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슬라브어파)] [include(틀:체코 관련 문서)] ||<-3> {{{#fff {{{+2 '''체코어'''}}}[br]'''{{{-1 Čeština [br] Česky jazyk}}}'''[br]{{{-2 Czech language}}}}}} || ||<-3>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Idioma_checo.png|width=300]] || ||<-2> '''유형''' ||[[굴절어]] || ||<-2> '''어순''' ||주어-동사-목적어 (SVO) || ||<-2> '''서자방향''' ||좌횡서 || ||<-2> '''문자''' ||[[로마자]] || ||<-2> '''점자''' ||체코어 점자 || ||<-2> '''주요 사용 지역'''[br](또는 공용어 지정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체코)] || ||<-2> '''원어민''' ||약 1,050만 명 || ||<-2> '''계통''' ||[[인도유럽어족]] [br] [[슬라브어파]] [br] 서슬라브어군 [br] 체코슬로바키아어 [br] '''체코어'''|| ||<|4> '''언어[br]코드''' || [[국제표준화기구|{{{#fff '''ISO'''}}}]] '''639-1''' ||CS || || [[국제표준화기구|{{{#fff '''ISO'''}}}]] '''639-2''' ||CZE, CES || || [[국제표준화기구|{{{#fff '''ISO'''}}}]] '''639-3''' ||CES || || '''글로톨로그''' ||czec1258 || >'''Namuwiki, strom poznání, který pěstujeme společně.''' >'''나무위키, 여러분이 가꾸어 나가는 지식의 나무.''' [목차] [clearfix] == 개요 == 체코어는 [[인도유럽어족]] [[슬라브어파]] 서슬라브어군에 속하는 [[언어]]이자 [[체코인]]들의 모국어이다. [[체코]]의 공용어이며, 모국어로 사용하는 화자는 약 1200만여 명이다. 2004년 [[유럽연합]] 공식 언어로 채택되었다. == 다른 언어와의 유사점 == [[슬라브어파]]에 속한 언어이면서 문법적으로는 [[슬로바키아어]], [[폴란드어]]와 함께 서슬라브어군에 속한다. [[폴란드어]]는 정확한 의사소통이 가능한 수준은 아니지만 체코어와 함께 서슬라브어군에 속하는 매우 유사한 언어이기 때문에, 체코어를 할 줄 안다면 폴란드어를 빠르게 학습할 수 있다. 또한 [[슬로바키아]]에서 사용하는 [[슬로바키아어]]는 체코어와 근소한 차이만을 보이기 때문에, 체코어를 할 줄 안다면 슬로바키아어는 폴란드어보다도 상당히 빠르게 학습할 수 있다[* 체코어와 슬로바키아어는 [[번역가]]와 [[통역]]이 필요없이 법정에서의 증언, 공문서의 사용 등을 자유자재로 할 수 있을 정도로 가까운 언어이다. [[구글 번역]] 등지에서 슬로바키아어를 '체코어'로 맞추고 번역해도 상당히 정확하게 번역될 정도.]. [[체코슬로바키아]] 시절에는 아예 체코슬로바키아어라는 언어로 불린적도 있었다. 다만 정서법에서의 몇 가지 차이점과 발음 및 어휘의 차이는 주의해야 할 것이다. 한국인에게는 발음 때문에 체코어보다 슬로바키아어가 훨씬 더 배우기 쉽다. 남슬라브어군에 속하는 [[세르보크로아트어]], [[슬로베니아어]], [[불가리아어]], [[마케도니아어]]와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는 [[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 등은 체코어와 많이 다르다. 따로 배우지 않는 한 체코어 화자와의 의사소통은 어렵다. 하지만 다 같은 슬라브어파이기 때문에 공통 조상을 갖는 어휘들이 상당히 많고 문법 체계 또한 비슷하기 때문에, 체코어를 배운 후 이 언어들을 배우면 [[프랑스어]]나 [[독일어]] 등 다른 어파의 언어들을 배울 때보다 훨씬 더 빠르게 배울 수 있다. 역으로 슬라브어파의 다른 언어들을 배우고 체코어를 배워도 마찬가지. 예를 들자면 검다, 검은색이라는 뜻의 체코어 černý([[체르니]])와 [[러시아어]] Чёрный(초르니이)와 같은 단어의 유사성을 보면 바로 이해가 될 것이다.[* 다만 슬라브 계통의 언어를 빨리 배우기는 하더라도 [[거짓짝]]과 같은 문제가 있기 때문에 의외로 잔실수가 잦은 경우가 있다. 특히나 슬라브어의 특징인 명사의 굴절이나 복잡한 동사 인칭 변화를 자국어식으로 하는 실수를 자주 범하기도 한다. 이 때문에 의외로 슬라브어권 화자들이 다른 슬라브어권 언어 인증 시험을 보면 (특히 말하기 시험에서) 크게 감점을 당하는 경우가 꽤 된다고 한다.] 다만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등 슬라브어와는 다른 어파에 속하는 언어들은 슬라브어가 속해있는 [[인도유럽어족]]에 속해있기는 하나 문자로 같은 [[로마자]]를 쓴다는 것만 빼면 체코어와는 거의 연관성이 없다. 어휘부터 다른 것이 많고, 문장 구조 자체는 비슷해 보일 수 있지만 실제로는 문법적으로도 차이가 꽤 크기 때문에 체코어 화자와 상호 의사 소통은 불가능하고 학습에도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 그나마 독일어 화자 중에서도 [[오스트리아인]]들은 오랫동안 체코인들과 한 나라[* [[합스부르크 제국]], [[오스트리아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사람으로 살아오면서 언어, 문화적으로 영향을 많이 주고받았던 역사가 있다 보니 체코인들과 상호 의사 소통이 불가능한 것과 별개로 체코어를 상대적으로 쉽게 배우는 편이다. == 발음과 표기 == || [[파일:external/www.omniglot.com/czech.gif|width=500]] || || 체코어 알파벳. [[라틴 문자]]를 사용한다. || 체코어의 발음은 영어처럼 예외가 많거나 하진 않고 규칙적인 편이다. 다만 그냥 발음 자체가 다른 언어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희한한 발음이 많다. 체코어 ř 발음이 가장 희귀한 발음(Rarest speech sounds)으로 기네스북에 등재됐다[[https://www.guinnessworldrecords.com/world-records/67311-rarest-speech-sounds|기네스북 등록 기록]]. 발음을 들어보면 희귀하긴 하다. [youtube(8tLcE3ALVEQ, start=317)] 모음 á, é, í, ó, ú, ů, ý는 길게 읽는다. q, w, x는 외래어에만 쓰인다. * '''i, í와 y, ý''' 폴란드어에서는 i와 y의 발음이 서로 다르지만, 체코어에서는 두 글자의 발음이 /i/로 같다. 마찬가지로 장음 형태인 í, ý 또한 /iː/로 그 발음이 서로 같다. 그렇다면 i와 y의 차이는 무엇인가? 바로 i는 앞 자음을 구개음화시키고, y는 앞 자음의 발음을 그대로 둔다는 것이다. 이를테면, ti는 /ci/, di는 /ɟi/, ni는 /ɲi/, li는 /ʎi/, ty는 /ti/, dy는 /di/, ny는 /ni/, ly는 /li/로 발음한다는 것. * '''ú와 ů''' 체코어의 장음 u는 두 가지가 존재한다. 바로 ú와 ů. ů는 어두에서 쓰일 수 없다는 것과 ú는 어두에만 온다는 것 정도가 현대 체코어에서의 차이점. 또, 체코어의 ů는 슬로바키아어의 ô /u̯o/에 대응된다는 점도 눈여겨볼 만 하다.[* 폴란드어에서는 ó에 대응된다.] útery, trojúhelník(troj + úhel + -ník); můj, důkaz. * '''ě''' 앞 자음을 연음화시키는 /e/이다. 반드시 앞에 자음을 수반해야 하기 때문에 어두에 쓰일 수는 없다. 이를테면, bě는 /bʲe/, vě는 /vʲe/, pě는 /pʲe/, fě는 /fʲe/로 발음하는 식. 이미 연음화된 ď, ť, ň는 자음에 붙은 부호인 하체크(Háček, ˇ)를 없애 dě, tě, ně로 쓰고 그 발음은 /ɟe/, /ce/, /ɲe/로 한다. 다만, 예외적으로 mě는 /m[[ɲ]]e/로 발음한다. * '''ř'''[* r의 연음으로 폴란드어 rz에 대응된다.] 전동음 /r/[* 영어의 r 소리가 아닌 스페인어의 rr 소리나 러시아의 r 소리.]보다 혀가 상승하면서 마찰음의 성격을 함께 지니는 소리 '''ř'''이 어렵기로 악명높다. 이 음은 체코어 이외에 [[터키어]][* 터키어 어간에 r발음이 위치할 경우(가령 현재형 3인칭 어미인 ~iyor 나 초월 3인칭 어미인 ~ir 같이) r발음이 혀 위에서 발음되어 sh비슷한 발음처럼 되는데, 이때의 발음과 동일하다.] 등 몇몇 언어에서나 발견된다. 한국어 외래어 표기법 상에서는 ㄹㅈ으로 표기한다. 체코어 화자들의 조언에 따르면 r과 s(영어 vi'''s'''ion의 s. 즉 영어 sh의 유성음)를 거의 동시에 발음하면 된다고 한다. 여담으로 [[슬로바키아]]에서 ř 발음은 r 발음으로 치환되어서 한국인에게는 발음하기에 더 유리하다. 유명한 음악가 [[안토닌 드보르자크]](Antonín Dvo'''ř'''ák)와 [[베드르지흐 스메타나]](Bed'''ř'''ich Smetana)의 이름에도 이 음이 들어가 있다. [[IPA]]: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d/d1/Cs-Antonin_Dvorak.ogg|[ˈantoɲiːn ˈdvor̝aːk\]]],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b/ba/Cs-Bedrich_Smetana.ogg|[ˈbɛdr̝ɪx ˈsmɛtana\]]]. 또한 영어 이름 [[조지]]와 대응하는 체코어 이름 이르지(Jiří)에도 들어가 있다. 축구선수 [[이르지 파블렌카]](Jiří Pavlenka)라든가... 이 자음이 12번 들어간 잰말놀이도 있다.[* Třistatřicettři stříbrných stříkaček stříkalo přes třistatřicettři stříbrných střech. 한글로 발음을 표기하면 "트르지스타트르지체트르지 스트르지브르니흐 스트르지카체크 스트르지칼로 프르제스 트르지스타트르지체트르지 스트르지브르니흐 스트르제흐" 정도로 쓸 수 있다.] * G와 H 다른 슬라브어파 언어들에서는 /g/로 발음되는 것들이 우크라이나어처럼 모조리 유성 [[성문음|성문 마찰음]]인 /ɦ/로 소리난다. 예를 들면, 폴란드어의 '''g'''rać, je'''g'''o를 체코어에서는 '''h'''rat, je'''h'''o로 발음한다든지, 러시아어의 кни'''г'''а, '''г'''олос를 체코어에서는 kni'''h'''a, '''h'''las로 발음하고 있으며 역으로 [[프라하]](Praha)가 영어로 'Prague', 폴란드어로 'Praga'가 되는 이유도 이 법칙을 따르기 때문이라 볼 수 있다. 물론 여타 유성자음과 마찬가지로 h는 단어 맨 끝에서 ch, 즉 /x/로 발음된다. === 자음 연쇄 === 슬라브어파에 속하기 때문에 [[자음]] 연쇄가 상당히 흔한 언어이다. 사실, 체코어는 그 중에서도 가장 심한 편이다. 게다가 /r/이나 /l/ 등이 [[성절 자음]]으로 쓰이면 자음만으로 단어가 만들어지기도 한다. 예를 들어 '죽음'이라는 뜻의 체코어 'smrt(스므르트)'는 /r/이 성절 자음으로 앞에 /s/와 /m/, 뒤에 /t/가 붙어 자음 4개로만 한 [[음절]]이 나온다. 더 심하면 아예 모음 없이 /r/ 성절 자음만 쓴 [[http://ko.wikipedia.org/wiki/%EC%8A%A4%ED%8A%B8%EB%A5%B4%EC%B9%98_%ED%94%84%EB%A5%B4%EC%8A%A4%ED%8A%B8_%EC%8A%A4%ED%81%AC%EB%A5%B4%EC%8A%A4_%ED%81%AC%EB%A5%B4%ED%81%AC|Strč prst skrz krk]](목구멍 안에 손가락 찔러넣기)라는 문장도 나온다. 같은 서슬라브어인 [[폴란드어]]로는 przełóż palec przez gardło라는 비교적 정상적인 발음(?)의 문장이 되고[* "프셰우시 팔레쯔 프셰스 가르드워" 정도로 발음된다.] 동슬라브어인 [[러시아어]]로는 просунь палец сквозь горло가 된다.[* 러시아어의 경우 자음 충돌이 일어나는 곳에 o나 e를 삽입해서 자음 충돌을 피한다.] 이외에 /l/도 성절 자음으로 많이 쓰이고(예 : "vlk, mls, ..."), /m/과 /n/도 일부 단어에서 모음의 역할을 할 수 있지만 뒤에 추가적인 종성을 가질 수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예 : "sedm, osm"[* 이들은 각각 /sedm̩/, /osm̩/으로 발음할 수도 있고 /sedum/, /osum/으로도 발음할 수 있다.]) === 한글 표기 === [[외래어 표기법/체코어]] 문서 참고 한국어 외래어 표기법과 실제 체코어 발음은 약간 다르다. 체코어의 f, v는 p, b와는 다른 소리고, 무성음은 거센소리로 발음되지는 않으며, r은 [[러시아어]]에서처럼 [[전동음]]으로 발음된다. == 학습 == === 문법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체코어/문법)] === 난이도 === 음운론이나 형태론, 통사론 모두 어려운 것으로 악명이 높다. 물론 난이도란 것은 어떤 언어를 모어로 하느냐에 따라 달라지는 주관적인 개념이다. 같은 서슬라브어파의 언어들이나 슬라브어 화자 정도만 되어도 익숙한 문법일 것이다. 체코가 [[중앙유럽|유럽 한가운데]]에 떡하니 자리잡은 탓인지 온 유럽의 어려운 문법들을 전부 흡수했다. * [[명사(품사)|명사]] 명사를 예로 들자면 격(case), 수(number), 성(gender)이 있다. * [[격]]은 무려 7개에 분위기 타면 더 늘어난다.[* [[러시아어]]조차 기본 6격에 늘어봤자 7격이다. 이를 뛰어넘는 언어로는 15격의 [[핀란드어]], 14격의 [[에스토니아어]], 명사격만 18개인 [[헝가리어]] 정도가 있다.] * 수 : 동사에 단수/복수가 있다. * 성 : 남성/여성/중성도 있다. * [[T-V구분]] 슬라브어의 특성상 이런 구분이 있으나, [[갑과 을]] 관계나 나이 등으로 결정되는 [[존댓말]]과는 거리가 멀다. 이는 유럽에서 이런 구분이 있는 언어 전반적으로 해당되는 사항이다. >"고맙습니다!" || || (윗사람) || (아랫사람) || || (안 친함) || Děkuji || Děkuji || || (친함) || Děkuju || Děkuju || >"고맙습니다!" || || (윗사람) || (아랫사람) || || (안 친함) || 고맙습니다 || 고맙다(고맙네) || || (친함) || 고마워요 || 고마워 || 즉 [[갑과 을]]이 아니라 심리적 거리에 따른 구분인 셈. 자녀가 부모님에게 말할 때도 Ahoj나 Děkuju 같은 쪽으로 쓴다. === 한국에서의 학습 === * [[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체코·슬로바키아어과'''는 [[1988년]] 만들어져 [[체코어]]와 [[슬로바키아어]]를 교육한다. 전공생은 매년 40여명 정도. [[http://czechandslovak.hufs.ac.kr/|학부 홈페이지]] 대학원은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동유럽어문학과에서 체코어학(언어학), 체코문학(문학) 석/박사과정을 개설하고 있으며 국제지역대학원(GSIAS) 유럽연합학과(European Union Studies) 석/박사과정에서 체코어 강의를 개설하고 있다. * 한국외대 [[대학무료강의]] 한국외대 측에서는 체코어 기초 강의를 일반인에게 개방하고 있다. [[KOCW]]에서 '초급 체코어 번역 연습(1), 초급 체코어 번역 연습(2)'(초급), '체코어 강독1'(중급) 강의를 제공한다. * [[사전(책)|사전]] 체코어->한국어 사전,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07년, 1080쪽, 45000원, ISBN-13 9788974644468 [[http://slovnik.seznam.cz/cz-en/?q=do%20toho&forceLang=1|Seznam사전(체코어)]] 체코어<->영어 사전 * 무료 인터넷 사이트 [[http://www.locallingo.com|Local-Lingo(영어)]] 체코어 발음, 문법, 듣기 등의 여러 자료를 무료 제공하고 있다. [[http://www.catvusa.com/index.php?page=czech_class|체코영어방송(영어)]] - 체코어 무료 동영상 강의(영어)를 제공한다. 그 외에도 많은 영어 방송을 볼 수 있다. 그 외에 유투브에서 Czech lecture/lesson/learn 등으로 검색하면 영어 강의를 볼 수 있다. [[듀오링고]]에서도 영어를 통해 학습할 수 있다. [[ECK교육]]에서 체코어 강좌가 존재하며 책도 발간했다. [[네이버 사전]], [[다음 사전]]에서도 체코어가 수록되어 있고 체코어는 한국에서 [[특수외국어]]로 지정되어 있다. == 공인 시험 == [[유럽언어기준]]에 따른 체코어 시험은 다음이 있으나, 그 중 어느 것도 '''한국에서는 칠 방법이 없다.''' * CCE(체코어 공인 인증 시험) 만 16세 이상의 체코 국적이 아닌 외국인은 누구나 응시할 수 있다. 체코에서는 연중 자주 시행하며 체코 외에서는 [[독일]]의 [[베를린]], [[뮌헨]], [[영국]]의 [[런던]], [[프랑스]]의 [[파리(프랑스)|파리]], [[러시아]]의 [[모스크바]], [[불가리아]]의 [[소피아(도시)|소피아]], [[이탈리아]]의 [[나폴리]], [[폴란드]]의 [[바르샤바]], [[우크라이나]]의 [[키이우]] 등의 체코문화원에서 시행한다.[[일본]]에서는 도쿄의 체코센터에서 주최하여 [[도쿄외국어대학]]에서 매년 시행하였으나, 2021년 12월 이후 코로나 확산 방지를 위해 잠정 중단되었다. 10여 개 체코 소재 대학의 체코어 과정 입학 자격으로 사용되며 주로 유럽언어기준 B2 수준을 요구한다. 시행처 : [[http://ujop.cuni.cz/cce/index_en.php|프라하찰스대학교언어입시교육원(영어)]] * 체코 국가 언어 시험의 외국인을 위한 체코어 과목 시행처 : [[http://www.sjs.cz/zkousky-a-certifikaty.html|프라하시립언어교육원(체코어)]] 등 국가 언어 능력 인증 (OZJ, Osvědčení o znalosti jazyka)에 A1, A2, B1 단계, 국가 언어 시험 (SJZ, Státní jazykové zkoušky)에 외국인을 위한 체코어 시험 B2, C1 단계가 있다. * 체코 국가 언어 시험(SJZ)의 체코어<->외국어 [[통역]] 및 [[번역가]] 과목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러시아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등의 언어와 체코어 간의 통번역 시험이다. [[유럽언어기준]] B2, C1, C2([[통역]]), C2([[번역가]])의 4개 과정이 있다. C2 단계는 C1 단계를 합격해야만 응시할 수 있다. [[http://cs.wikipedia.org/wiki/St%C3%A1tn%C3%AD_jazykov%C3%A9_zkou%C5%A1ky|위키피디아(체코어)]] 시행처: [[http://www.sjs.cz/zkousky-a-certifikaty.html|프라하시립언어교육원(체코어)]] 시행처: [[http://www.jazykova-skola-pelikan.cz/|펠리칸언어교육원(체코어)]] * 체코어 특별시험 공인 시험은 아니다. 플렉스 시험으로 공인되는 언어는 극히 일부로 제한된다. 자세한 것은 [[FLEX(어학시험)|FLEX]] 항목 참조. 이유 없이는 잘 시행하지도 않고, 시행한다 하더라도 일반인은 사유 없이 응시할 수 없다. || 단계 || CCE || OZJ/SJZ || SJZ(영어) || || A1 || O || OZJ || X || || A2 || O || OZJ || X || || B1 || O || OZJ || X || || B2 || O || SJZ || O || || C1 || O || SJZ || O || || C2 || X || X || 통역/번역 || == 한국어에서 자주 쓰이는 단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한국어의 외래어/기타)] == 간단한 회화 == ||안녕하세요! (친한 사이에서 만날 때 혹은 헤어질 때 하는 인사) ||Ahoj! 아호이!|| ||안녕하세요! (아침 인사) ||Dobré ráno. 도브레 라노.|| ||안녕하세요! (낮 인사) ||Dobrý den. 도브리 덴.|| ||안녕하세요! (저녁 인사) ||Dobrý večer. 도브리 베췌르.|| ||안녕히 주무세요. (밤 인사) ||Dobrou noc. 도브로우 노쯔.|| ||예. ||Ano. 아노.|| ||아니오. ||Ne. 네.|| ||이름이 무엇입니까? ||Jak se jmenujete? 약 쎄 이메누예떼?|| ||이름이 뭐니? ||Jak se jmenuješ? 약 쎄 이메누예슈?|| ||내 이름은 ○○입니다. ||Jmenuju se ○○. 이메누유 쎄 ○○.|| ||만나서 반갑습니다. ||Teší mě. 떼쉬 믄녜.|| ||환영합니다. ||Vitáme vás. 비따메 바쓰.|| ||환영한다. ||Vitáme tě. 비따메 떼.|| ||만나서 반가웠어요. ||Těšilo mě. 떼쉴로 믄녜.|| ||유감스럽게도, 저는 이제 가야 해요. ||Bohužel už musím jít. 보우쉘 우슈 무씸 잇.|| ||또 만나자. (친한 사이의 헤어질 때) ||Na shle. 나 스흐레.|| ||다음에 뵙겠습니다. (헤어질 때) ||Na shledanou. 나 스흐레다노우.|| ||안녕히 계세요/안녕히 가세요. ||Na shledanou. 나 스흘레다노우.|| ||안녕히 계세요/안녕히 가세요. (아주 오랜기간 동안 헤어질 때) ||Sbohem. 즈보헴.|| ||감사합니다. (안 친함) ||Děkuji. 뎨꾸이.|| ||고마워. (친함) ||Děkuju. 뎨꾸유.|| ||천만에요. ||Prosím. 쁘로씸.[* Prosím(쁘로씸)에는 매우 다양한 뜻이 있다. 감사인사에 대해 "천만에요."나 "별말씀을요."라는 표현도 있지만, 상대방의 말을 이해하지 못했거나 다시 한 번 말해주기를 원하는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으며, 상대방이 요청한 물건을 건네주며 "여기 있습니다."라는 표현으로, 상점에 들어가서 점원 등을 부를 때도 사용하거나, 영어의 please에 해당하는 표현으로도 사용하며, 전화받을 때도 사용할 수 있다.]|| ||조심하세요!/주의하세요! ||Pozor. 뽀조르.|| ||실례합니다. ||Pardon. 빠르돈.|| ||죄송합니다. (안 친함) ||Prominte. 쁘로민떼.|| ||죄송합니다. (친함) ||Promin. 쁘로민.|| ||괜찮습니다. ||Nic se nestalo. 뉘쯔 쎄 네스딸로. / To je v pohodě 또예 브 뽀호뎨.|| ||이것은 무엇입니까? ||Co je to? 쪼 예 또?|| ||그(그녀)는 누구입니까? ||Kdo je to? 그도 예 또?|| ||그는 노박씨입니다. ||To je pan Novák. 또 예 빤 노박.|| ||그녀는 노박(꼬바) 부인입니다. ||To je paní Nováková. 또 예 빠뉘 노박꼬바.|| ||어느 나라에서 왔습니까? ||Odkud jste? 오뜨꾸뜨 쓰떼?|| ||어느 나라에서 왔니? ||Odkud jsi? 오뜨꾸뜨 씨?|| ||나는 한국 사람입니다. ||Jsem Korejec (Korejka). 쎔 꼬레예쯔 (꼬레이까).[* Korejka(꼬레이까)는 한국 여성을 의미한다.]|| ||한국어를 할 줄 아십니까? ||Mluvíte korejsky? 믈루비떼 꼬레이쓰끼?|| ||영어를 할 줄 아십니까? ||Mluvíte anglicky? 믈루비떼 앙글리쯔끼?|| ||나는 체코어를 할 줄 모릅니다. ||Neumím česky. 네우밈 췌스끼.|| ||나는 체코어를 조금 합니다. ||Mluvím trochu česky. 믈루빔 뜨로후 췌스끼.|| ||나는 모릅니다. ||Nevím. 네빔.|| ||나는 이해하지 못합니다. ||Nerozumím. 네로주밈.|| ||천천히 말씀해 주십시오. ||Mluvte pomalu, prosím. 믈루프떼 뽀말루 쁘로씸.|| ||어디에 살아요? ||Kde bydlíte? 그데 비들리떼?|| ||서울에 살아요. ||Bydlím v Soulu. 비들림 프 쏘울루.|| ||프라하에 살아요. ||Bydlím v Praze. 비들림 프 쁘라제.|| ||화장실이 어디입니까? ||Kde je prosím záchod? 그데 예 쁘로심 자호드?|| ||이것은(그것은) 얼마입니까? ||Kolik to stojí? 꼴릭 또 스또이?|| ||700유로입니다. ||Stojí to 700 euro. 스또이 또 쎄듬 쎗 에우로.|| ||빵은 얼마입니까? ||Kolik stojí chleba? 꼴릭 스또이 흘레바?|| ||당신은 아름다운 여성입니다. ||Jste krásná žena. 스떼 끄라쓰나 줴나.|| ||당신과 만나고 싶습니다. ||Rád bych se s vámi setkal. 라드 비흐 쎄 스 바미 쎄뜨깔.|| ||너는 예쁘고 날씬하다. ||Jsi hezká štíhlá. 씨 헤스까 아 슈뛰흘라.|| ||축하합니다. ||Gratuluju. 그라뚤루유.|| ||생일 축하합니다. ||Všechno nejlepší k narozeninám. 프쉐흐노 네이렙쉬 끄 나로제뉘남.|| ||행운을 빌어요. ||Hodně štěstí. 호드네 슈떼스뛰.|| ||힘내세요! (상대방의 용기를 북돋워 주거나 성공을 기원할 때) ||Držím Vám palce. 드르짐 밤 빨쩨.|| ||건배! ||Na zdraví! 나 즈드라비!|| ||원샷! ||Do dna! 도 드나!|| 남성의 성, 이름, 직위 앞에는 pan을, 기혼 여성은 paní, 미혼 여성은 slečna를 붙인다. == 들어보기 == [youtube(jrKgbuk03rg)] 체코의 공영방송 ČT1의 프로그램 소개 [youtube(TYvQ98_9R8c)] [[체코]]의 민속음악 [[폴카]]의 변형 중 하나인 . 보시다시피 이 버전은 미국 남부 음악과 퓨전이 되어있는데 부르는 언어는 여전히 체코어다. [youtube(0G7QzyQI1yE)] [[겨울왕국]]의 <[[Love Is an Open Door]]> 체코어 더빙판 . [youtube(UqXJ0ktrmh0)] 체코의 민요 Bzum-bzum breke-keke [youtube(t3nNoVJXQrQ)] Petr Skoumal의 . 작곡 및 보컬은 '''[[패트와 매트]]의 초창기 작곡가'''로도 알려진 Petr Skoumal이다. [youtube(qCmRga2fIy0)] Ivan Mládek의 <[[Jožin z bažin]]>. 유럽에선 [[밈]]으로 유명한 곡이다. [youtube(XT3Q3upuQdc)] 1990년대 체코 영화 중 걸작으로 꼽히는 Pelíšky (Cosy Dens) [[분류:체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