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철원군의 읍면)] ||<-2> '''[[파일:철원군 CI.svg|height=15]] [[철원군|{{{#000000,#dddddd 철원군}}}]]의 [[읍(행정구역)|{{{#000000,#dddddd 읍}}}]]'''[br]'''{{{+1 철원읍}}}'''[br]鐵原邑 | Cheorwon-eup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철원군 철원읍,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강원특별자치도 || || '''기초자치단체''' || 철원군 || || '''행정표준코드''' || 4301037 || || '''관할 법정리''' || 15리 || || '''하위 행정구역''' || 15행정리 78반 || || '''면적''' || 99.76㎢ || || '''인구''' || 5,067명[* 2023년 5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50.79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4 춘천시·철원군·화천군·양구군 을}}}'''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한기호]] ,,(3선),, || ||<-2> '''강원특별자치도의원 | 제1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김정수 ,,(초선),, || ||<-2> '''철원군의원 | 가 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강세용]] ,,(3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이다은 ,,(초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한종문 ,,(재선),, ||}}}}}}}}} || ||<|2> [[행정복지센터|{{{#231f20 '''행정복지센터'''}}}]] || 금학로279번길 15-1[* 화지리 45-5] || || [[https://www.cwg.go.kr/www/contents.do?key=260|철원읍 행정복지센터]] || [목차][clearfix] == 개요 == [[철원군]]의 가장 서쪽에 위치한 [[읍(행정구역)|읍]]이다. [[강원특별자치도]] 대한민국 통치지역의 최서단 행정구역이기도 하다. 옛 철원군의 중심지였으며, 현재는 [[6.25 전쟁]]으로 인해 [[갈말읍]]으로 중심지가 옮겨졌다.[* 따라서 현재 철원읍을 구철원, 갈말 일대를 신철원이라 부른다.] 서남쪽으로 [[경기도]] [[연천군]] [[신서면]], 동쪽으로 [[동송읍]]과 접한다. 현재는 옆 동네인 [[동송읍]]이 더 커져서 같이 묶어서 동송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화살머리고지 전투]]가 일어난 화살머리고지가 위치해 있기도 하다. 서울로부터 78km 떨어져 있다. == 역사 == 본래 철원군 서변면(西邊面)으로 [[조선]] 시대 [[정조]] 때는 9개 동리가 있었으며, [[1895년]] 16개 동리로 늘어났다. [[1914년]] 부군면 통폐합 때 리를 통폐합하여 8개 리가 되었다. 이후 [[1917년]] 철원면으로 개칭되었으며 [[1923년]] [[지정면]]을 거쳐 [[1931년]] 철원면에서 철원읍으로 승격되고 1945년부터 1946년까지 잠시 '''철원시'''로 승격될 만큼 일제강점기부터 [[6.25 전쟁]] 발발 직후까지는 명실상부한 철원군의 중심지였으나, 6.25 전쟁으로 인해 옛 중심지인 관전리(官田里) 일대는 완전히 파괴되어 [[민간인 출입통제선]] 내부에 들어갔고[* 바로 남쪽인 월하리는 1998년에 민통선 지역에서 해제됐다.] 폐허가 된 [[유령도시]]로 남아있다.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donghlee1001&logNo=221299067493|구 철원읍 관전리와 그 주변약도]] 전쟁 이후 [[철원군청]]도 후방에 위치한 [[갈말읍]] '''신철원리'''로 옮겨가고, 읍소재지 또한 가장 남쪽인 화지리로 이전하였는데, 동송읍 시가지와 완전히 붙어있다. 2022년 1월에서야 구철원의 중심지이던 관전리 등 일대 지역이 건축물 신축 등이 금지된 통제보호구역에서 해제되고, 제한보호구역으로 완화되어 군과의 협의 하에 건축 등의 행위가 가능하게 됐다.[[https://www.gwnews.org/news/articleView.html?idxno=225358|#]] 과거에 존재했던 [[삭녕군]]이 [[일제강점기]]에 [[일본인]]들에 의해 둘로 쪼개진 후 경기도 [[연천군]]과 강원도 [[철원군]]으로 나눠서 편입되었는데, 현재 철원쪽에 붙은 삭녕군 중 철원읍 독검리만 유일하게 수복된 상태이지만 그 독검리는 거주 인구가 없다. 본래 월하리, 대마리, 관전리는 민통선 내부여서 주민이 없었으나 각각 [[1959년]], [[1968년]], [[1980년]]에 주민들이 입주하기 시작했다. == 행정구역 == ||<#ed1c24> {{{#ffffff '''법정리'''}}} ||<#ed1c24> {{{#ffffff '''행정리'''}}} || || 화지리 || 화지1~12리 || || 대마리 || 대마1~2리 || || 월하리 || 월하리 || || 관전리 || 관전리 || || 율이리 || 율이리 || == 시설 == * [[역(교통)|역]] * [[백마고지역]] * [[철원역]][*폐역 2024년내 개통 예정] * [[월정리역]][*폐역] * 관광지 * [[철원 노동당사]] * 고지 * 화살머리고지 * [[백마고지]] * 관공서 * 철원읍 행정복지센터 * 철원우체국 * 철원농협 * 학교 * 철원초등학교 * 묘장초등학교 * 철원중학교 * [[철원고등학교]] == 공동주택 == ||<#ed1c24> {{{#ffffff '''단지명'''}}} ||<#ed1c24> {{{#ffffff '''주소'''}}} ||<#ed1c24> {{{#ffffff '''세대'''}}} ||<#ed1c24> {{{#ffffff '''입주 일자'''}}} || || 산호그린빌아파트 || 금학로317번길 17 (화지리) || 330세대 || 2003년 6월 || || 철원석미모닝파크2차 || 북원로 1525 (화지리) || 220세대 || 2019년 || == 자연 == [[추가령 구조곡]]의 저지대여서 예로부터 군사적 요충지였다. 산명리에 산명호가 있다. 미수복지에 [[오리산]]이 있다. [[김화읍]]이나 [[철원군/행정#s-4.4|임남면]] 정도까지는 아니지만 여기도 [[겨울]]에 매우 춥다. [[2001년]] [[1월 16일]] 이곳에서 비공식적으로 -30.3℃가 관측되었다. == 출신 인물 == * [[김동일(1963)]] * [[이태준(소설가)]](산명리)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철원군/행정, version=219)][[분류:철원군의 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