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K리그2/경기장)] [include(틀:K3리그 경기장)]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창원축구센터.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83827 45%, #134195 55%)" {{{#FFFFFF '''경남 FC           창원 FC'''}}}}}}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50403 45%, #00a54f 55%)" '''{{{+1 {{{#f2c91f 창원축}}}{{{#fff 구센터}}}}}}''' [br] '''{{{#f2c91f Changwon F}}}{{{#fff ootball Center}}}''' }}} || || '''개장''' ||<-3>[[2009년]] [[12월 1일]] || || '''소재지'''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비음로]] 97 ([[사파정동]]) || || '''건설비''' ||1,168억원 || || '''경기장 형태''' ||[[축구 전용 구장]] || || '''좌석수''' ||15,071석 || || '''홈 구단''' ||[[경남 FC]] (2010년~ )[br][[창원 FC]] (2010년~ ) || || '''운영 주체''' ||창원시설공단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창원축구센터,너비=100%,높이=225px)]}}}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사파정동]]에 위치한 [[축구전용구장]]. [[K리그2]] [[경남 FC]]와 [[K3리그]] [[창원 FC]]의 홈구장이다. == 경기장 정보 == [[파일:C3jFlfoUcAAifx-.jpg]] 수용 인원은 '''15,071명'''으로 종합운동장을 제외한 대한민국의 [[축구 전용 구장]]중에서는 수용 인원이 적은 편에 속한다.[* 제일 적은 건 [[김포솔터축구장]].]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으로 생긴 월드컵 경기장들이 4만 명 이상으로 설계되어 관중 동원에 애를 먹는 것에 비해 [[창원시]]와 [[경남 FC]]의 규모에 맞춘 적절한 규모의 경기장이다. 지을 때 부터 증축을 염두에 둔 설계로 관중석을 더 늘리는 것은 가능하다. 다만 W석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의 자리에 지붕이 없다. 창원축구센터는 주 경기장 및 천연잔디 보조구장 2면, 인조잔디 보조구장 2면, 인조잔디 풋살경기장, 우천시 실내훈련용 하프돔, 헬스장, 숙박시설로 이뤄져 있어 동계에는 중, 고교팀들의 전지훈련과 조기축구 장소로 활용되고 있다. 그 외에 주차장 751면과 전기차 충전소, 누비자 터미널, 안내소 2곳, 야외 무대, 인라인스케이트장, X게임장과 야외 농구장, 실개천, 자전거 도로, 비음산 등산로가 있어 시민들의 공원 역할로도 활용되고 있다. 센터 건설비는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을 유치하여 얻은 잉여수익 중 일부가 들어갔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38&aid=0002040486|#]][* 월드컵 잉여금과 경남도비 각 125억원, 국비 10억원, 시비 908억원 등 총 1,168억원을 투입] 좌석의 디자인은 창원시 공공자전거인 [[누비자]]를 본딴 자전거 그림이 그려져 있다. 사파교차로 방면 축구센터 정문 입구 (8번 게이트)에는 창원 축구센터 체육관이 2020년 개관하였다. 축구센터 정문은 선수단의 출, 퇴근 길로 경기 시작 또는 끝나고 나서 선수단을 만날 수 있다. 정문 부근에는 메가스토어와 광장이 있어 각종 행사 및 푸드트럭이 위치하여 있다. W석에는 1,2번 게이트로 입장하며 지붕과 테이블 석이 있고, 입장 동선이 간결하지만 비싼 편이다. N, E석은 일반석으로 8번 게이트로 입장하며 N석은 홈 서포팅 석이고 E석은 W석의 맞은편으로 입장 동선이 멀지만 합리적인 가격으로 경기를 관람할 수 있다. S석은 원정석[* 원정 유니폼 및 굿즈, 원정팀 응원을 할 경우 W석, N석, E석 입장 절대 불가 ]은 S7~S11 블럭만 운영되고, 원정 전용 게이트인 5번으로만 입장할 수 있다. 게이트는 8개이지만 1, 2, 5, 8번 게이트만 사용하고 있다. 2018년 경남 FC가 승격된 후 바로 2위를 차지해 2019년에는 사상 최초로 [[AFC 챔피언스 리그]]가 창원 축구센터에서 열렸다. 이로 인해 챔피언스리그 경기시에는 전좌석 지정석으로 운영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경남 FC/2019년]] 참고 축구전용구장으로서 경기장 시야는 매우 훌륭하지만 W석 2층을 제외한 대부분의 자리에 지붕이 없어서 우천시나 하절기에는 관중 동원 및 편의에 애로사항이 많다.[* 축구센터 완공 당시 감독이었던 [[조광래]] 현 [[대구 FC]] 단장은 지붕의 부재에 대해 아쉬워했고, 당시 구단주인 [[김태호(1962)|김태호]]에게 지붕 증축에 대해 건의를 했으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후 조광래 단장은 대구FC에서 [[DGB대구은행 파크]]의 4면에 지붕을 건설한다. ] 2018년 경남 FC의 선전과 [[김경수]] 구단주 취임 이후 지붕 증축, 전광판 교체, 매점 개편 등이 포함된 리모델링 계획이 세워지고 있다. 2020시즌에는 서포터스석에는 접이식 의자를, N석 양쪽 끝부분에는 피크닉석을 설치했다. [[http://www.i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728738|#]] 2022년 1월부터 7월까지 잔디 교체, 전광판 교체를 비롯해 여러 리모델링을 실시하여 이 기간동안 [[경남 FC]]와 [[창원 FC|창원시청 축구단]]은 대체구장을 찾아야 할 전망이다. 단 창원시청 축구단 fa컵 1,2라운드 경기는 창원축구센터 보조2구장에서 개최한다.[[https://sports.v.daum.net/v/kRveu0hHf3|#]][* 경남은 K리그2 2022 1라운드부터 8라운드까지는 [[밀양종합운동장]]을, 11라운드부터 26라운드까지는 [[진주종합경기장]]을 홈으로 쓰다가 27라운드에 창원으로 돌아오고 창원시청은 2022시즌 [[창원종합운동장]]을 홈으로 쓴다.] [[대전 하나 시티즌]]과 [[인천 유나이티드 FC]]에게는 이 경기장이 무덤과도 같고,[* 근데 인천은 2019년 최종라운드 창원 원정에서 0:0으로 비겼지만 잔류에 성공했다.] [[포항 스틸러스]]에게는 자신들의 놀이터나 다름없다. 대전은 2007년부터 2022년까지 창원 원정에서 승리가 없는 반면, 포항은 2010년 창원축구센터 개장 이후 한 번도 창원에서 진 적이 없다.[* 경남이 2010년과, 2014년, 2018년 홈에서 이긴 적은 있지만 모두 창원 밖에서 열린 홈 이전경기였다.(2010년 밀양, 2014년 양산, 2018년 김해)] 2023년 9월 6일부터 12일까지 [[2024 AFC U-23 아시안컵 카타르]] 예선 중 카타르, 키르기스스탄, 미얀마가 속한 B조의 모든 경기가 이 곳에서 열리게 되었다. 창원에서 국가대표 경기가 열리는 것은 2012 런던올림픽 아시아지역 최종예선 오만전 이후 12년 만이다. == 교통 == 아무래도 접근성과 주변 시설이 단점인데 [[창원중앙역]]과 [[해원로]] 토월IC와 가까워서 철도 또는 자동차로써 가까운 점이 장점으로 꼽히지만 사파동, [[대방동(창원)|대방동]]의 단독주택 주거지역과 가깝고 창원시 전체로 보면 동쪽으로 치우친 위치이며 축구센터 뒤는 비음산이라 창원 도심과도 약간 떨어져 있다. 또한 축구센터 주변이 단독 주택가와 아파트 단지, 고등학교 두 곳, 대방체육공원만 있을 뿐 상업 시설은 거의 찾아보기 어려운 것도 단점. 그나마 가까운 대로인 [[창이대로]]로 나와도 [[창원지방법원]]/[[창원지방검찰청]] 주변이라 법무사/변호사(법무법인) 사무실이 많다. 주차장도 많지 않고 근처 도로 여건도 왕복 2~4차로로 좋지 않다. === 시내버스 === || [[파일:창원시 CI.svg|height=20]] | [[파일:경남 FC 로고.svg|width=20]] '''창원축구센터.법원(219014, 219015) 정류장 경유버스''' {{{#!wiki style="margin: -10px; margin-bottom: -15px" ||<#d32a09> '''[[틀:창원시 시내버스 좌석|{{{#fff 좌석}}}]]'''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25%" [[창원 버스 730|730]]}}}{{{#!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25%" [[창원 버스 740|740]]}}} || ||<#1f7cdc> '''[[틀:창원시의 간선버스|{{{#fff 간선}}}]]'''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25%" [[창원 버스 110|110]]}}}{{{#!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25%" [[창원 버스 111|111]]}}}{{{#!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25%" [[창원 버스 122|122]]}}} || ||<#5fbf15> '''[[틀:창원시의 지선버스|{{{#fff 지선}}}]]'''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25%" [[창원 버스 214|214]]}}}{{{#!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25%" [[창원 버스 221|221]]}}}{{{#!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25%" [[창원 버스 223|223]]}}} || ||<#f58220> '''[[틀:창원-김해간 버스|{{{#fff 편도(219014)}}}]]'''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25%" [[김해 버스 59|59,,김해,,]]}}}{{{#!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25%" [[김해 버스 98|98,,김해,,]]}}}{{{#!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25%" [[창원 버스 220|220]]}}} || ||<#f58220> '''[[틀:창원-김해간 버스|{{{#fff 편도(219015)}}}]]'''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25%" [[김해 버스 58|58,,김해,,]]}}}{{{#!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25%" [[김해 버스 97|97,,김해,,]]}}}{{{#!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25%" [[창원 버스 221|221]]}}} || }}} || || [[파일:창원시 CI.svg|height=20]] | [[파일:경남 FC 로고.svg|width=20]] '''창원축구센터(219124, 219125) 정류장 경유버스''' {{{#!wiki style="margin: -10px; margin-bottom: -15px" ||<#5fbf15> '''[[틀:창원시의 지선버스|{{{#fff 지선}}}]]'''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25%" [[창원 버스 223|223]]}}} || }}} || === 자동차 === * 창원 시내에서는 [[창이대로]]에서 [[창원지방법원]] 방향으로 이동한 뒤, 법원사거리에서 창원축구센터 방면 오르막길로 올라온다. * 자동차전용도로인 [[해원로]]에서는 토월 IC에서 빠져나와 창원시립테니스장사거리에서 법원사거리로 이동하여, [[창원축구센터]] 방면 올라오거나 대방IC에서 빠져나와 대방체육공원 방면으로 올라온다. * 주차장은 751대 (장애인 14대)가 주차가 가능하고 전기차 충전소도 있지만, 경기 개최시에는 관계자 주차 등으로 주차할 공간이 많지 않고 주변에는 부지가 협소하다. === 기차 === * [[창원중앙역]]에서는 택시로 10분, 시내버스 [[창원 버스 220|220]]번을 10분 정도 타고 '창원축구센터.법원' 정류장에서 내려서 10분 정도 걸어간다. 반대로 역으로 갈 때는 [[창원 버스 221|221]][* 220번 반대 노선이다.]번을 탄다. * [[창원역]]에서는 택시로 30분, 시내버스는 맞은편 간선버스 정류장에서 [[창원 버스 111|111번]], [[창원 버스 122|122번]]을 30분 정도 타고, '창원축구센터.법원' 정류장에서 내려서 10분 정도 걸어간다. === 시외버스터미널 === * [[창원종합버스터미널]]에서는 택시로 20분, 시내버스로는 맞은편 정류장에서 [[창원 버스 730|730번]], [[창원 버스 110|110번]], [[창원 버스 111|111번]], [[창원 버스 214|214번]]을 타고 '창원축구센터.법원' 정류장에서 내려서 10분 정도 걸어간다. [[창원 버스 730|730번]]은 직행버스이므로 다른 버스보다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 부산, 김해, 울산, 양산, 경주, 포항 등에서 시외버스를 탄다면 [[창원종합버스터미널]]이 아닌 '''[[남산시외버스정류소]]'''에서 중간 하차를 하면 택시로 10분, [[김해 버스 58|58번]], [[김해 버스 97|97번]]을 10분 정도 타고, '창원축구센터.법원' 정류장에서 내려서 10분 정도 걸어간다. === 자전거 === ||<|2>
[[누비자|창원시 공공자전거 누비자]] ||139 - 창원축구센터 || == 둘러보기 == [include(틀:경남 FC 관련 문서)] [[분류:대한민국의 축구장]][[분류:경남 FC]][[분류:창원시청 축구단]][[분류:성산구]][[분류:2009년 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