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현재 청원이라는 지명을 사용하는 지역, rd1=청원구)] [Include(틀:대한민국의 폐지된 행정구역)] ||<-4> '''[[충청북도|{{{#000000,#dddddd 충청북도}}}]]의 [[군(행정구역)/대한민국|{{{#000000,#dddddd 폐지된 자치군}}}]]'''{{{#!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청원군 구 CI.svg|width=90]]||{{{#000,#fff '''{{{+1 청원군}}}'''[br]淸原郡[br]{{{-1 Cheongwon County}}}}}}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청주시청제2청사, 너비=100%, 높이=100%)]}}} || ||<-2> '''군청 소재지''' ||<-2> '''[[청주시(통합 이전)|청주시]]''' [[상당구]] [[북문로1가]] || ||<-2> '''광역자치단체''' ||<-2> [[충청북도]] || ||<-2> '''하위 행정구역''' ||<-2> 3[[읍]] 10[[면]] || ||<-2> '''면적''' ||<-2> 779.06㎢ || ||<-2> '''인구''' ||<-2> 155,436명[* [[2014년]] 6월 기준] || ||<-2> '''현재 인구''' ||<-2> 180,014명[* [[2023년]] 2월 기준 청주시 읍면지역 인구] || ||<-2> '''인구 밀도''' ||<-2> 199.52명/㎢[* [[2014년]] 6월 기준] || ||<-2> {{{#fff '''마지막 군수'''}}} ||<-2> [include(틀:민주당(2008년))] [[이종윤(1951)|이종윤]] || ||<-2> {{{#fff '''마지막 국회의원'''}}} ||<-2> [include(틀:민주통합당)] [[변재일]] || ||<-2> '''지역전화''' ||<-2> 043-2xx || ||<-2> '''존속기간''' ||<-2> '''[[1895년]] [[6월 23일]][* [[1946년]] [[6월 1일]] 청원군으로 개칭] ~ [[2014년]] [[6월 30일]]'''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구 청원군청.jpg|width=100%]]|| ||구 청원군청. 주소는 [[청주시(통합 이전)|청주시]] [[상당구]] 상당로69번길 38(舊 북문로1가 171-3). 역사적으로는 청주 동헌이 있던 자리이며, [[2014년]] [[7월 1일]] [[청주시]]와 통합된 이후 상당구청(임시청사), 청주시청 제2청사를 거쳐 2023년 시점에서는 [[청주시청]] 제1임시청사로 쓰이고 있다.|| || [[파일:청원군 CI_국문.svg|width=100%]] || [[파일:청원군 캐릭터.svg|width=100%]] || ||<-2> CI와 마스코트 "초롱이"[* 청원군청 홈페이지에는 "맑고 깨끗한 물방울과 푸른 나뭇잎을 모티브로 청원군의 청정한 자연을 수호하는 귀여운 요정으로 형상화 하였으며, 또한 발빠르게 움직이는 요정은 교통의 핵심으로서 빠른 이동이 가능함을 표현하였습니다. White에서 시작되어 Blue, Green, Red로 변화색을 사용함은 청원이 더 푸르고 깨끗한 자연과 더불어 미래의 도약과 청원군 군민들의 밝은 의지를 나타냅니다. 캐릭터 이름은 초롱이이며 청결하고 깨끗한 자연환경과 푸른숲, 맑은 물등 아름다운 자연을 의미합니다."라고 기재되어 있었다.] || [[충청북도]]의 옛 [[기초자치단체]]([[군(행정구역)/대한민국|군]]). [[청주시(통합 이전)|청주시]]를 둘러싸고 있는 [[도넛]] 형태로, 군청은 청주시에 있었다.[* [[1995년]] [[도농복합시]] 출범 이전에는 청주시-청원군이나 [[전주시]]-[[완주군]]처럼 역사적으로 동일한 지역이 시-군으로 분리된 곳들이 많았고, 그 형태는 대부분 군이 시를 완전한, 또는 불완전한 [[위요지|도넛 모양으로 감싸는 형태]]였다. 이 경우 군들의 군청은 대부분 분리된 시내에 있었다.] 청주시와 통합되어 폐지되기 전 인구는 159,486명.[* 외국인 포함, 2014년 6월 말 기준] [[1895년]] [[23부제]] 개편과 함께 '''청주군'''이라는 이름으로 설치되어 [[1946년]] 군정법령 제84호에 의해 청주군 청주읍이 청주부로 분리승격되었고, 잔여 지역은 '''청원군'''으로 개칭되었다.[* 동일 법령에 의해 춘천군 춘천읍도 [[춘천시|춘천부]]로 분리승격되었고, 잔여 지역이 [[춘성군]]으로 개칭되었다.] 이렇게 분리된 청주부는 [[1949년]] [[8월 15일]] 청주시로 개칭되었다.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70px-Map_Cheongwon-gun.png]] || || 청원군 지도 || 원래는 [[1995년]]에 도농통합시로 계획된 도시 중 한곳이였으나, 청원군의 극심한 반대로 무산이 되었다가 [[2014년]] [[7월 1일]] 도농분리 68년 만에 다시 하나가 되었다. 통합 찬·반 논쟁은 양자의 주장이 10여년 간 팽팽했지만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민선 5기]]에 들어서면서 양측 모두 통합에 매우 호의적인 편이었다. 청원군의 독자적인 승격 논의도 있었으나, 결국 [[청주시(통합 이전)|청주시]]와 [[청주·청원 통합|통합]]하는 쪽으로 결정되었다. [[광역시]] 산하가 아닌 [[군(행정구역)/대한민국|군]] 중에서는 가장 인구가 많았다.[* 군 단위 기초자치단체 가운데 세 번째로 인구가 많았다. 1위는 인구 20만의 [[울산광역시]] [[울주군]], 2위는 인구 18만의 [[대구광역시]] [[달성군]]. 물론 이는 청원군이 존속했던 2014년을 기준으로 한 것이고, 역사를 통틀어 인구가 가장 많았던 군은 [[전라남도]] [[무안군]]으로, [[1966년]] 당시 무려 32만 명에 가까운 인구를 보유하고 있었다. 현재의 [[신안군]] 지역이 당시에는 무안군 관할이었기 때문에 뻥튀기된거지만. 이에 버금가는 기록은 [[강원도]] [[삼척군]]으로, 탄광이 부흥하면서 [[1979년]]도에 인구 30만 명을 넘은 기록이 있다. 지금은 [[태백시]], [[동해시]], 현 [[삼척시]] 등으로 갈라진 상태.] 이 때문에 군 자체만으로 국회의원 [[선거구]]를 하나 가지고 있었다.[* 군이 단독으로 국회의원 선거구를 갖는 케이스는 [[21세기]] 이후에는 전국에서 단 네 곳([[충청남도|충남]] [[당진시|당진]], [[울산광역시|울산]] [[울주군|울주]], [[대구광역시|대구]] [[달성군|달성]], [[충청북도|충북]] 청원)밖에 없었다. ([[20세기]] 중반까지만 해도 [[이촌향도]] 현상이 활발하지 않아 군이 단독 선거구로 배정된 경우는 물론 부여, 해남 등 소속 면이 많은 군은 갑/을로 쪼개진 경우도 꽤 있었다) 이 중 당진군은 [[2012년]] [[당진시|시로 승격]], 청원군은 2014년 [[청주시(통합 이전)|청주시]]와 통합되고 선거구가 조정되면서, 이러한 사례는 두 곳([[울산광역시|울산]] [[울주군|울주]], [[대구광역시|대구]] [[달성군|달성]])으로 줄었으나, [[부산광역시|부산]] [[기장군]]이 [[정관신도시]] 개발에 따른 인구 증가로 단독선거구 구성 하한선을 돌파하면서(2015년 기준 약 15만3천명) [[20대 총선]]부터 [[기장군(선거구)]]가 설치되어 다시 3곳으로 늘었다. 우연히도, 단독선거구를 구성하는 군은 현재 모두 [[광역시]] 산하에 있다.] [[2006년]] 초까지만 해도 인구는 [[제천시]]가 더 많았으나, 오창과학산업단지, [[오송생명과학단지]]의 영향으로 인해 [[제천시]]를 제치고 충북 시군 인구 규모 3위가 되었다. [[2012년]] 주민투표로 [[청주시(통합 이전)|청주시]]와의 통합이 가결되어, [[2014년]] [[7월 1일]]부로 [[청주시]]로 통합하게 되었다. 이로서 1946년 청주군이 [[청주시(통합 이전)|청주부]][* 1949년 [[청주시(통합 이전)|청주시]]로 개칭]와 청원군으로 분리된 이래, 68년 만에 다시 하나가 되었다. 그 전인 2012년 7월 [[세종특별자치시]]가 출범하면서 예하 행정구역이었던 부용면[* 편입 이후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으로 개칭되었다. 편입이 유일하게 제외되었던 외천리는 남이면 편입 후 부용외천리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하위 행정구역 문단에 후술.]이 편입되어, 1개 면이 감소하였다. 청주시가 서쪽 지역 중심으로 발전된 것과 유사하게, 청원군 역시 북서쪽 중심으로 개발이 진행되었다. 청원군에서 가장 발전된 곳이었던 내수읍과 최근에 급속하게 커진 오창읍은 북쪽에, 오송읍은 서쪽에 위치했다.[* 이 지역들은 각각 2014년 7월 1일 [[청원구]]와 [[흥덕구]]에 편입되었다.] 반면 남동쪽 지역들은 여전히 전형적인 시골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 특산물(?)은 [[초정약수|초정리 탄산수]]로 만드는 [[일화]]의 [[천연사이다]], 탄산수 및 [[맥콜]]. == 연혁 == * [[1895년]] [[5월 26일]] : [[23부제]] 실시, 공주부 '''청주군''', '''문의군''' * [[1896년]] [[8월 4일]] : [[13도제]] 실시, [[충청북도]] 청주군, 문의군 * [[1914년]] [[3월 1일]] : [[부군면 통폐합]]으로 문의군이 청주군에 병합, 청천면을 [[괴산군]]에, 오창면 도방리 일부를 [[충남]] 천안군에, 충남 [[대덕군|대전군]] 구즉면 상산리 일부를 청주군에 각각 편입 * [[1915년]] [[1월 1일]] : 남일면 일부[* 병암리, 금거리, 내암리]와 [[보은군]] 회북면[* [[2007년]] 회인면으로 개칭] 일부[* 계산리, 수곡리, 시동리]를 [[가덕면]]에 편입 * [[1917년]] [[9월 25일]] : 양성면을 [[문의면]]으로 개칭 * [[1930년]] : 용흥면을 문의면에 합병 * [[1931년]] [[4월 1일]] : 청주면이 청주읍으로 승격 * [[1946년]] [[6월 1일]] : 청주읍이 [[청주시(통합 이전)|청주부]]로 승격[* [[1949년]] [[8월 15일]] 전국의 [[부(행정구역)|부]]를 [[시(행정구역)/대한민국|시]]로 개칭하면서 청주시로 개칭], 청주군의 잔여지역이 청원군으로 개칭 * [[1963년]] [[1월 1일]] : 사주면을 청주시로 편입 * [[1973년]] [[7월 1일]] : 남이면 일부를 부용면[* 행산리, 산수리], 강서면[* 석곡리]에, 북이면 초중리를 [[괴산군]] [[증평군|증평읍]]에 각각 편입 * [[1983년]] [[2월 15일]] : 강내면 황탄리 일부를 강외면에, 문의면 죽암리를 현도면에, 북이면 학평리를 북일면에, 강서면 일원과 낭성면 산성리, 남일면 방서리, 강내면 석소리를 [[청주시(통합 이전)|청주시]]에 편입 * [[1987년]] [[1월 1일]] : 강내면 부탄리를 월탄리로 개칭, 남이면 죽림리와 강내면 일부[* 정봉리, 신촌리]를 청주시로 편입 * [[1989년]] [[1월 1일]] : 북이면 석화리 일부를 북일면 세교리에, 부용면 외천리 일부를 남이면에, 낭성면 성대리를 미원면에, [[보은군]] 회북면[* [[2007년]] 회인면으로 개칭] 일부[* 마동리, 마구리, 묘암리]와 회남면 염치리를 문의면에 각각 편입 * [[1990년]] [[8월 1일]] : 남일면 일부[* 지북리, 평촌리, 운동리, 월오리, 장암리], 남이면 장성리, 북일면 일부[* 주성리, 외하리, 외평리, 외남리, 오동리, 정북리, 정상리, 정하리, 주중리]를 청주시로, 가덕면 노현리를 문의면에 편입 * [[1995년]] [[3월 1일]] : 강외면 심중리를 [[충남]] [[연기군]] [[전동면]]에, [[연기군]] [[연동면|동면]] 갈산리를 청원군 부용면에 각각 편입 * [[2000년]] [[1월 1일]] : 북일면이 [[내수읍]]으로 승격 * [[2007년]] [[1월 1일]] : 오창면이 [[오창읍]]으로 승격 * [[2012년]] [[1월 1일]] : 강외면이 [[오송읍]]으로 승격 * [[2012년]] [[6월 27일]] : [[청주·청원 통합|청주시-청원군 통합]] 주민투표 실시 * [[2012년]] [[7월 1일]] : 외천리를 제외한 부용면 일원[* 부강리, 노호리, 등곡리, 금호리, 갈산리, 문곡리, 행산리, 산수리]을 신설되는 [[세종특별자치시]]에 편입해 [[부강면]]으로 개칭, 구 부용면 외천리는 부용외천리로 개칭해 남이면에 편입. * [[2014년]] [[7월 1일]] : 청원군과 [[청주시(통합 이전)|청주시]]가 [[청주·청원 통합|통합]]되어 [[청주시|통합 청주시]]를 설치. 과거 청원군 관할 3읍[* 내수읍, 오창읍, 오송읍], 10면[* 가덕면, 강내면, 남이면, 남일면, 낭성면, 문의면, 미원면, 북이면, 옥산면, 현도면] 중 내수읍, 오창읍, 북이면은 [[청원구]], 가덕면, 남일면, 낭성면, 문의면, 미원면은 [[상당구]], 오송읍, 강내면, 옥산면은 [[흥덕구]], 남이면과 현도면은 [[서원구]]로 각각 편입. == 역대 군수 == === 민선 === * 민선 1-2기 [[변종석(정치인)|변종석]] : [[1995년]] [[7월 1일]] ~ [[2001년]] [[8월 14일]] 뇌물수수 혐의 유죄판결로 군수직 상실[*재보궐X 잔여 임기 1년 미만으로 재보궐선거 미실시] * 민선 3기 [[오효진]] : [[2002년]] [[7월 1일]] ~ [[2006년]] [[3월 27일]] [[청주시장]] 출마를 위해 사퇴. * 민선 4기 [[김재욱(1948)|김재욱]] : [[2006년]] [[7월 1일]] ~ [[2009년]] [[12월 10일]]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군수직 상실[*재보궐X] * 민선 5기 [[이종윤(1951)|이종윤]] :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민선 1기를 마치고 2기 임기를 수행하던 중 군수직을 상실한 변종석 군수를 제외하면 마지막 민선 청원군수인 이종윤 군수만 제 임기를 무사히 마쳤다. == 인구 추이 == ||<-102><:> [[파일:청원군 CI_국문.svg|width=100]][br]{{{+1 ''' [[충청북도|{{{#000000 충청북도}}}]] [[청원군|{{{#000000 청원군}}}]] {{{#000000 인구추이}}} ''' }}} [br] {{{-3 ([[1966년]]~[[2010년]])}}} || |||| ||<-10>||<-10>||<-10>||<-10>||<-10>||<-10>||<-10>||<-10>||<-10>||<-10>|| ||<:> [[1966년]] ||<:> 224,888명 ||<-74>||<-26>|| ||<:> [[1970년]] ||<:> 204,190명 ||<-68>||<-32>|| ||<:> [[1975년]] ||<:> 199,250명 ||<-66>||<-34>|| ||<:> [[1980년]] ||<:> 173,447명 ||<-57>||<-43>|| ||<-102><#e5e5e5,#1f2023> [[1983년]] 강서면 → [[청주시(통합 이전)|청주시]] 편입 || ||<:> [[1985년]] ||<:> 141,804명 ||<-47>||<-53>|| ||<-102><#e5e5e5,#1f2023> [[1990년]] 북일면, 남일면, 남이면 일부 → [[청주시(통합 이전)|청주시]] 편입 || ||<:> [[1990년]] ||<:> 114,641명 ||<-38>||<-62>|| ||<:> [[1995년]] ||<:> 112,094명 ||<-37>||<-63>|| ||<:> [[2000년]] ||<:> 115,634명 ||<-38>||<-62>|| ||<:> [[2005년]] ||<:> 112,137명 ||<-37>||<-63>|| ||<:> [[2010년]] ||<:> 142,017명 ||<-47>||<-53>|| ||<-102><#e5e5e5,#1f2023> [[2012년]] [[부강면|부용면]] → [[세종특별자치시]] 편입 || ||<:> [[2014년]] ||<:> 154,865명 ||<-51>||<-49>|| ||<-102><#e5e5e5,#1f2023> [[2014년]] [[7월]] [[청주시(통합 이전)|청주시]] + 청원군 → [[청주시|통합청주시]] 출범 || |||| ||<-10>||<-10>||<-10>||<-10>||<-10>||<-10>||<-10>||<-10>||<-10>||<-10>|| ### 상한: 30만명 == 생산물 == '''청원생명'''이라는 브랜드를 통해서 애호박, 딸기, 수박, 사과, 토마토, 포도, 복숭아 등 농산물을 생산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가수 [[태진아]]가 모델로 출연했던 '''청원생명쌀'''이 있다.[* 정작 [[태진아]]는 [[보은군]] 출신이라서 보은사람들 사이에서 아쉽다는 소리가 있었다.] 2022년 현재 광고모델은 예산 출신인 [[송소희]]다. 이 브랜드는 [[2014년]] [[청주시|통합청주시]] 출범 이후에도 존치되었다. 당연히 브랜드 관리주체는 청원군에서 [[청원구]][* 애초에 청원구는 별도의 청사를 둔 청주시의 하위 조직일 뿐이다.]가 아닌 [[청주시]]로 이관되었다. == 하위 행정구역 == [[파일:청원군 행정.png]] [include(틀:청원군의 읍면)] === 구 청주목 지역 === 아래 지역은 조선시대 청주목에 속했던 곳이다. * '''[[내수읍]]''' * '''[[오송읍]]''' * '''[[오창읍]]''' * '''[[강내면]]''' * '''[[남이면(청주)|남이면]]''' * '''[[남일면(청주)|남일면]]''' * '''[[낭성면]]''' * '''[[미원면]]''' * '''[[북이면(청주)|북이면]]''' * '''[[옥산면(청주)|옥산면]]''' === 구 문의현 지역 === 아래 지역은 [[조선시대]] 문의현에 속했던 곳이다. [[1914년]] [[4월 1일]] [[부군면 통폐합]] 때 청주군에 흡수되어 사라졌다. 이외에도 구 부용면이 문의현이었는데, 부용면 외천리만 '부용외천리'라는 이름으로 남이면에 편입되었고 나머지는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이 되었다. 한편 [[부군면 통폐합]] 당시 기존 청주목의 면과 문의현의 면이 섞이지 않도록 했는지 가덕면과 구 부용면이 굉장히 이상하게 생겼다. * '''[[가덕면]]''' * '''[[문의면]]''' * '''[[현도면]]''' === 이전 행정구역 === * 사주면 [[일제강점기]]부터 청주시[* 1946년 이전 청주읍]를 도넛 모양으로 둘러싸고 있던 면으로, [[1963년]] [[1월 1일]] 청주시에 편입되어 사라졌다. 지금의 상당구 명암동·방서동·사천동·용담동·용암동·용정동·운동동·월오동·율량동·지북동·평촌동, 흥덕구 가경동·개신동·미평동·복대동·봉명동·분평동·사직동·사창동·산남동·성화동·송정동·수곡동·신봉동·장성동·장암동·죽림동에 해당한다. 애초에 청원군 자체도 청주시를 도넛 모양으로 포위하는 형태인데, 청원군 예하의 사주면 역시 이런 형태였던 것. * [[강서면]] [[1983년]] [[2월 15일]] 구 청주시에 편입되면서 폐지되었다. 지금의 흥덕구 강서동·남촌동·내곡동·동막동·문암동·비하동·상신동·서촌동·석곡동·석소동·송절동·수의동·신대동·신성동·신전동·외북동·원평동·지동동·평동·향정동·현암동·화계동·휴암동에 해당한다. * [[부강면|부용면]] [[2012년]] [[7월 1일]] 부강면으로 개칭됨과 함께 [[세종특별자치시]]에 편입되면서 폐지되었다. 이 과정에서 외천리는 남이면에 편입되었는데, 남이면에 외천리가 이미 있었기 때문에 혼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용외천리로 개칭되었다. == [[청주·청원 통합|청주시-청원군 통합]]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청주·청원 통합)] * 2014년 7월 1일, [[청주시(통합 이전)|청주부(청주시)]]-청원군 분리 68년 만에 [[청주시|통합청주시]]가 출범하였다. * "청원"이란 명칭은 완전히 사라지진 않고, [[일반구]] 명칭([[청원구]])으로 남게 되었다. * 행정구역과 통합 당시 인구는 다음과 같다. [[파일:external/www.cheongju.go.kr/left_map_img.jpg]] ▲ [[상당구]](5면 8동, 404.44㎢) : 중앙동, 성안동, 탑대성동, 용담·명암·산성동, 금천동, 영운동, 용암1·2동, 남일면, 낭성면, 미원면, 문의면, 가덕면 ▲ [[흥덕구]](1읍 2면 10동, 198.27㎢) : 운천·신봉동, 봉명1동, 봉명2·송정동, 복대1·2동, 가경동, 강서1·2동, 오송읍, 강내면, 옥산면 ▲ [[청원구]](2읍 1면 5동, 214.99㎢) : 내덕1·2동, 율량·사천동, 우암동, 오근장동, 내수읍, 오창읍, 북이면 ▲ [[서원구]](2면 9동, 114.88㎢) : 사직1·2동, 사창동, 모충동, 수곡1·2동, 산남동, 분평동, 성화·개신·죽림동, 남이면, 현도면 [각주][[분류:충청북도의 폐지된 행정구역]][[분류:2014년 폐지된 행정구역]][[분류:청주시의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