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부산 BNK 썸/선수단)] || '''한국여자프로농구 챔피언 결정전 우승 반지''' || || '''{{{#fff 2021}}}'''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d62328 0%, #d62328)" {{{+1 {{{#fff ''' 부산 BNK 썸 No.2'''}}}}}}}}} || ||<-3> {{{#fff '''BUSAN BNK SUM'''}}}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nk최서연.jpg|width=100%]]}}} || ||<-3> '''{{{#fff {{{+2 최서연}}} [br] Kara Choi[* 미국 이름. [[유튜브]]에 검색하면 고등학교 시절 영상이 나온다.]}}}''' || ||<-2> ''' 출생 ''' ||[[2002년]] [[6월 3일]] ([age(2002-06-03)]세) || ||<-2> ''' 국적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2> ''' 신체 ''' ||[[키(신체)|키]] 170cm || ||<-2> ''' 포지션 ''' ||[[가드(농구)|가드]] || ||<-2> ''' 학력 ''' ||밸뷰 고등학교 {{{-2 (졸업)}}} || ||<-2> ''' 프로 입단 ''' ||[[2019-2020 WKBL 신입선수 선발회|2020년 드래프트]] {{{-2 (1라운드 6순위,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용인 삼성생명]])}}} || ||<-2> ''' 소속 '''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2020~2023)[br][[부산 BNK 썸]] (2023~) || ||<-2> ''' 응원가 ''' ||[[Weeekly]] - After School || ||<-2> ''' MBTI ''' ||[[ENFP]]|| ||<-2> ''' 링크 ''' ||[[https://www.instagram.com/kara.choi/|[[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한국계 여자 [[농구 선수]]. == 선수 경력 == 3살 때부터 [[농구]]를 접했으며,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449&aid=0000195855|어린 시절 볼핸들링 영상]] 워싱턴 주의 벨뷰 고등학교 시절 2년간 개인성적은 총 47게임 평균 25.6분 출장 10.4득점 2.5리바운드 2.1어시스트 1.7스틸 1.0블락 야투 39%를 기록했다. 이 시절 20개 학교가 넘게 모인 지역 대회에서 MVP에 선정된 적이 있다.[* 미국 고등학교 농구 리그도 NCAA와 비슷하게 레벨에 따라 디비전 1, 2, 3로 나뉘어져 있으며, 최서연의 모교인 밸뷰고등학교는 디비전 2에 속해 있었다.] 그리고 성인이 된 뒤 한국으로 와 2020년 신인드래프트 1라운드 6순위로 삼성생명 블루밍스에 입단했다. 2020년 트리플잼 1차대회 때 첫 공식경기를 가졌으며,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2020-21 시즌|2020-21 시즌]] 정규리그에서는 [[10월 23일]] [[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신한은행]]과의 [[인천도원체육관|원정경기]]에서 [[https://www.chosun.com/sports/sports_photo/2020/10/24/TEKCSEAIFE7VDBK2JRRDJA3W5A/|데뷔전을 치렀다.]] 이후 2군으로 내려가 [[한국여자프로농구 퓨처스리그]]에서 4경기를 뛰었으며 평균 19분 출전에 평득 8.5점을 기록하였다. 리그는 2경기 평균 1분 출전에 그치며 시즌을 마쳤다. 2021년 박신자컵에서의 [[임근배]] 감독의 발언에 따르면 드리블 및 패스 감각이나 기술은 좋지만 아직 한국농구에 적응하지 못했고 피지컬적으로도 부족하기 때문에 충분한 시간을 들여서 성장을 유도할 것임을 밝혔다. 또한 [[2020년]]에 비해 [[한국어]]가 많이 늘었으며 팀에 잘 녹아들고 있음을 이야기하였다. 박신자컵에서는 모든 경기에 출전했으며 움직임, 패스가 이전보다 나아진 모습을 보여줬으나 여전히 피지컬적으로 약해보이는 것이 있고 또한 화려한 드리블 실력을 실제 경기에서 녹여내지 못하고 있다.[* 프리시즌에 스킬팩토리에서 스킬 트레이닝을 받기도 했다.] 슛 역시 개선해야 할 부분이다. 자신있는 플로터를 쏘는 것도 좋지만 미들을 던질 수 있는데 굳이 플로터를 날리는 것은 개선되어야 할 점이다. 2021 박신자컵 기록 - 5게임 평균 출전시간 (15분), 평균 득점 (2.8점), 야투율 (35%), 평균 어시스트 (2.7개) '''[[2021년]] [[12월 24일]], 트리플 잼 2차대회에 [[이해란]], [[임규리]], [[박경림(농구선수)|박경림]]과 함께 참가하여 삼성생명의 우승을 이끌었다. 이 대회에서 본선 19득점으로 대회 MVP를 수상하였다!!! 신들린 듯한 2점슛 감을 보여주었다.'''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2022-23 시즌|2022-23 시즌]]이 끝난 뒤 BNK로 [[https://sports.news.naver.com/news?oid=398&aid=0000068520|무상 트레이드되었다.]] 이적 후 BNK 소속으로 참여한 '''2023 신한은행 SOL 3X3 트리플잼''' 대회에서 좋은 활약을 보여주면서 팀이 공동 3위에 오르는데 보탬이 되었다. 11월 12일 하나원큐전에서 처음 출전, 4쿼터 종료를 2분 24초 남겨놓고 교체 투입되어 2점 슛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 플레이 스타일 == == 여담 == * 아버지 친구의 친구가 전직 프로 농구 선수 [[이동준(1980)|이동준]]이다. 트라이아웃을 하는 날 처음 봤는데 이것 저것 알려주면서 마음을 편하게 해주었다고 한다. 또한 [[아버지]]도 고등학교 때까지 선수 생활을 한 선수 출신이라서 그 경험을 살려 최서연에게 많은 도움을 줬다고 한다. * [[성년의 날]]을 기념해 2021년 5월 17일 서울 [[남산골한옥마을]]에서 열린 전통 성년례 행사에 여자 대표로 참여해 [[https://www.nocutnews.co.kr/news/5554217|가례의식을 치렀다.]] * [[정범균]]과 [[송준근]]이 운영하는 '슬램덕후' 유튜브 채널에 출연하여 정범균, 송준근과 1대1 대결을 펼쳤고 이 대결에서 화려한 드리블과 플로터를 보여주면서 농구 팬들에게 확실히 국내 선수와는 다른 리듬의 [[https://youtu.be/X-jWdHiaGus|미국식 농구라는 평가를 받았다.]] * 부모님이 둘 다 한국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 미국으로 이민 간 교포 3세다. 최서연 본인은 [[미국]]에서 태어나 고등학교 때까지 [[미국]]에서만 자랐다. 한국계지만 [[한국어]]를 전혀 못한다.[* 다행스럽게도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삼성생명]] 입단 이후 한국어가 조금씩 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비슷한 선수로 [[김애나]]가 있다. * 2023년에 들어선 한국어가 많이 늘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단 불리할 때 한정으로 [[한국어]] 실력은 다시 퇴화한다~~ * 장난기가 많은 것으로 보인다. 가장 많이 치는 장난은 카메라가 오면 혼나는 척을 해 상대방을 곤란하게 만드는 것인데 주로 희생자가 되는게 [[이명관]], [[박혜미(농구선수)|박혜미]], [[이해란]]. == 관련 문서 == * [[농구 관련 인물(한국)]] *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선수단]] * [[부산 BNK 썸]] [각주] [[분류:미국의 여자 농구 선수]][[분류:2002년 출생]][[분류:2020년 데뷔]][[분류:슈팅 가드]][[분류: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은퇴, 이적]][[분류:부산 BNK 썸/현역]][[분류:한국계 미국인]][[분류:농구 선수 자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