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게임 행사]] [Include(틀:문서가 존재하는 게임 행사)] [include(틀:중국 관련 문서)] ||<-2> [[파일:77094b36acaf2eddebfd59a2871001e939019368.jpg|width=70%]] || ||<-2> '''{{{#black {{{+1 中国国际漫画节动漫游戏展}}}[br]China International Comics Festival}}}''' || || '''{{{#black 약칭}}}''' || '''CICF''' || || '''{{{#black 설립}}}''' || [[2014년]] [[10월 1일]] ~ [[10월 5일|5일]] || || '''{{{#black 개최주체}}}''' || 광저우시 인민정부[br]광저우시 [[광전총국]][br]광저우 만위 문화기술유한공사 || || '''{{{#black 개최시기}}}''' || 매년 [[10월 1일]] ~ [[10월 5일|5일]] || || '''{{{#black 개최지}}}'''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2]] [[중화인민공화국]] [[광둥성]] [[광저우시]] 하이저우구 광저우 컨벤션센터 || || '''{{{#black 사이트}}}''' || [[https://www.cicfexpo.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https://weibo.com/cnacg|[[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width=25]]]] || || [[파일:58954b6b835c3.jpg|width=100%]] || || '''{{{#black 2015년 2차 박람회 당시 사진}}}''' ||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62b5786e05a06.jpg|width=100%]] || || '''{{{#black 2022년 CICF 포스터}}}''' || 중국 [[광둥성]] [[광저우시]]에서 열리는 [[서브컬처]] [[오타쿠]] 성향 게임에 치중된 게임 쇼이다. 매 개최 시마다 약 10만명 정도가 참관하는, 중국 남부지방 최대의 게임, 코믹 전시회이다. 매년 10월 1일부터 5일까지 개최하며, 이는 단 한 번도 바뀐 적이 없다. 또한 질 논란이 있는 [[차이나조이]]와는 다르게 여긴 한 곳에 몰빵을 하기도 했고 아직까지 [[광전총국]]이 시비를 걸지 않아서 질 관련 논란은 나오지 않았다. [[원신]]이나 [[명일방주]]같은 중국산 게임부터 [[러브 라이브! School idol project series|러브 라이브! 시리즈]], [[반다이 남코]], [[슈에이샤]]같은 일본의 유명 서브컬처 역시 정기적으로 출품을 하고 있다.[* 물론 매 회차마다 다 출품하는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그리고 서브컬처가 아닌 기업이나 상품이 판매 혹은 행사부스 설치를 하기도 하는데, 예를들면 [[선키스트]]라던가 [[중국공상은행]]이라던가(...) [* 물론 얘네들은 진짜로 여기 껴서 뭐 좀 해보겠다기보다는 참가자들을 향한 부가서비스 제공을 위해 참여한 것에 가깝다.] 그리고 이런 게임 행사에서 항상 등장하는 것이긴 하지만 [[코스프레]] 사진전 등의 부가이벤트도 개최한다. == 역사 == [[2014년]] [[10월 1일]]에 처음으로 개최되었다. 당시부터 이미 [[반다이 남코]], [[슈에이샤]] 같은 유명 게임사&서브컬처 매체가 참여를 하였으며 미국의 서브컬처인 [[스타워즈]] 시리즈의 부스가 생기는 등 서구권의 서브컬처 역시 들어오고 텐센트 등 중국 내부 기업들 또한 엄청난 투자를 해서 개최 한 덕분에 시작부터 대성황으로 끝났다. 이 전시회가 정례화 된 것은 이 다음 개최인 [[2015년]] 2차 개최로, CICF의 대표 참가업체 중 하나인 [[소니]]가 이 시기부터 처음 참여하였고 [[넷이즈]] 역시 2차 개최 때 첫 출품을 한다. [[괴리성 밀리언아서]]와 [[소드 아트 온라인]] 부스도 이 때에 처음 생긴다. 이후 3차 박람회 때 및 [[러브 라이브!]]의 부스가 생겼다. 이후 몇몇 변동을 제외하면 이 라인업 그대로 개최를 하였다. [[2020년]]에는 [[원신]]의 성공과 함께 [[miHoYo]]의 부스가 생겼고, 역시 동시기에 나온 게임인 [[명일방주]] 부스 역시 같이 들어온다. 일본산의 경우에는 [[BanG Dream!]]이 동시기에 처음 출품된다. [[2021년 중국 규제]]가 들어선 이후에도 딱히 주춤하지 않고 성공적으로 엑스포를 열었고 오히려 21년도에는 연장개최를 결정하기까지 하였다. == 정보 == 기본적으로 엑스포 시스템을 가지고 있는 만큼 각 부스마다 각자의 물품을 판매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이 엑스포는 그냥 엑스포가 아니므로, 이 것으로 끝나지 않고 [[성우]] 혹은 [[아이돌]]의 공연 및 [[코스프레]] 사진전이 거의 필수적으로 따라온다. 또한 입장이 무료가 아니므로 표를 구매해야 하는데, [[빌리빌리]] 사이트 및 공식 사이트에서 온라인 표를 판매한다. 공식 사이트를 통해 구매할 경우 개인 60위안, 대인+소인 각 1인 통합권 100위안이다. 교통편도 편리한데, [[광저우 지하철]] [[광저우 지하철 8호선|8호선]] 파저우역(琶洲站)에서 내리면 된다. == 2021년 주요 참가자 == 개발사 외 독자적 게임 부스가 설치된 경우, 개발사 옆에 병기한다. === 중국 === * [[넷이즈]] - [[에이스 버진]] * [[릴리스 게임즈]] * [[요우쿠]] * [[완미시공]] * [[웨이보]] [* 정확히는 산하 회사인 웨이보만화가 참여하였다.] * [[텐센트]] - [[왕자영요]] * 펀토이 게임즈 - [[테이스티 사가]] * [[miHoYo]] - [[원신]] * [[Hypergryph]] - [[명일방주]] * [[X.D. Global|X.D]] * [[걸카페건]][* 정확히는 시선게임즈 자체가 참여하였다.] * [[마도조사]] * [[방주지령]] * [[빌리빌리]] * [[벽람항로]] * [[소녀전선]] * [[전함소녀]] * [[클로버 시어터]] === 홍콩 === * [[핫토이즈]] === 일본 === * [[건프라]] * [[반다이 남코 엔터테인먼트]] * [[반다이]] * [[소니]] - [[PlayStation]] * [[코토부키야]] * [[데이트 어 라이브: 다시 만난 정령]] * [[러브라이브! 스쿨 아이돌 페스티벌]] * [[러브라이브! 선샤인!!]] * [[러브라이브! ALL STARS]] * [[뱅드림! 걸즈 밴드 파티!]] * [[파이널 판타지 14]] * [[Fate/Grand Order]] === 한국 === * [[크루세이더 퀘스트]] === 그 외 === * [[몬스터 에너지]] * [[미린다]] * [[맥도날드]] * [[선키스트]] * [[중국공상은행]] * [[중국우정]] * [[환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