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지역사랑상품권)] ||
<#ffffff><-4> [[KT|[[파일:KT 로고.svg|width=20]]]] {{{#494a4c 착한페이}}} || ||<|4><:><#ffffff>[[파일:착한페이.png|width=100%]]|| 운영사 || [[KT]] || || 개발수행사 || 다온링크 || || 주관 |||| 해당 각 시/구 || || 사용처 |||| 사용 불가 장소를 제외한 각 시/군 전역 || [목차] [clearfix] == 개요 == [[KT]]에서 개발 및 운영중인 [[블록체인]] 기반의 지역화폐 서비스. 개발 수행사는 다온링크이다. == 상세 == 일반 사용자는 다양한 지자체의 [[지역화폐]]를 충전하여 사용하고, 또 지자체에서 본인에게 발급된 지급형 화폐를 손쉽게 수령할 수 있다. 또한 가맹점 사용자는 본인의 가게에서 착한페이를 통해 결제된 내역을 관리하고, 지역화폐를 손쉽게 현금으로 계좌입금(환전)을 신청할 수 있으며 수수료가 없다는 점이 장점이다. 결제 방식으로는 [[QR코드]] 결제 방식을 지원하며, 카드형의 경우에는 [[하나카드]]. 농협카드 등 체크카드 기반으로 운영되며(하나멤버스 1Q카드) 착한페이 앱을 통해 별도로 신청해야 한다. 또한 카드로 결제시 충전된 착한페이 앱 내 금액에서 빠져나가는 형태이다. === 운영 지역 === ==== 공주페이(충청남도 공주시) ==== ||||<#ffffff> [[파일:공주페이_카드형.png]] || |||| 하나멤버스 1Q 체크카드 || || 카드형 대행사 || 하나카드 || * 소비자는 마일리지를 인센티브로 지원받는 형태이다. * 카드형은 교통형과 비교통형으로 나뉘어 나온다. ==== 익산 多e로움(전라북도 익산시) ==== ||||<#ffffff> [[파일:익산다이로움2.jpg|width=50%]] || ||||<#ffffff> [[파일:익산다이로움1.jpg|width=50%]] || |||| 익산다이로움카드 || || 카드형 대행사 || 하나카드/농협카드 || 1월 17일 출시. 교통기능과 비교통기능으로 나뉘어져서 나온다. 하나카드 이외에도 농협카드도 출시되었다. ==== 칠곡사랑카드(경상북도 칠곡군) ==== ||<#ffffff> [[파일:칠곡사랑1.jpg|width=50%]] ||<#ffffff> [[파일:칠곡사랑2.jpg|width=50%]] || |||| 칠곡사랑카드 || || 카드형 대행사 || 하나카드 / 농협카드 || 경북 칠곡군 첫 카드형 지역화폐로, 구매자에게는 포인트 적립, 소득공제 등의 혜택이 주어진다. 2021년 1월부로 농협카드도 출시 예정이다. ==== 소양에너지페이(강원도 춘천시) ==== 2021년 1월 26일 출시. 국내 최초의 에너지 전자화폐다. 신재생에너지 보급·확산, 에너지 이용체계의 선순환을 만들기 위한 지급형 지역화폐다. ==== 고양 탄소지움카드(경기도 고양시) ==== ||||<#ffffff> [[파일:고양탄소지움카드.png]] || |||| 고양탄소지움 체크카드 || || 카드형 대행사 || NH농협카드 || 고양 탄소지움카드는 고양페이에 이어서 추가로 운영중으로, 대중교통 이용, 로컬 푸드 구입 등 탄소 저감 활동에 참여한 고양시민들에게 포인트를 적립해주는 플랫폼이다. 적립된 포인트는 고양시 관내 4만 3000여 [[경기지역화폐|고양페이]] 가맹점과 대형 마트를 제외한 NH농협 가맹점에서 사용할 수 있다. [[https://www.ajunews.com/view/20220607102642435|#]] 따라서 고양시도 서울시 노원구 & 강동구처럼 2가지 운영 대행사를 통용하는 지역이 된다. === 서비스 종료 지역 === ==== 김포페이(경기도 김포시) ==== ||<:><#ffffff>[[파일:김포페이.jpg]]||<:><#ffffff>[[파일:김포페이2.png]]||<:><#ffffff>[[파일:김포페이3.png]]|| || 카드형 김포페이 1기 || 카드형 김포페이 2기 || 카드형 김포페이 3기 || || 카드형 대행사 ||<-2> 하나카드 || * [[경기지역화폐]] 소속으로 10% 인센티브를 지원한다. * 2022년 재계약에 실패하면서 2022년 6월 10일 서비스 종료 후 [[코나아이]]로 이관되었다. ==== 구미사랑카드(경상북도 구미시) ==== ||||<#ffffff> [[파일:구미사랑카드.jpg|width=80%]] || || 카드형 대행사 || 하나카드, 농협, 대구은행, 새마을금고 || * 경상북도 구미시 주관 체크카드형 지역화폐로, 1인당 구매한도는 월 40만원이며, 상품권 소진시까지 10%할인판매된다.카드 발급은 농협, 대구은행, 새마을금고, 하나은행에서 가능하다. * 카드 디자인에 독립운동가가 새겨져 있다. * 2023년 2월 7일 서비스 종료 후 2023년 2월 13일 나이스정보통신으로 이관되었다. ==== 울산페이(울산광역시) ==== || [[파일:울카.jpg|width=100%]] || [[파일:울산페이농협카드.jpg|width=100%]] || || 하나멤버스 1Q 체크카드 || 농협체크카드 || || [[파일:울산페이일반형.png|width=100%]] || [[파일:울산페이다자녀.jpg|width=100%]] || || 경남은행 일반형 세로 || 경남은행 다자녀형 세로 || || 카드형 대행사 || 하나카드/농협카드/경남은행 || || 공식 블로그 || [[http://blog.naver.com/ulsanpay]] || * 5% 인센티브를 지원한다. [* 가끔 이벤트로 10%까지 올라간다.] * 선불 적립형 카드도 출시 예정으로 울산페이는 착한페이/체크카드/선불 적립카드 3종류로 운영될 예정이다. * 하나카드와 농협카드, 경남은행 체크카드(일반, 다자녀형)가 있다. * 2023년 4월부로 우선협상자로 코나아이가 선정되면서 서비스 종료 후 6월 1일부로 코나아이로 이관. == 관련 문서 == * [[경기지역화폐]] * [[여민전]] [[분류:선불형 지불수단]][[분류:K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