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입성자,한글명=찰스 브론슨,영어명=CHARLES BRONSON,분야=영화,입성날짜=1980년 12월 10일,위치=6901)] ||<-2> '''{{{+1 찰스 브론슨}}}[br]Charles Bronson''' || ||<-2>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EB19740407PEOPLE906029998AR.jpg|width=100%]]}}} || || '''출생명''' ||찰스 데니스 부친스키[br]Charles Dennis Buchinsky|| ||<|2> '''출생''' ||[[1921년]] [[11월 3일]]|| ||[[펜실베이니아]] 에런펠드|| ||<|2> '''사망''' ||[[2003년]] [[8월 30일]] (향년 81세)||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신장''' ||174cm|| || '''직업''' ||[[배우]], [[군인]]|| || '''데뷔''' ||1951년, 'You're In The Navy Now'[* [[게리 쿠퍼]] 주연작이지만 Uncredited로 기록되어 동년의 영화 'The Mob'을 데뷔작으로 치기도 한다.]|| || '''배우자''' ||해리엇 텐들러^^(1949년 결혼~1965년 이혼)^^[br]질 아이어런드^^(1968년 결혼~1990년 사별)^^[br]킴 위크스^^(1998년 결혼)^^|| || '''자녀''' ||아들 토니[br]딸 수잰, 줄라이커, 커트리너|| || '''종교''' ||[[천주교]] {{{-2 ([[세례명]]: 가롤로)}}}|| || '''계급''' ||[[미 공군]] [[상병]]|| [목차] [clearfix] == 개요 == >'''내 얼굴은 다이너마이트로 폭파된 광산처럼 생겼다.''' >---- >찰스가 평가한 자신의 외모.[* 찰스는 유년기를 탄광촌에서 보냈고 아버지와 형제들은 물론 본인도 광산에서 광부로 일한 경험이 있어서 자신의 외모를 자연스럽게 광산에 비유하였다.] 미국의 배우. 액션 영화에 많이 출연하였다. == 생애 == 리투아니아와 폴란드에 걸쳐서 생활한 [[립카 타타르]]의 후손. 그래서 동양인스러운 외모를 풍긴다. 이민자 집안의 15남매 중에 11번째로 태어나 유년기에 탄광에서 일하며 가난하게 살았다. 찰스가 배우로 데뷔한 이유도 돈을 많이 벌어 가난함에서 벗어나기 위함이다. 1943년 [[제2차 세계 대전]]이 한창일때 공군의 전신인 육군항공대에 지원하여 [[B-29]]의 후방 사수로 복무하였고, 1945년에는 제39폭격단 소속으로 일본 본토를 상대로 전투 임무를 수행하였다. 총 25회의 임무를 수행했고 전투에서 입은 부상으로 [[퍼플하트(훈장)|퍼플하트]] 훈장을 수여받았다. 이후 상병으로 종전을 맞는다. 브론슨이란 이름은 [[파라마운트]] 영화사 입구의 '브론슨 게이트'에서 따왔다. 당시 [[냉전]] 시기여서, 영화사 측 사람 권유로 [[소련]]의 느낌이 나는 이름을 바꾼 것이라고 한다. 데뷔 초에는 단역을 전전하며 주목을 받지 못했다. 로버트 알드리치 감독의 [[베라크루즈]]라든지 여러 영화에서 나오던 그는 [[로저 코먼]]의 58년작 《기관총 켈리》에서 주연을 맡거나, 《밀랍인형의 집》에 나오다가, 《[[황야의 7인]]》에 출연하고 이후 [[세르조 레오네]] 감독의 《[[옛날 옛적 서부에서]]》에서 [[하모니카]]를 음산하게 연주하는 과묵한 총잡이 역할로 주목받았다.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더 웨스트]]》가 유럽 여러 국가들에서 엄청난 흥행을 하게 되고 그는 [[알랭 들롱]]의 초청으로 유럽에 진출해서 유럽 영화시장에서 큰 인기를 누리게 된다, 이 무렵 [[콧수염]]도 기르면서 개성을 표출하며 유럽에서의 인기가 미국에까지 전달된 덕분에 그는 1971년 '세계에서 가장 인기있는 배우'로 선정되기도 했다. 유럽에서는 [[알랭 들롱]]과 친하게 지냈는데 친하게 된 것은 1968년작 《아듀 라미》나 1971년작 서부극 《레드선》에서 함께 연기한 덕분이다. 미남과는 거리가 먼 외모였으나 탄탄한 근육질 몸과 과묵한 모습의 개성있는 외모로 당시 [[험프리 보가트]], [[스티브 맥퀸]], [[제임스 코번]] 등과 함께 [[터프가이]] 배우의 대표자로 꼽혔다. 실제로 당시 대중들에게 [[로버트 미첨]], [[스티브 맥퀸]]과 서로 이미지 비슷하다고 자주 엮였다고. 당시 우리나라에서도 인기가 많았다. 70년대 인기 코미디언 [[남보원]]이 '찬손 부르튼손'이라는 닉네임을 가지고 브론슨의 흉내를 내기도 했다. [youtube(-Y3Nun8B_c0)] 1970-80년대에 일본에서도 인기스타여서, 스크린이나 로드쇼 잡지에 자주 나왔다. 일본 화장품 회사 단초(단학)의 남성화장품 만담(Mandom)의 모델[* [[오바야시 노부히코]] 작품이다.]을 하기도 했으며, 단초의 국내판인 [[더 샘|쥬단학 화장품]]의 동일 제품 광고에서 웃통을 벗고 조각같은 근육질 몸을 자랑하며 "음~맨담" 이라는 대사를 쳐서 당시 크게 유행하기도 했다. 외국 광고를 들여온 것이지만 외국인 유명 배우 모델은 드물던 때 일이다. 유럽인같지 않은 외모로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더 웨스트]]》를 비롯한 초창기 출연작에서는 [[아메리카 원주민]]으로 많이 나왔다. 또한 묘하게 [[최민식]]과도 닮았다. 실제로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이라는 책에서는 《[[올드보이(2003)|올드보이]]》의 오대수에 대해 뻗친 머리 가발을 쓴 찰스 브론슨 같다고 묘사하기도 했다. [* 그외 배우 [[황정민]]도 닮은 부분이 있다.] 무뚝뚝한 브론슨은 [[유부녀]]였던 여배우 질 아일랜드와 사랑에 빠졌을 당시 남편이었던 영국 배우 [[데이비드 맥컬럼]][* 누구냐면 NCIS의 '덕키' [[도널드 말라드]]를 맡은 바로 그 배우이다. 60년대 첩보물 [[나폴레옹 솔로]] 시리즈에서 일리야 클리아킨으로도 이미 알려진 배우.]을 찾아가 "당신의 아내와 결혼하겠다"며 짧게 통보한 일화가 유명하다.[* 당시는 찰스 브론슨 역시 이미 본처와 별거하던 시점이었다.] 두 사람은 《[[대탈주]]》에 출연하면서 친해졌는데, 매컬럼이 바빠서 브론슨에게 임신한 아내를 자기 대신 방문해달라고 부탁했다고 한다. 처음에는 아일랜드는 못생긴 브론슨을 반기지 않았지만 점차 친해지게 되었고, 매컬럼이 바람을 피우면서 이혼 후 브론슨과 결혼했다. 후일, 매컬럼은 자기 자식 3명을 차별하지 않고 키워준 브론슨이 고맙다고 말했고, 경조사에도 참여할 만큼 브론슨-아일랜드와 친하게 지냈다고 한다. 브론슨은 아일랜드와 20여 편의 영화에 함께 출연하기도 했으나, 1990년 아일랜드가 [[유방암]]으로 사망한 후 77세이던 98년 5월 36세인 3번째 부인 킴을 만나 12월에 결혼했다. 브론슨은 두 번의 결혼에서 자녀 넷-첫 부인과의 사이의 1남 1녀, 두번째 부인과의 사이의 1녀, 나머지 하나인 1녀는 두번째 부인과 함께 입양-을 두었으며, 킴과 사이에는 자녀가 없다. 그리고 상술했듯이 두번째 부인이 전남편과의 사이에서 낳은 3남(하나는 전남편과 함께 입양)을 돌봤다. 브론슨이 2001년 [[알츠하이머 병]]에 걸리고 삶의 마감을 앞두자 세 번째 부인 킴과 첫째 부인 해리엇, 그리고 자녀들 사이에서 브론슨의 재산-약 600억 원을 두고 신경전이 벌어졌다고 한다. 그리고 2003년에 세상을 떠났다. 향년 82세. == 여담 == [[일본]]의 만화 스토리 작가 [[부론손]]의 필명은 브론슨에서 따왔다. 메이저리그 야구 선수 [[브론슨 아로요]]의 이름 역시 그의 어머니가 찰스 브론슨의 열혈팬이었던 데에서 비롯된 것. 만화 [[괴짜가족]]에 [[오오사와기 하루오]]의 친구들인 '서부극을 지키는 모임' 멤버 가운데 한명으로[* 다른 친구는 [[스티브 맥퀸]]과 [[제임스 코번]].] 패러디가 등장한다. 2011년에는 브론슨이 출연했던 <냉혈인 The Mechanic (1972)>이 [[제이슨 스타뎀]]을 주역으로 《[[메카닉]]》으로 다시 [[리메이크]]되었다. 그리고 2018년에는 브론슨이 출연했던 <추방객 Death Wish (1974)>이 [[일라이 로스]] 감독에 [[브루스 윌리스]] 주연으로 <[[데스 위시]]>로 리메이크되었다. 여담으로 젊은 시절은 [[조시 브롤린]]과 비슷한 모습이다. Robert Bronzi라는 [[https://www.imdb.com/name/nm8459909/|헝가리 배우]]가 찰스 브론슨을 너무 닮아 찰스 브론슨이 살아있다고 오해받을 정도인데(...)[* 구글에 Robert Bronzi 출연작에 찰스 브론슨이 나왔냐고 묻는 질문이 많다.][[https://www.google.co.kr/search?q=Charles+Bronson+Robert+Bronzi&source=lnms&tbm=isch&sa=X&ved=2ahUKEwiKuJbFjdT8AhW2s1YBHS4ZDpQQ_AUoAXoECAIQAw&biw=1920&bih=969&dpr=1|#]] 재밌는 점은 이 배우, 젊은 시절은 전혀 찰스 브론슨 닮은 외모가 아니었다고 한다. 나이 먹으면서 점점 얼굴이 찰스 브론슨화 되어갔다고(...). == 주요 출연작 == * [[황야의 7인]] (1960) - [[7인의 사무라이]]의 리메이크. * [[The Great Escape#영화 The Great Escape|대탈주]] (1963) - 폴란드 출신 영국군 대니 발린스키 대위로 출연. 어린 시절부터 광부로 살아왔던 본인의 경험을 토대로 촬영장에서 땅굴을 파는 본인의 노하우를 조언하였으며, [[폐소공포증]] 연기를 실감나게 소화하였다.[* 이 폐소공포증은 브론슨 본인이 실제 탄광에서의 매몰 사고를 겪고 난 이후에 발병한 것이다.] 그리고 [[제임스 코번]]에게 유창한 [[https://youtu.be/I4jslgHAbls|러시아어]] 발음을 들려준다.[* 이는 어린 시절 가족들의 모어가 [[러시아어]]였기 때문이다. 동네 특성상 전부 다른 나라에서 온 이민자들이 모여 만든 동네라서 모두들 형편없는 영어를 구사하였고, 이는 브론슨의 영어 실력에도 악영향을 끼쳤다. 덕분에 미군에 입대해서도 동료들이 외국인이 입대한 것으로 착각할 정도였다고 한다. 다행히 군대에서 영어를 제대로 배워서 나왔다.][* 참고로 ‘야 바스 류블류’는 ‘당신을 사랑합니다.’라는 뜻이다.] * [[벌지 전투#영화 벌지 대전투|벌지 대전투]] (1965) - 포로인 올렌스키 소령으로 나왔다. *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더 웨스트]] (1968) - 주인공 [[https://youtu.be/lyuwBW9lNa8|하모니카맨]]으로 [[https://youtu.be/qwb3P0fuM1c|출연.]] [[https://youtu.be/VtPoKS5cCL8|대단한]] [[https://youtu.be/fHRP6gadDQ4|카리스마]]를 보여준다. * 아듀 라미(Adieu l'ami)(1968) - [[알랭 들롱]]과 함께 금고털이를 하는 범죄물. 죠죠의 기묘한 모험 3부에서 등장해 죠죠러들에게 유명한 '''물컵에 동전 넣기 내기'''가 여기서 나온다. 60년대 영화라서 어쩔 수 없이 전체적인 전개는 느슨하지만, 전반~중반부에 걸친 금고털이 장면만큼은 제법 염통이 쫄깃하다. 보통 범죄영화의 금고털이라면 머리를 쓰거나 첨단 장비를 쓰는데, 이 영화는 근성으로 금고를 턴다.(...)[* 작전 착오로 금고가 있는 방에 주말 동안 갇히게 되는데, 갇힌 김에 금고 다이얼의 모든 번호 조합을 돌려서 맞춰 보는 무식한 방법을 쓴다.] 이 때까지는 콧수염 없이 나온 역이 많다. [[http://www.bfi.org.uk/films-tv-people/sites/bfi.org.uk.films-tv-people/files/styles/gallery_full/public/bfi_stills/bfi-00n-8jx.jpg?itok=feRErqnS|담배에 불을 붙여주고]] 성냥불을 끄는 마지막 장면이 유명하다.[[https://www.youtube.com/watch?v=9HNS4-JqXdM|#]] * 풍운아 판초/Villa Rides(1968) - 실존인물 [[판초 비야]]를 그린 영화로 [[율 브린너]]가 판초 비야를 연기했으며, [[로버트 미첨]] 같은 호화 캐스팅에 멕시코 혁명을 다루다보니 엄청난 물량 공세를 보여준 작품. 찰스 브론슨은 극중 인물이자 실제로 판초 비야 충복이었던 실존 인물 로돌포 피에로(1880~1915)를 연기했다. 한국에서는 풍운아 판초비라라는 제목으로 개봉했으며 [[MBC]]에서는 92년 1월 2일 새해특선 오후 2시 55분에 '풍운아 판초'라는 제목으로 더빙 방영했다. 여기선 [[양지운]]이 율 브리너, [[김기현(성우)|김기현]]이 로버트 미첨을 연기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Red_sun_movieposter.jpg|width=195]] * 레드 썬 (1971) - 프랑스와 이탈리아,스페인 합작 영화로 테렌스 영이 감독을 맡았다. 총잡이와 [[사무라이]]가 같이 활약한다는 줄거리. [[미후네 토시로]]가 나왔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omeone_Behind_the_Door.jpg|width=195]] * 방문객[* 원제는 Someone Behind the Door. 다른 제목으로는 잃어버린 과거와 무명객이 있다.] (1971) - [[노먼 베이츠]] 역의 [[안소니 퍼킨스]]도 나온다. 브론슨이 유약한 역으로 나오는 이색작. 참고로 [[프랑스]]에서 만든 영화다. * [[바라키]] (1972) - 대부와 경쟁할 생각으로 제작된 영화. * 데스 위시 (1974) - 자경단 영화, 소설, 만화에 엄청난 영향을 끼침. 국내에는 추방객이라는 제목으로 개봉되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Death_wish_movie_poster.jpg|width=195]] 건축가인 주인공 폴 커시의 아내와 딸이 갑자기 강도에게 습격을 당하면서 아내는 심하게 맞아 사망하고 딸은 성폭행을 당해 심한 정신적인 충격을 받는다. 커시는 애리조나에 있는 투산의 한 고객을 만난 뒤,[* 이 고객과 지역의 건 클럽에서 사격 솜씨를 선보이는데, 그야말로 백발백중의 실력을 보여준다. 여기서 드러난 커시의 경력은 무려 [[6.25 전쟁]] 참전 용사.] 선물로 받은 니켈로 도금된 32구경 콜트 리볼버로 길거리의 불량배들과 강도들을 처단하러 나선다. 총 5편까지 나왔는데, 1편은 절대로 통쾌하거나 호쾌한 액션물은 아니였다.세상에 대한 풍자나 사회적 비판도 담은 수작. 300만 달러로 만들어져 2200만 달러를 벌어들였는데 1, 2편까진 그럭저럭 볼만하지만 후속작이 나오면서 점점 액션물로 변질된다.(3편부터 제작한 [[캐논(영화 제작사)|캐논]] 영화사의 영향이 크지만) 그리고 악당의 스케일도 점점 커진다던지. 1편에서 [[덴젤 워싱턴]]과 [[제프 골드블룸]]이 단역으로 잠깐 나온다. 동 시대에 엇비슷한 히트작인 [[더티 해리]]와 자주 비교되나, 2편부터 그런 낌새가 있었지만 3편부터 점점 액션활극이 되어버려서...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Death_Wish_II.jpg|width=195]] 1982년에 만든 2편은 800만 달러로 만들어져 1610만 달러를 벌어들였다. 그리고, 브론슨의 실제 아내인 질 아일랜드가 여주로 나왔다. 여기엔 로렌스 피시번이 … 한국에서는 1985년 삼원비디오에서 죽음의 초대라는 괴이한 제목으로 비디오로 낸 바 있다. [* [[레드 제플린]]의 [[지미 페이지]]가 사운드트랙을 맡았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Death_wish_three.jpg|width=195]] 1985년에 나온 3편은 흑역사로 [[로튼 토마토]] 6%에 빛나는 괴작(...)이다. 또한 영화에서 죽는 악당의 숫자 또한 전 시리즈중 가장 많다.[* 액션 신이 많지만 따지고 보면 지역 보안관과의 소규모 전투에 불과하고 주제는 반전 냄새가 강했던 1편에서, 속편이 나올수록 점점 심각한 내용은 없이 마구 죽이고 규모만 커져갔던 [[람보 시리즈]]가 이 시리즈와 유사한 행보를 보였다.] 흥행도 시원찮아서 1천만 달러 이상 들여서 본전치기도 부족한 1610만 달러를 벌어들였다. 그나마 비디오 대여같은 2차 시장으로 선전하여 수익을 거둬들이며 시리즈가 계속 나오게 된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Death_Wish_4.jpg|width=195]] 1~3편을 모두 감독한 마이클 워너가 떠나고 여러 다작 장르를 감독한 J. 리 톰슨이 감독을 맡았다. 악역인 일본계 노자키 형사로 나오던게 재미교포 배우인 오순택. [[대니 트레호]]가 악역으로 잠깐 나오다가 골로 간다. 500만 달러로 만들어 688만 달러를 벌어들였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DeathWish5.jpg|width=195]] 1994년에 나온 마지막 편. 저예산 액션물을 많이 만들던 앨런 A. 골드스테인이 감독한 영화로 브론슨의 마지막 극장 개봉작 영화이다. 그래도, 전 시리즈가 [[SBS]]에서 [[김병관(성우)|김병관]]이 [[브론슨]]을 맡아 [[더빙]] 방영했다. 그리고 상술하던 대로 23년 뒤에 [[브루스 윌리스]] 주연인 [[데스 위시]]란 똑같은 제목으로 [[리메이크]]. 전편 판권을 가진 [[캐논]] 그룹이 문닫으며 캐논 판권을 가진 [[MGM/UA]]에서 제작했다. 그러나, 망하면서 시리즈로 나올 일은 없어보인다. * [[투쟁의 그늘]](Hard Times) (1975) - [[월터 힐]] 감독의 격투 액션 영화. * 정오에서 3시까지 (1976) - 찰스 브론슨이 주연을 맡은 거의 유일한 코미디 영화. 아내인 질 아일랜드가 여주인공을 맡았다. 우연히 미망인과 사랑에 빠진 은행 강도가 죽은 것으로 오인 당하고, 어쩌다보니 비극적인 사랑 이야기의 주인공으로 윤색되어 유명해진다는 일종의 [[착각물]]로, 여기서 브론슨은 "나 원래 그런 사람 아니라고"를 외치며 착각을 바로잡아보려 눈물나게 망가지는 모습을 연기한다. 브론슨의 호연으로 비극과 희극의 균형을 잘 잡은 풍자극이면서, 남성미 넘치는 섹시한 이미지를 어필했던 브론슨 본인에 대한 셀프 패러디로도 볼 수 있는 이색작. 극작가로 유명한 프랭크 D. 길로이가 자신이 집필한 소설을 원작으로 제작, 각본, 감독을 맡아 영화로 옮겼다. 한국에서는 1989년 5월 20일 [[토요명화]]로 방영되었다. 2022년 3월 11일 EBS1 세계의 명화로 방송. 자막판으로 방송하였다. * 죽음의 추적자(Death Hunt) (1981) - 우연히 개싸움에서 다 죽어가는 개를 구해줬다가 억울하게 도둑으로 몰려 경찰에게 쫓기고 수배범이 된 사내 알버트를 맡았다. [[리 마빈]]이 경찰로 나오며 리 마빈의 부하이던 흑인 경찰관 선독(Sun Dog)으로 나오던 게 [[칼 웨더스]]. 설마하니 이름이 그러겠느냐? 라고 해도 이름을 말하지 않고 그냥 자신을 선독으로 불러달라던 그는 어처구니없는 오발로 허무하게 죽고 분노한 상관이 복수를 갚는다. 죽은 그의 신분증을 보고 비로소 선독의 본명을 알게되는데 그의 본명은 '''조지 워싱턴 링컨'''이었다. 다들 씁쓸한 얼굴을 할뿐... 국내에서는 미개봉하고 1990년 초반에 대우비디오에서 이 제목으로 비디오로 냈으며 [[SBS]] [[영화특급]]에서 94년쯤에 [[더빙]] 방영했다. [[김병관(성우)|김병관]]이 찰스 브론슨을 맡고 [[김기현(성우)|김기현]]이 리 마빈, [[윤병화]]가 선독을 연기했다. * 10 투 미드나잇(10 to Midnight) (1983) - 범죄 스릴러물로 찰스 브론슨은 이 작품에서 잘 생긴 얼굴과 화술을 이용해 주로 혼자 사는 독신녀들을 살해하는 사이코패스 연쇄살인마를 쫓는 노년의 형사로 분했다. 이 살인범의 특징이 증거인멸을 옷을 다 벗고 나체인 상태에서 피해 여성을 살해하고 유유히 빠져나간다는 다소 어이없는 허술한 방식인데, 주인공이 이 범인을 체포하는데 성공하지만, 경찰서장과 주인공 파트너의 삽질로 인해 풀려나게 되고, 이에 앙심을 품은 범인이 대학생인 주인공의 딸을 표적으로 삼고 애꿏은 여학생들을 무차별 살해하다가, 추적 중이던 주인공의 총에 의해 즉결처분된다는 결말.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Family_of_Cops.jpg|width=195]] * 형사들의 가족 (1995) - [[람보(영화)|람보]]를 감독한 테드 코체프가 감독한 TV 영화로 1997,1999년에 2,3편이 나왔으며 1~3편 모두 브론슨이 나왔고 3편이 마지막 영화이다. [각주] [[분류:미국 남배우]][[분류:1921년 출생]][[분류:1951년 데뷔]][[분류:2003년 사망]][[분류:제2차 세계 대전/군인]][[분류:캠브리아 카운티 출신 인물]][[분류: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입성자]][[분류:리투아니아계 미국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