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이인, rd1=최민호(동명이인))] [include(틀:역대 세종특별자치시장)] ---- || {{{#ffffff '''최민호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세종특별자치시장 후보)] ---- [include(틀: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국민의힘 후보)] ---- [include(틀:국무총리비서실장)] ---- [include(틀:2012년 상반기 재보궐선거 세종특별자치시장 후보)] ---- [include(틀: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 ---- [include(틀:소청심사위원회 위원장)] ---- [include(틀:역대 충청남도 행정부지사)]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0c6 0%, #00a0c6 20%, #00a0c6 80%, #00a0c6)" '''{{{#ffffff [[세종특별자치시장|{{{#ffffff 제4대 세종특별자치시장}}}]][br]{{{+1 최민호}}}[br]崔旼鎬 | Choi Min-ho}}}'''}}}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00141365.jpg|width=100%]]}}} || ||<|2> '''출생''' ||[[1956년]] [[10월 24일]] ([age(1956-10-24)]세) || ||[[충청남도]] [[대전시]][br](現 [[대전광역시]])[* 외갓집은 전라북도 부안군인데 과거 이곳이 고향으로 알려지기도 했다.[[http://www.dtnews24.com/news/articleViewAmp.html?idxno=288726|#]]] || || '''거주지'''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연동면#s-3.5|노송리]] || || '''현직''' ||[[세종특별자치시장]] || ||<|10> '''재임기간''' ||제6대 [[충청남도 행정부지사]] {{{-2 ([[이완구|이완구 도정]])}}} || ||[[2006년]] [[7월 5일]] ~ [[2008년]] [[3월 11일]] || ||제25대 소청심사위원회 위원장 || ||[[2009년]] [[1월 20일]] ~ [[2011년]] [[5월 16일]] || ||제5대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 {{{-2 (차관급)}}} || ||[[2011년]] [[5월 17일]] ~ [[2011년]] [[11월 10일]] || ||제3대 [[국무총리비서실장]] {{{-2 (차관급)}}} || ||[[2015년]] [[3월 1일]] ~ [[2015년]] [[4월 30일]] || ||제4대 [[세종특별자치시장]] || ||[[2022년]] [[7월 1일]] ~ [[현직]] || || '''서명'''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파일:최민호 서명.png|width=135]]}}}|| || '''링크''' ||[[https://www.facebook.com/woobokaltz|[[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s://instagram.com/sejong__minho|[[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https://m.youtube.com/channel/UC0ltPIuqAUqe4QgeJHTVrO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https://blog.naver.com/woobo1024|[[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0]]]]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본관''' ||[[탐진 최씨]][* [[표해록]]을 쓴 문인 최부가 그의 조상이라고 밝혔다. [[http://www.sjpost.co.kr/news/articleView.html?idxno=7089|#]]] || || '''가족''' ||부인 전광희, 슬하 1남[[https://naver.me/56araL6L|#]][* MIT 조교수로 근무하고 있다.] 1녀 || || '''학력''' ||대전대신국민학교 {{{-2 ([[졸업]] / 2회)}}}[br][[한밭중학교]] {{{-2 (졸업 / 21회)}}}[br][[보성고등학교(서울)|서울보성고등학교]] {{{-2 (졸업 / 65회)}}}[br][[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학부/법과대학|법정대학]] {{{-2 ([[법학]] / [[학사]])}}}[br][[연세대학교]] [[연세대학교/대학원#s-4.1.9|행정대학원]] {{{-2 ([[행정학]][* 일반행정전공] / [[석사]][* 석사 학위 논문 : [[http://www.riss.kr/link?id=T1812310|北韓社會의 靑少年 政治社會政策에 關한 硏究]]])}}}[br][[도쿄대학]] [[법학부]] {{{-2 ([[법학]], [[정치학]] / [[석사]])}}}[br][[단국대학교]] [[단국대학교/대학원#일반대학원|대학원]] {{{-2 ([[행정학]] / [[박사]][* 박사 학위 논문 : [[http://www.riss.kr/link?id=T9299606|地域이벤트 政策의 執行에 관한 硏究 : 안면도 국제 꽃박람회 사례를 중심으로]]])}}} || || '''병역''' ||[[해병대]] [[중위]] 만기전역 {{{-2 (정훈장교)}}} || || '''MBTI''' ||[[ENFJ]] || || '''소속 정당''' ||[include(틀:국민의힘)] || || '''경력''' ||제24회 [[행정고시]] 합격[br][[충청남도]] 기획관리실장[br][[충청남도]] 정책관리관[br]2002안면도국제꽃박람회 운영본부장[br][[충청남도]] 지역경제국장[br][[행정안전부|행정자치부]] 지방분권추진기획단장[br][[행정자치부]] 공보관[br]제6대 [[충청남도 행정부지사]] {{{-2 ([[이완구|이완구 도정]])}}}[br][[행정안전부]] 인사실장[br]행정안전부 소청심사위원회 위원장 {{{-2 ([[이명박 정부]])}}}[br]제5대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 {{{-2 (이명박 정부)}}}[br]미국 [[조지타운 대학교]] 객원연구원[br][[2012년 상반기 재보궐선거]] [[새누리당]] [[세종특별자치시장]] 후보[br][[공주대]], [[고려대]] 객원교수[br][[국무총리비서실장]] {{{-2 ([[이완구|이완구 총리]])}}}[br][[대한민국 국회의장|국회의장]]직속 국회의원 특권내려놓기 추진위원회 위원[br][[배재대학교]] 석좌교수[br][[홍익대학교]] 초빙교수[br][[국민의힘]] [[세종특별자치시 갑|세종시 갑]] [[당협위원장]][br][[침례신학대학교]]특임교수[br][[국민의힘]] 세종시당 위원장[br][[국민의힘]] 정책위원회 부의장[br]제4대 [[세종특별자치시장]] {{{-2 (민선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8]]기 / [[국민의힘]])}}}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공무원]] 출신 [[정치인]]으로, 현직 [[세종특별자치시장]]이다. == 경력 == * 1969.2. 대전대신국민학교 졸업 {{{-1 (2회)}}} * 1972.2. [[한밭중학교]] 졸업 {{{-1 (21회)}}} * 1976.2. [[보성고등학교(서울)|보성고등학교]] 졸업 {{{-1 (66회)}}} * 1980.2. [[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학부/법과대학|법정대학]] [[법학과]][* [[2018년]] 학부과정 폐지. 폐지 이전까지는 법과대학 법학과였다.] 졸업, [[법학]] [[학사]] {{{-1 (76학번)}}} * 1980.12. 제24회 [[행정고시]] 합격 * 1985. [[대한민국 해병대|해병대]] [[해병대 제1사단|제1사단]] [[중위]] 전역 {{{-1 ([[해군사관후보생]] 73기 / [[정훈장교]])}}} * 1985. [[내무부]] [[사무관]] * 1986.2. [[연세대학교]] [[연세대학교/대학원#s-4.1.9|행정대학원]] 졸업, [[행정학]] [[석사]] * 1987. [[감사원장]]상 수상 * 내무부 지방자치제실시기획단 사무관 * 내무부 지방기획관실 사무관 * 내무부 [[서기관]] * 1994. [[일본]] [[도쿄대학]] 대학원 법학·[[정치학]] 연구과 졸업, 법학 [[석사]] * 1994. [[대한민국 대통령|대통령]] 표창 수상 * 1995.1. [[충청남도청]] 기획관리실 기획담당관 * 1995.7. 충청남도청 지역경제국장 * 1997.6. 내무부 지방자치기획단 제도담당관 * 1998. [[행정자치부]] IMF대책TF 서기관 * 1998.7. 행정자치부 인사국 복지과장 * 1998.9. 충청남도청 기획관리실 정책관리관 * 2000. 2002 [[안면도]] 국제꽃박람회 조직위원회 사무처 사무차장 겸 운영본부장, [[부이사관]] * 2002. [[대한민국 해군참모총장|해군참모총장]] 표창 수상 * 2002.8. 충청남도청 기획정보실장 * 2002. [[근정훈장|홍조근정훈장]] 수훈 * 2003.4. 제2의건국범국민추진위원회 파견 * 2003.6. 행정자치부 지방분권·국가균형발전연구단 단장 * 2004. [[단국대학교]] [[단국대학교/대학원#일반대학원|일반대학원]] 졸업, 행정학 [[박사]] * 2004.10. 행정자치부 공보관, [[이사관]] * 2006.7. ~ 2008.3. 제6대 [[충청남도 행정부지사]], [[관리관]] {{{-1 ([[이완구]] 도정)}}} * 2008.3. [[행정안전부]] 인사실장 * 2009.1. ~ 2011.5. 제25대 소청심사위원회 위원장 {{{-1 ([[이명박 정부]] / 차관급)}}} * 2011.5. ~ 2011.10. 제5대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 {{{-1 (이명박 정부)}}} * 2012.4. [[2012년 상반기 재보궐선거]] [[세종특별자치시장]] [[새누리당]] 후보 {{{-1 (낙선)}}} * 2012. 황조근정훈장 수훈 * 2013. [[공주대학교]] [[국립공주대학교/학부/인문사회과학대학|인문사회과학대학]] 행정학과 객원교수 * 2013. [[고려대학교]] [[고려대학교/학부/정경대학|정경대학]] 행정학과 객원교수 * 2015.2. ~ 5. 제3대 [[국무총리비서실장]] {{{-1 ([[박근혜 정부]] / 이완구 [[국무총리]])}}} * 2015. [[배재대학교]] [[배재대학교/학부/인문사회대학|인문사회대학]] 행정학과 객원교수 * 2015. [[홍익대학교]] 초빙교수 * 2016.7. [[대한민국 국회의장|국회의장]] 직속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 특권 내려놓기 추진위원회 위원 * 2020.3.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세종특별자치시 갑|세종 갑]] [[미래통합당]] [[김중로]] 예비후보 선거대책위원회 명예선거대책위원장 * 2020.12. [[국민의힘]] 정책위원회 부의장 * 2021.2. 국민의힘 세종 갑 [[당협위원장]] * 2021.7. 국민의힘 세종특별자치시당 위원장 * 2021. [[한국침례신학대학교]] 특임교수 * 2021.12. [[제20대 대통령 선거]]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 [[살리는 선거대책위원회]] 세종특별자치시 선거대책위원회 선거대책위원장단 총괄선거대책위원장 * 2022.7. ~ 제4대 세종특별자치시장 {{{-1 (초선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민선 8기]] / 국민의힘)}}} == 생애 == === 초년 생애 === [[1956년]] [[10월 24일]], [[충청남도]] [[대전시]][* 現 [[대전광역시]]]에서 태어났다. 형제 4명이 있으며, 16대 조부가 조선 성종 시기 [[표해록]]을 쓴 금남 최부(錦南 崔溥)이다. 유년기엔 [[대전광역시]]에서 거주했으며, 대신국민학교, [[한밭중학교]][* 형제들은 당시 명문이었던 [[대전중학교]]를 졸업했으나, 자신만 낙방했다고 한다.]를 졸업하고 가족과 함께 상경해 고등학교를 1년 늦게 들어갔으며, [[보성고등학교(서울)|보성고등학교]]를 66회로 졸업했다. 전기 대학에 붙지 못해 후기 대학인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과에 입학해 1980년 [[법학]] [[학사]]를 취득하고 그해에 있던 제24회 [[행정고시]]에 합격했다. 같은해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에 입학해 1986년에 [[행정학]] [[석사]]를 취득했다. [[일본]] [[도쿄대학]] 대학원 [[정치학]], 법학 석사,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행정학 [[박사]] 과정을 졸업하였다. 병역은 행시 합격 후 [[대한민국 해병대|해병대]] [[해병대 제1사단|제1사단]]에서 [[정훈장교]]로 복무했다. === 공직 생활 === 외대 졸업 후인 [[1980년]], 제24회 [[행정고시]]에 합격하여 주로 내무부(現 [[행정안전부]])에서 근무하였다. 군 복무를 마친 [[1985년]] [[사무관]]으로 입직해 지방자치제기획단, 지방기획국에서 근무했고, [[서기관]]으로 승진해 [[1995년]] [[충청남도청]]으로 전입, 당시 관선 [[군수]]급인 기획담당관과 지역경제국장을 역임했다. [[1997년]], 요직인 본부 지방자치기획단 제도과장으로 부임했으나, [[1998년]] [[국민의 정부]]가 들어서며 지방행정, 치안 등을 담당하는 [[내무부]]와 정부 인사, 서무 등을 담당하던 [[총무처]]가 통합되어 순식간에 자리를 잃었다. [[김대중]] 대통령은 내무부 지방기획국이 지방자치를 말살하는 부서라며 국 내 모든 공무원을 대기발령시켰고, 당시엔 6개월 이상 대기발령 상태면 면직되었기에 최 시장을 비롯한 공무원들은 불안에 떨었다고 한다. 아내에게 이 사실을 숨기기 위해 매일 [[구파발역]]에서 [[양재역]]까지 [[서울 지하철 3호선|3호선]]을 타고 왔다갔다하다가 집에 들어가기도 했다고 한다. 이 때 공무원에 대한 비판적인 시선을 반론하는 책인 『공무원, 우리는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라는 저서를 냈다. 다행히도 얼마 안 가서 IMF 대책 TF로 무보직 발령받아 복직했다고 한다. 얼마 지나지 않아 과장 직위를 얻어 다시 완전히 정착했고, 동년 9월 충청남도청 정책관리관으로 부임했다. 이후 [[2000년]]엔 [[부이사관]]으로 승진해 안면도국제꽃박람회 조직위원회 사무처 본부장, [[2002년]]엔 충청남도청 기획정보실장을 역임했고, [[2003년]]에 본부로 복귀해 [[행정자치부]] 지방분권추진기획단장과 공보관(대변인)[* 이 때 [[이사관]]으로 승진했다.]을 지내다가 [[2006년]], 민선 4기 [[이완구]] [[충청남도지사]] 하에서 [[충청남도 행정부지사]](1급)를 지내게 된다. 이로 인해 친이완구계로 구분되며, 이 때의 인연으로 국무총리비서실장까지 맡게 된다[* 임기를 보면 알 수 있듯이 2달 남짓한 기간이며 이완구가 경남기업 회장 자살 사건에 연루되면서 70일만에 사퇴하자 따라서 사퇴한다.]. [[이명박 정부]]가 들어서자 다시 행안부로 복귀하여 지방공무원의 인사를 총괄하고 정부 인사 정책을 총괄하는 인사실장[* [[인사혁신처]]의 전신이라고 볼 수 있다.], [[2009년]]엔 차관급으로 승진해 소청심사위원회 위원장직을 지내게 된다. [[2011년]]에는 충청권 인사인 점을 고려해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에 부임했다. 이 시절에 행복도시 내 지명을 순우리말로 짓는 아이디어를 내어 실현시켰다. 그리고 [[세종특별자치시]]의 출범으로 발생하는 [[세종특별자치시장]] 선거에 출마하기 위해 동년 10월 청장직을 사퇴하며 31년간의 공직 생활을 마감한다. === 정치 활동 === [[2012년 상반기 재보궐선거]] [[세종특별자치시장]] 선거에서 [[새누리당]]의 공천을 받아 나서지만 [[자유선진당]]의 공천을 받은 당시 연기군수 [[유한식]]과 [[민주통합당]]의 공천을 받은 [[이춘희]] 전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에게 밀려 3위로 낙선했다. 한편 세종시장 선거에서 낙선한 이후 [[2015년]] [[이완구]] 의원이 [[국무총리]]로 영전하면서 [[국무총리비서실장]]으로 임명됐으나 이완구 총리가 [[대한민국 제6공화국]] 출범 이후 최단 임기만 지낸채 낙마한 이후[* [[성완종 자살 사건]]에 연루되어 기소까지 되었으나 최종 무죄로 판결되었다.] 사퇴한다. 단 3개월간 비서실장직을 역임했다.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새누리당]] 후보로 [[세종특별자치시장]]에 도전했지만, [[유한식]] 초대 [[세종특별자치시장]][* 세종시 출범 직전 재선 연기군수를 역임한 인물]에 밀려 본선에 나서지 못 하는 고배를 마셨다. 이후 [[국립공주대학교]], [[고려대학교]] 등에서 교수직을 맡고 있는데 이완구 전 총리가 [[21대 총선]]을 통해 정계 복귀를 준비하면서 같이 출마할 것으로 보인다. 출마하게 된다면 지역구는 세종시 선거구에 출마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전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장이며 행정중심복합도시 설계자인 [[김병준]] 교수와 현직 국회의원 [[김중로]]에게 밀려 선거구가 분구되었음에도 당직자인 [[송아영]]과 같이 나가지 못했다.[* 최민호는 2012년 세종시장 낙선 이후 20대 총선부터 세종시 국회의원 출마를 시사했으나, 모두 실현되지 못했다. [[http://www.goodmorningcc.com/news/articleView.html?idxno=19406|2014년 인터뷰]] [[http://www.sjsori.com/news/articleView.html?idxno=41844|2020년 인터뷰]]] [[2021년]]부터는 [[국민의힘]] [[세종시 갑]] [[당협위원장]]에 임명되어 지역구 관리에 힘쓰는 중이다. 이러한 행보로 인해 차기 [[세종특별자치시장]]으로 나갈 것이라는 하마평이 돌고 있다. 같은 해 7월 국민의힘 세종시당 위원장에 임명되었다. [[제20대 대통령 선거]] 국면에서는 [[윤석열]] 후보 [[살리는 선거대책위원회]] 세종 선대위원장을 맡았다. 대선이 끝난 뒤 [[2022년]] [[3월 23일]],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세종시장 출마를 선언하였다. [[4월 21일]], [[성선제]] 후보와의 당내 경선에서 승리하여 국민의힘 공천장을 거머쥐었다. 2012년 낙선 이후 꼬박 10년만의 재도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여론조사/세종특별자치시|2022년 5월 여론조사]]에서 초접전이긴 하나 이춘희 시장을 앞서는 것으로 나왔다.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여론조사/세종특별자치시|가장 최근 진행된 2022년 5월 여론조사]]에서 오차범위 밖에서 이춘희 현 시장을 앞서는 것으로 나왔다.[* 5월 20~21일간 진행][[http://www.gg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914034|여조 링크]] === 세종특별자치시장 === 결국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8회 지선]]에서 더불어민주당의 텃밭이자 국민의힘의 험지인 세종에서 현직이던 [[더불어민주당]] [[이춘희]] 후보를 꺾고 세종시장으로 '''당선되었다.'''[* 농촌 지역에서는 당연하게 모든 읍면에서 크게 승리하였고, 심지어 12개동 중에서 반에 해당하는 6개동에서도 승리한 것이 승리의 요인이 되었다.] 이로써 2012년에 당선된 유한식 시장 이후 10년만에 보수정당이 세종시를 탈환하게 됐다.[* 다만 당시 유한식 시장은 [[자유선진당]] 소속으로 정통 보수정당 출신 세종시장은 최민호가 최초이다.] 그러나 시의회는 민주당이 과반을 차지해, 협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2022년 6월 22일 세종시장으로서의 첫 인사로 [[세종특별자치시 경제부시장]][* 정무부시장에서 개칭]에 기업가 출신의 [[이준배]] 한국엑셀러레이터협회 명예회장을 임명하였다. 최시장 취임 이후 [[이춘희|전임시장]]의 업적으로 평가되던 [[5급 공무원|읍면동장]] 주민추천제가 폐지 되었다. [[이춘희]] 시장이 분권을 강조했다면 최시장 시정 기조는 '''행정의 효율과 편의'''이다. 시청 내의 자치분권국도 최시장 취임후 자치행정국으로 변경되었다. 2022년 8월 세종 기조실장을 지낸 [[고기동(1971)|고기동]] 행안부 인사기획관을 [[류임철]] 행정부시장 후임 [[세종특별자치시 행정부시장]]으로 제청하였다. 2023년 5월, [[이준배]] 경제부시장이 퇴임하면서 같은 해 6월 30일 이 전 부시장 후임으로 [[기획재정부]] 국장 출신인 [[이승원(1967)|이승원]] 기재부 미래전략국장을 경제부시장으로 임용하였다. ==== 지지율 ==== ===== 리얼미터 ===== 지선이 끝난 후 처음 실시된 여론조사에선 17위 꼴찌를 기록, 지지율은 42.2%를 기록하였다.[[http://www.realmeter.net/%eb%a6%ac%ec%96%bc%eb%af%b8%ed%84%b0-2022%eb%85%84-7%ec%9b%94-%ea%b4%91%ec%97%ad%ec%9e%90%ec%b9%98%eb%8b%a8%ec%b2%b4-%ed%8f%89%ea%b0%80-%eb%af%bc%ec%84%a08%ea%b8%b0-%ea%b4%91%ec%97%ad%eb%8b%a8/|링크]] 8월 여론조사에선 순위가 한 단계 올랐고, 지지율은 1.6%p 올라 43.8%을 기록했다.[[http://www.realmeter.net/%eb%a6%ac%ec%96%bc%eb%af%b8%ed%84%b0-2022%eb%85%84-8%ec%9b%94-%ea%b4%91%ec%97%ad%ec%9e%90%ec%b9%98%eb%8b%a8%ec%b2%b4-%ed%8f%89%ea%b0%80-%ea%b4%91%ec%97%ad%eb%8b%a8%ec%b2%b4%ec%9e%a5-%ec%a7%80/|링크]] 2022년 9월 리얼미터 광역단체장 직무평가 여론조사에서 17위를 기록했고, 지지율은 0.1%p 올라 43.9%를 기록했다.[[http://www.realmeter.net/%eb%a6%ac%ec%96%bc%eb%af%b8%ed%84%b0-2022%eb%85%84-9%ec%9b%94-%ea%b4%91%ec%97%ad%ec%9e%90%ec%b9%98%eb%8b%a8%ec%b2%b4-%ed%8f%89%ea%b0%80-%ea%b4%91%ec%97%ad%eb%8b%a8%ec%b2%b4%ec%9e%a5-%ed%86%b13/|링크]] 10월 여론조사에선 순위는 여전히 17위, 지지율은 0.9%p 올라 44.8%을 기록하였다.[[http://www.realmeter.net/cvibho9wyh98oe2/|링크]] 11월 여론조사에선 탈꼴찌에 성공해 14위를 기록하였으나[* 최 시장이 몇주째 맡던 꼴찌 17위 자리는 [[오세훈]] [[서울특별시장]]이 자리하게 되었다.], 지지율은 0.1%p가 떨어져 44.7%을 기록하였다.[* 수도권의 [[오세훈]] 서울특별시장, [[유정복]] 인천광역시장, 같은 충청권 내의 [[이장우(정치인)|이장우]] 대전시장의 지지율이 대폭 깎여나간 것이 크다.][[http://www.realmeter.net/xcoihviophp9aw8/|링크]] 12월 여론조사에서 무려 '''8.6%''' 상승해서 50%대 진입에 한 번에 성공했다.[[http://www.realmeter.net/cxlhviuiusdhiufqw/|링크]] 0.1% 하락세를 겪은걸 제외하면 그동안 꾸준한 상승세를 기록해왔던 걸 미루어볼 때 최민호 시장의 시정업무는 양호하게 수행해왔다고 볼 수도 있겠지만, 22년에는 그동안 민선 3기에서 이어져온 정책들이 펼쳐질 수밖에 없기때문에, 앞으로 지켜봐야한다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 2023년 1월 여론조사에선 지지율이 0.2% 상승한 53.5%를 기록했다.[[http://www.realmeter.net/oighqwoigfdskf/|링크]] 2월 여론조사에선 순위는 14위로 지지율은 5.6%p 하락한 47.9%로 다시 50%대 밑으로 떨어졌다.[[http://www.realmeter.net/xyhisyf9y9/|링크]] 3월 여론조사에선 순위는 16위로 지지율은 3.2%p 하락한 44.7%를 기록했다.[[http://www.realmeter.net/khgighibkbklxbdflksd/|링크]] 4월 여론조사에선 순위는 14위로 지지율은 0.4%p 상승한 45.1%를 기록했다.[[http://www.realmeter.net/sdfkjhlih-lcxvbnm/|링크]] 이후 리얼미터에서는 지지율 순위권이 10위 밖이면 공개를 안해 지지율을 알 방법이 없어졌다.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ffffff 연도}}}''' || '''{{{#fff 선거 종류}}}''' || '''{{{#fff 선거구}}}''' || '''{{{#fff 소속 정당}}}''' || '''{{{#fff 득표수 (득표율)}}}''' || '''{{{#fff 당선 여부}}}''' || '''{{{#fff 비고}}}''' || || 2012 || [[2012년 상반기 재보궐선거#s-3.1|상반기 재보궐선거]] ||<|2> [[세종특별자치시장]]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9,716 (20.91%) || 낙선 (3위) || || || 2022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include(틀:국민의힘)] || '''78,415 (52.83%)''' || '''당선 (1위)''' || '''초선''' || ---- || {{{#fff '''역대 선거 벽보'''}}}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12 최민호.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최민호 세종시장.jpg|width=100%]]}}} || || [[2012년 상반기 재보궐선거|{{{#000000,#fff 2012년 상반기 재보궐}}}]] ([[세종특별자치시장|{{{#000000,#fff 세종특별자치시장}}}]])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000000,#fff 8회 지선}}}]] ([[세종특별자치시장|{{{#000000,#fff 세종특별자치시장}}}]]) ||}}}}}}}}} || == 소속 정당 == || '''소속''' || '''기간''' || '''비고''' || || [include(틀:무소속)] || 2011 - 2012 || 정계 입문 || || [include(틀:한나라당)] || 2012 || 입당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2012 - 2015 || 당명 변경[* 입당할 때 이미 당명이 새누리당으로 정해져 있었다.] || || [include(틀:무소속)] || 2015 || 탈당[* 공직 취임으로 인한 탈당.]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2015 - 2017 || 복당 || || [include(틀:자유한국당)] || 2017 - 2020 || 당명 변경 || || [include(틀:미래통합당)] || 2020 || 합당[* [[새로운보수당]], [[미래를향한전진4.0]]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국민의힘)] || 2020 - 현재 || 당명 변경 || == 둘러보기 == [include(틀:대한민국의 광역자치단체장(민선 8기))] ---- [include(틀:민선 8기 광역단체장/국민의힘)] [[분류:1956년 출생]][[분류:대전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보성고등학교(서울) 출신]][[분류:한국외국어대학교 출신]][[분류:연세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도쿄대학 출신]][[분류:단국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5급 공개경쟁채용시험 출신/24회]][[분류:탐진 최씨]][[분류:충청남도 부지사]][[분류:박근혜 정부/인사]][[분류:이명박 정부/인사]][[분류:참여정부/인사]][[분류:국민의 정부/인사]][[분류:문민정부/인사]][[분류:노태우 정부/인사]][[분류:전두환 정부/인사]][[분류:소청심사위원회 위원장]][[분류: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대한민국의 공무원]][[분류:공무원 출신 정치인]][[분류:국무총리비서실장]][[분류:세종특별자치시장]][[분류:해병대 출신]][[분류:장교 출신]][[분류:국립공주대학교 재직]][[분류:국민의힘 소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