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鉄道むすめ 일본의 완구 회사 [[타카라토미]]의 자회사 '토미텍'에서 시작한 철도에 [[모에선]]을 쬔 프로젝트로, 처음엔 간단한 피규어 상품이었지만 인기가 좋다 보니 점점 인지도를 얻게 되더니 지금은 큰 입지를 잡게 되었다. == 설명 == 철도무스메 시리즈는 뽑기 피규어(뽑기 기계서 뽑는 게 아닌 [[넨도로이드 푸치|박스마다 캐릭터가 랜덤으로 들어간 것]])로 시작했는데 이것이 인기가 좋다 보니 어느새 10번째 시리즈를 넘어 플러스 3 시리즈까지 나와버렸으며 점차 원 소스 멀티 유즈를 시도하여 현재 닌텐도 DS와 TV 드라마, 만화 단행본까지 나온 상태이며 토미텍에선 이 인기에 힘입어 버스 버전 자매품인 버스무스메도 개발, 발매 중이다. 저작권이 있는 캐릭터들이다. 캐릭터 디자인은 [[베이비 프린세스]]의 미부 나츠키[* 다만 SD버전 캐릭터 일러스트는 소라하나 코요리가 디자인한다.]. 철도가 발달한 일본이기에 나오는 캐릭터들은 전부 실존하는 철도회사로 [[JR그룹]] 대형 사철부터 [[쵸시 전기철도]], [[산리쿠 철도]]와 같은 지방 중소 사철 회사까지 다양한 편이며 철도회사 측에서도 이 캐릭터들을 가지고 홍보를 하고 있다. 특히 이번 철도무스메 만화 단행본에 등록된 캐릭터들이 소속된 철도회사의 경우 단행본 출판 기념 스탬프까지 배치해 놓았을 정도로 철도회사 측에서도 유용하게 쓰이고 있다. [[파일:external/web.archive.org/090426.jpg|width=600]] [[산리쿠 철도]] 쿠지역에 있는 철도무스메 단행본 기념 스탬프이다. 이 철도무스메 피규어는 한국에서도 팔고 있다. 주로 [[용산전자상가|용산]], [[국제전자센터|국전]]에서 찾아볼 수 있고 온라인에서도 살 수 있다. 시리즈별 등장 캐릭터들은 이 블로그를 참조하길. [[http://blog.eufy.com/category/취미/철도|#]] 나무위키 철도회사 문서 곳곳에도 흩어져 있으니 잘 찾아보자. 현 [[이와테현]]지사 [[닷소 다쿠야]]가 2009년 산리쿠 철도 25주년 행사 당시 '''"쿠지 아리스[[는 나의 신부]]다"'''라는 드립을 했다(...) 이직이라는 개념이 세계관에 존재하지 않아, 종합차량제작소와 [[도야마 지방철도]]에서 인수합병과 관련된 문제가 발생한 적 있다. 전자는 "종합차량제작소 사내 디자인센터에서 차량 디자인 업무에 종사하고 있다"는 설정을 추가해서 해결했고, 후자는 회사 측에서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철도무스메는 아니지만 자체 캐릭터를 가지고 있는 [[호쿠신 급행전철]]도 이런 문제를 가지고 있었는데, 다행히 [[https://www.city.kobe.lg.jp/a90404/kurashi/access/kotsukyoku/kotsu/character.html|이직에 성공했으며]] [[고베시 교통국]]이 [[교토시 교통국]] 모에 캐릭터의 대항마로 잘 써먹고 있다. == 철도무스메 캐릭터가 소개되어 있는 철도회사 문서 목록 == * [[대형 사철]]은 '''볼드'''로 처리한다. * [[나가노 전철]] - 아사히 사쿠라 * [[노토 철도]] - 와쿠라 나나오, 니시기시 마하루 * '''[[도부 철도]]''' - 쿠리하시 미나미/카스카베 시아/와타라세 키누/카와고에 아사카/키누가와 미야비 * --[[도야마 라이트레일]] - 이와세 유코--[* 2020년 2월에 [[도야마 지방철도]]로 흡수합병되었다. 도야마 지방철도에 철도무스메가 없어, 라이트레일 철도무스메의 구체적인 활용방안을 논의중이라고 하니 복직의 가능성이 남아있는 셈.] * [[도쿄 모노레일]] - 하네다 아이루/하네다 미나토 * [[류테츠]] - '''코야 나노하''' * [[마츠우라 철도]] - 니시우라 아리사 * [[만요선]] - '''요시히사 코시노''' * [[미즈마 철도]] - 미즈마 미츠마 * [[BART|바트]] - 베일리/님버스/재스민/미라 [* 영미권 국가 및 영미권의 철도운영기관 최초로 철도무스메를 도입하였다] * [[사가노 관광철도]] - 사가 호즈키 * '''[[사가미 철도]]''' -호시카와 미호시 * [[사이타마 고속철도]] - 카와구치 미소노 * [[산기 철도]] - 소하라 렌게 * [[산리쿠 철도]] - 쿠지 아리스/카마이시 마나 * '''[[서일본 철도]]''' - '''아사쿠라 치하야''' * '''[[세이부 철도]]''' - 이구사 시이나/카미이 미샤/카와고에 이부키 * [[센다이 공항철도]] - 모리 미나세 * [[센보쿠 고속철도]] - 이즈미 코우미 * [[시나노 철도]] - 우에다 레무 * [[신케이세이 전철]] - 고코 타카네 * [[아부쿠마 급행]] - 마루모리 타카코 * [[아이즈 철도]] - 오카와 마아야 * [[야마가타 철도]] - 아유카이 린고 * [[오사카 모노레일]] - 토요카와 마도카 * [[오미 철도]] - 토요사토 아카네/히노 세리카 * [[오이가와 철도]] - 이카와 치시로/이에야마 카나카 * [[와카야마 전철]] - 코자키 미코 * [[와타라세 계곡철도]] - 아시오 사키에 * [[요코하마 시사이드라인]] - 시바구치 코노미 * [[요코하마시 교통국]] - 타카시마 아자미 * [[욧카이치 아스나로 철도]] - 오이와케 아스나 * [[우에다 전철]] - 야기사와 마이 * [[유리카모메]] - 아오미 유리카 * [[조모 전기철도]] - 키타하라 유우키 * 종합차량제작소 - 카나자와 아루미[* 도큐차량제조 소속이었다가 [[JR 동일본]]에 매각되어 종합차량제작소로 바뀌었다.] * [[쵸시 전기철도]] - 토카와 츠쿠시 * [[츠가루 철도]] - 아시노 카나 * [[치즈 급행]] - 미야모토 에리오 * '''[[케이세이 전철]]''' - 나카야마 유카리 * '''[[케이한 전기철도]]''' - 이시야마 토모카 * [[후지급행]] - 오오츠키 미이나 * [[히로시마 전철]] - 타카노 미유키 다 옮겨적을 수는 없으나. --역링크를 활용해보자-- 현재 철도무스메의 인원수는 300명 가량 된다고 한다. 이는 사라진 철도 회사의 철도무스메까지 포함한 것이다. [[규슈]]와 [[홋카이도]]에는 각각 [[서일본 철도]]와 [[하코다테시 기업국 교통부]]가 유일하고, [[시코쿠]]에는 단 한 명도 없다. 최근 관광열차 개발과 홍보에 적극적인 [[JR 큐슈]]에 아직 한 명도 없다는 것이 의외. == 관련 문서 == * [[https://www.facebook.com/MissTaiwanRailway?fref=nf|대만철도소녀]]: [[대만]]의 [[타이완 철로관리국]]의 모에 캐릭터. * [[가오슝 첩운 소녀]]: [[대만]] [[가오슝 첩운]]의 모에 캐릭터. * 천조철도소녀 또는 중화철도소녀: 철도무스메 광선을 받은 [[베이징]]의 능덕들이 [[중국|대륙]]과 대만의 철도에도 덕력을 발휘한 작품. [[분류:일본의 철도]][[분류:마스코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