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0003529550_001_20190329082401230.jpg|width=300]] || ||<:> '''이름''' ||<(>'''최경회(崔慶會)''' || ||<:> '''출생''' ||<(>[[1532년]] [[조선]] [[전라남도|전라도]] [[화순군|능주]][* 現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삼천리[[http://hwasun.grandculture.net/Contents?local=hwasun&dataType=01&contents_id=GC05600018|#]]] || ||<:> '''사망''' ||<(>[[1593년]] [[6월]] [[조선]] [[경상남도|경상도]] [[진주시|진주목]] [[진주성]] || ||<:> '''본관''' ||<(>[[해주 최씨]] || ||<:> '''호''' ||<(>삼계(三溪), 일휴당(日休堂) || ||<:> '''자''' ||<(>선우(善遇) || ||<:> '''시호''' ||<(>충의(忠毅) || [목차] == 개요 ==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임진왜란]] 당시의 [[의병장]]. == 생애 == 1532년 [[전라도]] [[화순군|능주]]에서 최천부의 아들로 태어났다. 1567년 식년문과에 급제하여 영해군수가 되었다. 1590년에 모친상을 당해 벼슬을 내어놓고 낙향하였다. 3년상을 치르던 중에 [[임진왜란]]이 발발하였는데, 형제인 최경운, 최경장과 함께 의병을 일으켰다. 최경회는 전주와 남원으로 진격하는 왜군을 금산과 무주에서 격퇴하였고, 진주를 치려는 왜군의 일부를 차단하면서 [[진주 대첩]] 승리에 일조하였다. 이 공적으로 최경회는 경상우병사에 임명되었다. 1593년 최경회는 [[제2차 진주성 전투]]가 발발하자 300명의 병사들을 이끌고 진주성에 들어가 진주성 내에서 항쟁했으나, 진주성이 함락되자 남강에 투신해 자결하였다. == 기타 == * "[[논개]]는 기생이 아니라 경상우병사 최경회의 양첩이었다"라는 주장이 있지만 논개 자체의 실존이 불분명하기에 신빙성이 높지는 않다. 최경회와 논개를 엮는 것은 1987년 최경회의 집안인 [[해주 최씨]] 가문에서 발간한 <의일휴당실기(日休堂實記)>에서 최경회의 부인이 왜장을 유인해서 자살했다는 식으로 묘사한 것이 처음인데 여기서는 기생 출신은커녕 천첩이라는 묘사마저 없다. == 대중매체에서 == * 2016년 [[채널A]] 드라마 <[[천 개의 비밀 어메이징 스토리]]>에서는 '최경회의 첩으로써 진주성 전투에서 전사한 최경회의 복수를 위해 기생이 되었다'는 설을 채택하였다. * [[김성한(작가)|김성한]]은 소설 <[[임진왜란(김성한)|임진왜란]]>에서 '본래 [[장수군]]의 관기였다가 장수를 방문한 최경회를 모시게 되었고 이후 최경회가 천첩으로 거둬들였다'라고 표현하였다. 물론 [[에필로그]]에서는 '논개는 기생이 분명하다'라고 단언하며 '기생이라는게 창피하다는 이유로 사실을 왜곡하지 말고 있는 그대로 표현하는게 아름다운 일이 될 것이다'라고 주장하였다. * [[김별아]]의 소설 <논개>에서는 매사 공평하고 강직하며 자상한 사람으로 묘사된다. 어려서 아버지를 잃은 논개의 은인이기도 했고 나중에는 논개와 혼인해 남편이 된다. 논개가 관기가 아닌 몰락 양반의 딸이라고 설정했기 때문. 작중 내내 논개가 일평생을 바쳐 사랑한 사람으로 그려진다. [각주] [[분류:임진왜란/군인]][[분류:조선 의병장]][[분류:해주 최씨]][[분류:1532년 출생]][[분류:1593년 사망]][[분류:화순군 출신 인물]][[분류:조선의 자살한 인물]][[분류:임진왜란/사망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