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한국어 단어 == === 지, [[한국어의 인칭대명사]] === 1인칭/3인칭(2인칭 포함)으로 모두 쓰이는 비표준어. 이 단어의 표준어는 인칭대명사인 '저'[* 조사 '가'가 붙거나 '저의'가 줄어들 때 '제'가 된다.]다. 쓰임 역시 항상 '지'인 점을 빼면 '저'와 같다. 그래서 흔히들 쓰이는 "지가 뭔데? 지들이 그랬잖아"의 규범상의 형태는 "제가 뭔데? 저들이 그랬잖아"이다. 3인칭으로 쓰는 '저'는 저의 뜻 중 "앞에서 이미 말하였거나 나온 바 있는 사람을 도로 가리키는 삼인칭 대명사. ‘자기’보다 낮잡는 느낌을 준다."[* 자기를 넣어도 뜻이 통하며 자기의 준말로도 볼 수 있다.]에 해당한다.[* [[https://ko.dict.naver.com/#/entry/koko/3ce1bf4344dc44d6b92db5f58b94ecfe|출처: 표준국어대사전]]] 예문: "그러는 지는?", "지나 잘할 것이지" 3인칭은 낮잡는 말이기 때문에 시비가 걸리기 쉽다. 1인칭으로 쓰이는 경우에는 방언이다. "지는 그랬시유~"가 그 예. 지역에 따라 1인칭과, 3인칭으로 쓰이는 빈도가 조금씩 다르다. === -지, 어미 === * [[해체#s-2]]의 종결어미. 예시) 내가 가지. 언제 오지? 참 좋지! * [[용언#s-1]]의 부정형 연결어미. 예시) 먹지 않다. 하지 마라. * 간접의문문 종결어미 '-ㄴ지/ㄹ지'. '-ㄴ지'는 선어말어미 '-더/느-'와 결합하여 '-던지/는지'를 형성한다. 직접의문문으로 쓰이는 '-ㄴ[[가]]/ㄹ까'와 매우 유사하다. === 지, 의존명사 === * 어떤 일이 있던 '''때'''로부터 지금까지. 예시) 널 만난 지도 이제 100일이 다 되어가네. [[시카고 컵스|1908년에 우승한 지 108년 만에 맛본 감격!]] 의존명사라서 위 어미 '-지'와는 달리 띄어써야 한다. [[자주 틀리는 띄어쓰기]] 참고. '열흘 [[만]]에'의 '만'과 함께 "시간과 상관 있으면 띄어쓴다" 식으로 외우곤 한다. === -지, [[고대 한국어]] 접미사 === [[고대 한국어]]에서 널리 쓰였던 존칭접미사로, 현대 [[한국어]]의 존칭접미사인 '[[님]]'에 대응하는 말이다. 고대 [[삼한]]에서 신지(臣智), 진지(秦支), 축지(蹴支), 견지(遣支), 등의 사용례가 보인다. [[삼국시대]]에 들어서는 [[고구려]]에서는 [[막리지]], [[고국양왕|어지지]], 개차(皆次) 등의, 백제에선 [[건길지]], 아비지(阿非知) 등의, [[신라]]에선 [[박혁거세|박알지]], [[김알지]], 세리지(世里智), 거칠부지, [[가야]]에서는 [[좌지왕|좌지]], [[말왕|탈지]], [[도설지왕|도설지]], 한지(旱支), 한기(旱岐) 등의 사용례가 보인다. 이 존칭접미사 '-지'는 훗날 현대 [[만주어]]의 존칭접미사인 '-ki'의 어원이 되었다. 이에 더해서 주류 [[언어학|언어학계]]는 '-지'가 [[한국어|현대 한국어]]의 비칭인 '~치'[* ex) [[양아치]], 장사치, 벼슬아치]나, 현대 [[튀르키예어]]로 '~하는 사람'이라는 뜻의 접미사 '-ci'로 이어진다고 추정하기도 하나[* [[튀르키예인]]을 포함한 [[튀르크]]계 제민족들의 공통조상인 [[돌궐|돌궐인]]들이 지리적으로 가깝다는 점때문에 [[고구려]] 등의 [[한국]]계 국가와 상당한 교류를 했으므로, 양자의 언어 사이에 일부 어휘의 [[차용]]이 있었을 가능성은 충분하다.], 확실하진 않다. === -지, [[김치]] === [[김치]]와 같은 식품을 가리키는 한국어 고유어. 주로 염장식품에 쓰이지만 반드시 염장채소만을 가리키는 것은 아니었고, 동물성 염장식품에도 쓰인 예가 있다. 예를 들어 [[간장게장]]항목에 나오는 '동난지이'의 '지이'가 현대어 '-지'이다. 보통 단독으로 쓰이지는 않고 [[오이지]], [[무짠지]], [[단무지]]와 같은 단어로 쓰인다. [[장아찌]]의 어원이 되기도 했다. == 1자 한자어 == === 지(至), 큰 수 === |||||||||| [[큰 수]]의 단위 || ||[[취(수)|취]](趣)||<:>10^^18609191940988822220653298843924824064^^ 배[br]→||'''지(至)'''||<:>10^^35494216806390423241907689750528^^ 배[br]→||[[아승기#s-2.1]](阿僧祇)|| '''10^^35,494,216,806,390,423,241,907,689,750,528^^''' 일상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이름붙은 큰 수의 하나. [[화엄경]] 숫자 중에서는 후반부에 등장하는 큰 수이며 아울러 '''한 글자로 된 가장 큰 수'''이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지(수), version=16)] === [[지(악기)|지]](篪), 악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지(악기))] === -지(紙/誌), [[언론]] 매체 === 紙는 [[신문]](newspaper)을 가리키는 말. 따라서 [[종이]](paper)를 의미하는 紙를 쓴다. 예를 들어 [[더 타임스]]는 신문이므로 '더 타임스 紙'라고 쓴다. 誌는 [[잡지]](雜誌, magazine)를 가리키는 말. 따라서 잡지, 기록을 의미하는 誌로 쓴다. 예를 들어 [[타임(주간지)|타임]]은 잡지이므로 '타임 誌'라고 쓴다. == 글자 이름 == * [[G]]: Z와의 구분을 위해 비격식적으로는 '[[쥐]]'라고도 한다. * [[Z]]: 영국식으로 [[제드]]라고도 한다. * [[ㅈ]]: [[훈몽자회]]식으로 '지'였다. 之의 음에서 따왔으며 현재는 종성에 오는 '읒'과 합쳐 '지읒'이 되었다. == 인명 == === [[지(성씨)|지씨]](池/智/遲), 한국의 성씨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지(성씨))] === [[지(치우천왕기)|지]](知), [[치우천왕기]]의 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지(치우천왕기))] === [[지(삼황오제)|지]](摯), 제지 청양씨(帝摯靑陽氏)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지(삼황오제))] == [[한자]] == [include(틀:주요 한국 한자음/11~106)] [[교육용 한자]] 중 '지'로 읽는 글자는 16자로 꽤 많은 편이다. '사-수-기-구-도-상-경-유-장-정-부-주' 다음 13위이다. [[계]], [[조]]와 등록 글자 수가 같다. * [[之]] (갈 지) * [[只]] (다만 지) * [[地]] (땅 지) * [[志]] (뜻 지) * [[持]] (가질 지) * [[指]] (손가락 지) * [[支]] (지탱할 지) * [[枝]] (가지 지) * [[止]] (그칠 지) * [[知]] (알 지) * [[紙]] (종이 지) * [[至]] (이를 지) * [[智]] (지혜 지) * [[池]] (못 지): 주로 [[저수지]](貯水池) 등 [[연못]]을 가리키는 데 쓰인다. 특이하게도 [[건전지]](乾電池)도 이 글자를 쓴다. * [[誌]] (기록할 지) * [[遲]] (늦을 지) === 址 === '터'라는 뜻으로 쓰인다. 즉, 땅이 아니라 어떤 건축물이나 물건이 있던 자리라는 의미. 일반적으로 [[원각사|원각사지]]와 같이 예전에 절이나 어떤 건물이 있던 장소에 그 건물 등이 소실된 자리라는 의미로 쓰일 때 [[접미사]]로 쓰인다. === 識 === 이 글자는 일반적으로 알 식(識)자로 쓰이지만 '글을 쓰다/적다/기록하다'라는 뜻으로 쓰일 때에는 志(誌)와 통하여 '지'로 읽힌다. 일부 서적에서는 저자가 직접 쓴 머리말 등에서 글 끝에 著者 識라고 쓰는 경우가 있는데 '저자 지'라고 읽어야지 --[[자지|응?]]-- '저자 식'(...)이라고 읽으면 안 된다. 표식(標識)이라는 단어는 표지(標識)를 오독한 것이라 [[국어사전]]에서 표식은 표지의 잘못이라고 기재하고 있다. 다만 한자의 오독(誤讀)에서 비롯된 [[속음]](俗音)을 [[대한민국 표준어|표준어]]로 받아들인 경우가 워낙 많기 때문에, 표식이라는 말이 계속 널리 쓰일 경우 나중엔 표준어로 인정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는 있겠다. 아무튼 지금 표준어로는 표식은 틀렸고 표지만 맞으므로 어문 규정을 준수해야 하는 상황에서는 표지만 써야 한다. == 한국의 걸그룹 [[소녀시대]]의 대표곡 == [[Gee]] 참조. [[분류:동음이의어]][[분류:한국어의 문법 요소]][[분류:의존명사]][[분류:접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