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철권 시리즈]] [include(틀:철권 시리즈)] [목차] [clearfix] == 개요 == [[철권 시리즈|철권]] 조작 체계의 활자화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땡땡이로 불리는 보기 편한 방법과, 방향키 대신 숫자키를 쓰고 왼손/오른손으로 구분하는 쓰기 편한 방법. 후자는 다시 동양식 표기법과 서양식 표기법으로 나눌 수 있다. == 버튼식(땡땡이 표기법) == ||[[파일:tekken_lp.png]]: 왼손||[[파일:tekken_rp.png]]: 오른손||<|2><-2>{{{#!folding 기타 입력 조합들 [[파일:tekken_ap.gif]] [[파일:tekken_ak.gif]] [[파일:tekken_al.gif]] [[파일:tekken_ar.gif]] [[파일:tekken_lp+rk.gif]] [[파일:tekken_rp+lk.gif]][br][[파일:tekken_ap+lk.gif]] [[파일:tekken_ap+rk.gif]] [[파일:tekken_lp+ak.gif]] [[파일:tekken_rp+ak.gif]][br][[파일:tekken_ab.gif]]}}}|| ||[[파일:tekken_lk.png]]: 왼발 ||[[파일:tekken_rk.png]]: 오른발|| ||[[파일:external/www.tekken-net.kr/w6.png]]||{{{#!folding 레버를 짧게 입력 [[파일:b_arrow.gif]][[파일:d_arrow.gif]][[파일:db_arrow.gif]][[파일:df_arrow.gif]][[파일:u_arrow.gif]][[파일:ub_arrow.gif]][[파일:uf_arrow.gif]]}}}|| ||[[파일:external/www.tekken-net.kr/b6.png]]||{{{#!folding 레버를 길게 입력 [[파일:b_arrow_b.gif]][[파일:d_arrow_b.gif]][[파일:db_arrow_b.gif]][[파일:df_arrow_b.gif]][[파일:u_arrow_b.gif]][[파일:ub_arrow_b.gif]][[파일:uf_arrow_b.gif]]}}}|| ||[[파일:external/www.tekken-net.kr/n.png]]||레버 중립|| 레버 방향과 버튼 입력을 직관적으로 표시하여 한눈에 보기에 쉽지만, 작성에 매우 노가다가 심한 단점이 있다. 철권 게임내의 트레이닝 모드의 기술표나 게임잡지 등의 상업적 목적을 지닌 매체에서 사용한다.[* 예전 게임라인의 후기에 따르면, 철권 담당 기자는 꿈속에서 땡땡이에 파묻혀 죽을 정도로 땡땡이의 압박을 받는다고 한다.] == 왼쪽/오른쪽 표기법, 동양식 표기법 == 위 방법의 작성 난이도 때문에 간략화하여 인터넷 철권 커뮤니티에서 가장 흔히 쓰는 입력법. LP RP TAG LK RK 로 버튼을 정의하고( L=Left(왼쪽), R=Right(오른쪽), P=Punch(손), K=Kick(발)) (태그 버튼은 태그1, 태그2에서 만 사용) || 7 || '''8''' || 9 || || '''4''' || '''N''' || '''6''' || || 1 || '''2''' || 3 || 으로 방향을 정의한다. 외우려고 하기 보단 컴퓨터 키보드의 숫자 패드를 떠올려 보자. N은 뉴트럴(중립)의 약자인데 사람에 따라 ☆[* 실제 콘솔용 철권에 기록되어있는 중립표기법.]로 표기하기도 한다. 5로 표기하는 사람도 가~끔 있다. 여러개 누를 경우의 특수 표기로는 AP(All Punch) AK(All Kick) AL(All Left) AR(All Right) 가 있으며, 인접하지 않은 2개 버튼(LP+RK, RP+LK)이나 3개 이상 버튼의 특수표기는 없다. 굳이 써야 한다면 3개는 AL+RP나 AP+LK 같이 두 개와 한 개의 조합을 사용하며, 4개는 AB(All Button)으로 표기하거나 그냥 그때그때 달리 표기한다. (기모으기, 다 누르기, AK+AP 등...) 일본에서의 양손 밑 양발 입력은 WP 혹은 WK로 지칭하기도 하는데, 일본에서의 [[W]](더블 유)가 "'''더블'''" 을 의미하기 때문에 WP(WK)로 표기한다. 경우에 따라 LP+RP(LK+RK)로도 표기하기도 하고, 기본 잡기는 AL(AR)이라고 하지 않고 LP+LK(RP+RK)로 표기하는 경우도 있으니 참고. === 동양식 표기법 기타 용어들 === * 원, 투, 쓰리, 포: 아래의 서양식 표기법의 버튼 표기와 같이, 각각 LP, RP, LK, RK에 대응한다. 유래는 아마도 [[원투펀치]]가 보통 LP RP인 것에서 착안한 듯. 한국에서는 기술 커맨드 표기보다는 버튼 입력만으로 속행되는 콤보기에 [[섬광열권]][* 실제로 다른 캐릭터와의 통일성을 위해 원원투로 부르기도 한다.] 같은 임팩트 있는 별칭이 없으면 대신 약칭으로 사용한다. 좋은 예시로는 [[카자마 진]]의 정권-상단 뒤돌려 차기 콤보(RP RK)를 달리 부르는 "투포" 등이 있다. * [LP RP](공식 표기), LP~RP(일부 통용 표기): 반박자 입력, 소위 말하는 '따락' 입력 내지 '피아노 입력'이라고 보면 된다. 정식명칭은 '슬라이드 입력'. 보통 철권에서 커맨드를 입력할 때 버튼을 일정한 박자로 딱딱딱 하며 누른다면 버튼 두개를 빠르게 '따락' 눌러주라는 얘기. 예시로 [[마샬 로우|로우]]의 촌경[RP LP], [[화랑(철권)|화랑]]의 에어팡[LK RK] 등이 이 입력이다. * LP - RP: 공중콤보 등에서 주로 쓰는 방법. LP RP가 한 몸인 기술이 아니라 LP와 RP가 서로 다른 기술이어서 연이어 넣는다는 이야기이다. LP LP와 같이 이미 기술이 있는데 굳이 LP - LP로 되어 있다면 (예를 들어 3RP - LP - LP인 어퍼 후 잽-잽) LP LP가 되지 않도록 딜레이를 줄 필요가 있다. * 6AP: 앞으로 밀면서 동시에 AP를 누르란 얘기. * 6_AP: 2가지 의미가 있다. 원래는 6으로 톡 치면서 AP를 누르란 얘기였는데, 착각인지 몰라도 6으로 밀고있다가 좀 있다가 AP를 누르란 얘기로도 쓰인다. 하지만 전자의 경우는 중립 입력의 표시(N)로 6NAP 같이 표기 하는게 더많고 후자가 더 많이 쓰인다. 예를 들어 앉은상태에서 커맨드를 입력하여 나가는 기술표기에 사용되는데, 2_3rp : [[잭(철권)|잭]]의 해머러쉬R 1타. 2입력 후 , 조금 있다가 3으로 레버를 밀며 rp를 누르라는 것. * 기상RK/일어나면서: 앉아 있는 상태에서 일어서는 상태로 돌아가면서 버튼을 누른다. 앉게 만드는 기술 후 버튼 연타하면 자연스럽게 이게 된다. 다만 '기상LK/기상RK'의 경우는 누워 있다가 발차기를 하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 누운 상태: 누워 있다가 입력하는 것. 보통 '정자세'는 상대에게 발을 향하고 하늘을 보는 것이며 엎드린 자세는 말 그대로 머리를 땅으로 하고 엎어져 있는 것. 총 4가지 자세가 있다. * 소점프: 9N(↗n) 입력으로 앞으로 살짝 점프하는것을 뜻한다. 보통 정식 기술에는 백두산(트릭버터플라이킥: 9 N LK), [[고우키(철권)|고우키]][* 이 쪽은 아예 지상 7, 8, 9 기술이 '''없으며''', 대신 모든 점프 기본기가 정식으로 기술표에 등재되어 있다. 다만 딱히 소점프여야 할 필요는 없다.] 같이 소수의 경우를 빼면 없고 대부분 9 N RK 입력으로 소점프 컷킥이라는 데미지 높은 띄우기를 쓰는데 사용한다.[* 흔히 '나락류'라고 부르는 [[미시마 카즈야|카즈야]], [[데빌진]], [[미시마 헤이하치|헤이하치]]의 '''[[나락쓸기]]''', [[카자마 진|진]]의 '''파고들어 하단 돌려차기''', [[밥(철권)|밥]]의 '''커팅 코파''', [[레오 클리젠|레오]]의 '''전소뢰왕권''' 등등의 기술들은 보통 막히고 나서 다리가 부러지는 듯한 모션이 나오면서 20프레임 이상의 매우 큰 후딜이 발생하는데 이 기술을 막고 나서 가장 높은 데미지로 응징하는 방법으로 흔히 대두되는 것이 이 소점프 컷킥이다. 일반적인 컷킥이나 기상어퍼보다 훨씬 큰 대미지를 단타로 때려넣기 때문에 퍼니쉬 대미지가 5~10정도 높게 나오게 된다. 또한 나름 점프 모션이기 때문에 하단을 피할 수 있어서 상대의 큰 하단기를 예측하고 이것으로 여유롭게 띄워버리는 고수의 플레이도 있다. ] * 6~: 계속해서 6(→)을 유지해야 나간다는 의미. 대표적으로 [[미겔 까바예로 로호|미겔]]의 필살기 6ak 6~, [[미시마 카즈야]]의 레이지 드라이브-헤븐즈 도어(데빌화) 6n23LP+RK 9~가 있다. 이는 숫자로 방향키의 입력시간을 나타내기 어려움에 기인하는데, 커맨드리스트에서는 화살표의 색으로 구분하지만 숫자는 그렇지 않기 때문. * 횡신: 짧은 8n/2n 입력으로 옆으로 스윽- 하고 피하는 것. (살짝 튕기듯 조종), 시계횡과 반시계횡으로 나뉜다. 1p 기준 화면 안쪽, 2p 기준 화면 바깥쪽이 시계, 반시계는 그 반대쪽이다. 즉 다른 식으로 설명하자면 시계횡=좌횡, 반시계횡=우횡 이다. 간혹 횡신이라고 하면 8n8n이나 2n2n을 가리키는 경우도 있으니 주의할 것. * 횡보: 횡신 중 긴 8n8~/2n2~ 입력으로 계속 옆으로 걸어가는것. (튕긴 후 쭉 그 방향으로 입력), 마찬가지로 시계/반시계로 나뉜다. * (B): 콤보 도중 바운드가 발생하였다는 의미. 당연히 바운드 시스템이 존재하는 [[철권 6]] 시리즈 및 [[철권 태그 토너먼트 2]]에 한정된 표기이다. 예를 들면 [[미시마 카즈야|카즈야]]의 국민콤보 초풍-신삼단(관란열광)-사자참포청(바운드 기술)-나락선풍을 커맨드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6n23rp - lk lp rk - 1rp (B) - 6n23rk lp * (S): 콤보 도중 스크류 발생. [[철권 7]]에서 바운드가 스크류로 바뀌면서 (B) 대신 (S)로 표기한다. 같은 카즈야의 [[철권 7 FR]] 국콤 초풍-신삼단-육부섬열각 (or 육부발)-육부섬열각을 커맨드로 표현하면 6n23RP - LK LP RK - 3LP RK '''(S)''' - 3LP RK. * (T) * 태그 시리즈 [[철권 태그 토너먼트]]와 [[철권 태그 토너먼트 2]]에서는 콤보 도중의 바운드기나 특정한 기술 (대부분 콤보 시동기)을 히트한 후 태그가 가능한 상황이 있는데 이 때 Tag 키를 누르면 파트너가 튀어나와 더 강력한 콤보를 때릴 수 있다. TT2의 경우 콤보에 따라서 바운드기이면 자신의 리커버리 게이지[* 빨간 체력바]가 소진되는 대신 태그 도중에도 파트너가 전장에 남아 있는 태그 어설트[* 태그 어설트가 발동되는 동안에는 상대의 리커버리 게이지가 줄어들지 않는다.][* 바운드 기술이 타격하기 전에 태그 버튼을 눌러야 한다.]와 콤보 시동기이면 태그 딜레이만 줄어들 뿐 평범한 태그인 태그 콤보[* 상대의 리커버리 게이지를 더 많이 소모 시킬수 있는 콤보이다.]로 구분되지만, 태그 어설트는 바운드 상황에만 발생하기 때문에 (B, T) 등으로 태그 어설트임을 쉽게 구분할 수 있어 따로 태그 어설트와 태그 콤보의 구분은 하지 않는다. * [[철권 8]] 8편에서 스크류를 계승하는 시스템인 토네이도도 약자가 T이다. 용법은 7편의 (S)와 대동소이하다. 아직 태그 시스템과 토네이도가 같이 등장하는 작품은 없다. == 서양식 표기법(Tekken Zaibatsu)식 표기법) == 서양에서는 반대로 방향을 문자로 표기하고 버튼을 숫자로 표기한다. 기본적으로 앞='''f'''orward, 뒤='''b'''ackward, 위='''u'''pward, 아래='''d'''ownward로 정의한 뒤 대각선 방향은 두 방향의 조합으로 나타낸다. 즉, 각 방향은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아래 표의 대각 입력의 경우, 슬래시를 생략하기도 한다.] || u/b || '''u''' || u/f || || '''b''' || '''n''' || '''f''' || || d/b || '''d''' || d/f || 만약 이 방향 표기를 대문자로 할 경우는 그 방향으로 레버를 유지한다는 뜻이다. F는 한국식 표기의 6~에 대응하는 셈. 각 버튼은 위의 원투쓰리포와 같이 LP=1, RP=2, LK=3, RK=4로 표기한다. 마이너하지만 Tag=5로 표기하는 경우도 있기는 하다. 최종적으로 기술이나 콤보를 나타낼 때는 각 입력 사이에 쉼표를 넣어서 구분한다. 즉 한국에서 6n23RP로 표기하는 풍신권/블랙 스매시의 경우 f, n, d, d/f+2로 표기되는 식. === 서양식 표기법 기타 용어들 === * qcf, qcb: '''q'''uarter '''c'''ircle '''f'''orward, '''q'''uarter '''c'''ircle '''b'''ackward. 각각 ↓↘→, ↓↙←를 축약하는 말. 흔치 않아 보이지만 의외로 그 [[붕권]]의 커맨드에 들어가기 때문에 실전에서 보기 쉬운 커맨드이다. * hcf, hcb: '''h'''alf '''c'''ircle '''f'''orward, '''h'''alf '''c'''ircle '''b'''ackward. 각각 ←↙↓↘→, →↘↓↙← 를 축약하는 말. 철권에서는 [[패왕상후권]] 커맨드를 가진 [[데빌 진]]의 레잡(f, hcf+1+2, 동양식은 →←↙↓↘→AP 혹은 약식으로 641236AP)이나 아예 2D 커맨드를 때려박은 [[고우키(철권)|고우키]](작열파동권 등), [[기스 하워드(철권)|기스]]([[막고 던지기]], [[데들리 레이브]] 등) 정도가 아니면 보기 힘들다. * FC: 완전히 앉은 상태('''f'''ull '''c'''rouch). 짠손이나 앉은 자세 기술 등의 발동 조건이다. Full circle이 아니니 주의. * WS: 기상 중('''w'''hile '''s'''tanding up). 기상킥이나 기상어퍼 등의 발동 조건이다. 참고로 iWS라는 표기가 있는데, 칼기상 입력의 의미로 '''i'''nstant WS라는 의미로 통한다. * WR: 달리는 중('''w'''hile '''r'''unning). * SS: 횡신('''s'''ide '''s'''tep). 횡보는 SW('''S'''ide '''W'''alk)라고 한다 * SSR, SSL: 각각 반시계 횡신(우횡신, side step '''r'''ight), 시계 횡신(좌횡신, side step '''l'''eft). * d/f+2: 동양식의 3RP처럼 d/f(↘)와 2(RP)를 동시에 입력해야 한다는 뜻. * 3~4: 3, 4를 반박자로 연타. 동양식 표기법의 [LK RK] (혹은 LK~RK)와 유사하다. * CD : 풍신스텝인 Crouch(ing) Dash의 약자이다. 동양에서의 →n↓↘(6n23) 서양측에서는 "f n d d/f"를 간략하게 줄여서 말한다. * "d4:2:1+2" : 저스트 입력 커맨드로 ":"를 사용한다. 예시로 든 기술은 [[벽력장]]. * W!, S!, B!, F! : 각각 벽스턴(벽꽝), 스크류, 바운드, 바닥붕괴(플로어 브레이크) 이다. 간혹 월 브레이크, 발코니 브레이크도 W!로 사용하니 외국영상을 볼 경우 관찰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