가졌기 때문에 에멜을 기반으로 한 것이 아니라는 주장도 상당힌 힘을 가지고 있다. 다만 이에 대해서는 제럴드의 일기를 보면 에멜에게는 '''총기류를 흡수'''하고 재현하는 기술 체계도 있었다고 반론할 수 있다. 즉 복잡한 군사 기술의 흡수 및 재현도 [[기조이드]] 선상에서 가능하기 때문에 이것도 완벽한 근거가 되지 못한다. == 작중 행적 == 유일한 출연작인 [[소닉 어드밴스 3]]에서는, 에그맨의 부하로서 각 존의 특정 구간[* 루트 99의 보스 액트(보스전 직전), 선셋 힐, 토이 킹덤, 사이버 트랙의 액트 3(골 직전), 그리고 파이널 존=올터 에메랄드(보스전 직전)]에 꼬박꼬박 출석하여 소닉 일행의 앞길을 가로막는 중간 보스로서 등장한다. 지멜이 사용하는 공격 패턴은 올터 에메랄드를 기준으로 다음과 같다. 초반부의 지멜은 일부 패턴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쉽게 공략할 수 있지만, 후반에는 사용하는 공격 패턴의 개수가 점차 늘어난다. * 등에 달린 엔진의 추진력으로 돌진한다. 점프로 피할 수 있다. * 화면 한쪽 끝에서 반대쪽 끝까지 돌진한 다음, 다시 뒤로 워프하여 재차 돌진한다. 플레이어가 지멜의 돌진을 점프로 피했을 때 사용하며, 타이밍에 맞춰 다시 점프로 피해줘야 한다. * 공중으로 날아오른 뒤, 한 지점에서 스핀하며 여섯 방향으로 미사일을 뿌린다. 미사일의 방향을 보고 점프로 피해주면 된다. * 공중으로 날아오른 뒤, 화면 한쪽 끝에서 반대쪽 끝까지 스핀하며 날아간다. 이 때 지멜이 지나간 경로에 다수의 미사일이 나타나서, 플레이어가 있는 방향으로 날아온다. 지멜 본체는 공중에서 움직이기 때문에 미사일만 피해주면 된다.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918892_20040623_embed002.jpg]] 각 존의 보스는 특이하게도 [[에그 모빌]]을 콕핏으로 하되 '''어딘가에 지멜을 달아놓은''' 로봇이다. 소닉 일행이 보스를 파괴하면, [[에그 모빌]]과 지멜이 나란히 튀어나와 사이 좋게 도주하는 광경을 볼 수 있다. '''[[논어그레션|이렇게 보면 그냥 각 스테이지 보스의 부품 정도로밖에 보이지 않지만...]]''' == 엔딩 == [include(틀:스포일러)]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Gemerl_flushed_up.png]] ||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Sa3_trueend.png]] ||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Restoring_gemerl.png]] || ||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Gentle_Gemerl_v2.png]] ||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Gemerl_new_home.png|width=510]] || 엑스트라 존 클리어 후, 격파당한 후 지멜은 바닷가에서 [[크림 더 래빗|크림]]과 [[바닐라 더 래빗|바닐라]]에 의해 발견되어 [[마일즈 테일즈 프로워|테일즈]]의 수리를 받고 부활한다. 그리고 에멜이 생존했을 때에 그랬듯이 크림의 친구가 된다. 그 이후로는 게임의 스토리에는 거의 관여하지 않으며, [[IDW]]의 코믹스나 소닉 채널 공식 트위터에 연재되는 [[https://twitter.com/sonic20th/status/1370207926170828804|SONIC PICT]]의 배경에나 그려지는 등 비중이 크게 줄어든 상태이다. 그나마 아트 갤러리 기능이 있는 게임에는 꼬박꼬박 실리지만 갤러리 외적으로는 안 나온다는 점이 문제. == 여담 == * 지멜의 디자인적인 요소 중 머리에 나 있는 뿔은 에멜의 것과 달리 좌우로 갈라져있는데, 공교롭게도 [[녹터너스족]]이 개발한 양산형 기조이드 또한 마찬가지이다. * 생김새가 [[록맨 X 시리즈]]에 나오는 [[얼티밋 아머]]와 비슷하게 생겼다. * [[소닉 어드밴스 3]]의 엑스트라 존, [[논어그레션]]의 스테이지 BGM은 [[소닉 배틀]]의 OST 중 E-121 파이의 테마곡인 'Phi Battle'의 어레인지이다. * [[소닉 어드밴스 3]]의 가이드북에 프로필이 수록되었는데, 원조인 [[에멜]]과 체격은 같지만 중량은 훨씬 더 나간다. 에멜은 14kg, 지멜은 110kg. 체격과 중량 사이의 관계를 따져보면, 에멜보다는 [[메탈 소닉]]과 비슷하다. == 관련 문서 == * [[에멜]] [[분류: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등장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