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최재형)]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80%, #000080%, #000080%, #000080)" '''{{{+1 최영섭}}}[br]崔英燮 | Choi Young-seob'''}}}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최영섭.jpg|width=100%]]}}} || ||<|2> '''출생''' ||[[1928년]] [[4월 2일]] || ||[[강원도]] [[평강군]] 고삽면 서하리 상옹동 94번지[br](現 [[강원도(북한)|강원도]] [[세포군]] 서하리 상옹마을) || ||<|2> '''사망''' ||[[2021년]] [[7월 8일]] (향년 93세)[* 오전 1시 20분 경 노환으로 별세하였다.] || ||[[서울특별시]] || ||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제712묘역|| || '''호''' ||순호(舜湖) || || '''본관''' ||[[해주 최씨]][* 서운부정공파 35세 섭(燮) 항렬.]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부모''' ||아버지 [[최병규]], 어머니 전근성 || || '''형제자매''' ||[[남동생]] 최웅섭[* [[대한민국 해병대]] [[대령]] 전역.], 최호섭[* [[대한민국 해군]] [[부사관]] 전역. 현재는 한국해군협회 미국 서부회장 직을 맡고 있다.][* 최영섭 대령은 3남 중 장남으로 출생했다. 부친인 독립운동가 [[최병규]]가 아들들의 이름을 지을때 [[영웅호걸]] 글자 중 하나에 '섭'을 붙여 지었다.] || || '''배우자''' ||정옥경 || || '''자녀''' ||[[아들]] 최재신[* 崔在臣. 전 고려개발 사장], [[최재형]], 최재민[* 崔在民. 소아청소년과 의사 ] , 최재완[* 崔在完. 광주대학교 토목공학과 교수] || || '''학력''' ||동경시립제2중학교 {{{-2 ([[졸업]])}}}[* 어린 시절 [[일본]] [[도쿄]]로 유학을 다녀왔다.] || || '''종교''' ||[[개신교]] {{{-2 ([[예장통합]])}}}[*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소속의 신촌교회 안수집사이다. 독실한 [[개신교]] 신자로 알려진 아들 [[최재형]]도 어린 시절부터 부친 최영섭과 모친 정옥경을 따라 교회를 다녔다.] || || '''약력''' ||한국냉장주식회사 영업이사[br]한국해양소년단 고문 || ||<-2> '''군사 경력''' || || '''임관''' ||[[해군사관학교]] {{{-2 (3기)}}} || ||<|2> '''복무''' ||[[대한민국 해군]] || ||1948년 ~ 1970년 || || '''최종 계급''' ||[[대령]] {{{-2 (대한민국 해군)}}} || || '''주요 보직''' ||[[유엔군사령부|UN]] 해군 동해기동전대연락장교[br][[백두산함]] 갑판사관 겸 항해사·포술사[br][[국가재건최고회의]] 총무비서관 [br] [[충무함]] 제2대 함장[br][[베트남 전쟁]] 병참지원 전대장[br]51전대 사령관 || || '''상훈''' ||충무무공훈장 {{{-2 (3회)}}}[br]화랑무공훈장 {{{-2 (2회)}}}[br]근무공로훈장 {{{-2 (1회)}}} || || '''참전''' ||[[6.25 전쟁]][* [[대한해협 해전]], 인천 철수작전, 여수 철수작전, 진동리 정찰작전, 덕적도·영흥도 탈환작전, 군산 양동작전, [[인천상륙작전]], 대청도·소청도 탈환작전, 원산·함흥·성진 동해진격작전, 제2차 인천상륙작전 등의 수 많은 전투에 참가하였다.] ||}}}}}}}}}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최재형과 그의 부친 최영섭.jpg|width=100%]]}}} || || '''최영섭 예비역 해군 대령과 그의 아들 [[최재형|{{{#fff 최재형}}}]]'''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해군 예비역 대령. [[6.25 전쟁]] 참전용사. == 생애 == 1928년 4월 2일 강원도 평강군 고삽면 서하리 상옹동(현 세포군 서하리 상옹마을)에서 아버지 [[최병규]]와 어머니 [[정선 전씨]] 전근성(全根成)[* 전의창(全義昌)의 딸이다.] 사이의 5남 3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1948년에 해군사관학교 3기[* 해사 동기로 [[범LG가]]의 일원인 [[구자학]] 아워홈 회장이 있다.]로 입교하여, 1950년 소위로 임관하게 되었다. 6·25 전쟁 발발 직후 백두산함 갑판사관 겸 항해사·포술사로 [[대한해협 해전]]에 참전하였으며, 무장병력 600명을 태우고 동해를 통해 부산으로 침투하던 1000톤급 무장수송선을 격침, 해군의 첫 승전에 공헌했다. 그 외에도 덕적도·영흥도 탈환 작전과 [[인천상륙작전]], 대청도·소청도 탈환 작전, 2차 인천상륙작전에 참전하여 무공훈장 3회를 포함한 6개의 훈장을 수훈했다. [[5.16 군사정변]] 이후 정권을 장악한 [[박정희]]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을 총무수석비서관으로 2년 동안 가까이서 보좌했다.[[https://news.v.daum.net/v/20210806173603560?x_trkm=t|#]] 1964년에는 해군 최초의 구축함인 [[충무함]]의 함장을 맡기도 했다.[* 미 해군에서 퇴역한 플레처급을 양도받은 것이었다.] 이후 대령으로 군을 떠났다. 자녀로는 네 아들을 두고 있으며, 그 중 2남 [[최재형(법조인)|최재형]] [[국민의힘]] 의원이 유명하다. 2021년 7월 8일 오전 1시 20분 노환으로 사망했다. 아들 최재형 전 감사원장에게 "대한민국을 밝혀라"라는 글과 "소신껏 해라"는 말을 남겼다고 한다. 빈소는 신촌세브란스 장례식장으로 대권주자를 포함한 각계 인사들이 조문했으며, 문재인 대통령 또한 대통령 명의의 조화를 보내고 유영민 대통령 비서실장을 통해 조의를 표했다.[* 장관급 이상 인사(전직 포함)의 부친상에 대통령이 조화를 보내는 내부 규정을 따른 것이며, 동시에 최 대령이 6·25 전쟁 영웅이자 무공훈장 수훈 유공자라는 점도 고려한 것이다.]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치될 예정이다. == 주요 경력 == * 1948. [[해군사관학교]] 입교 * 1950. [[대한민국 해군]] [[소위]] 임관, 백두산함 갑판사관 겸 항해사·포술사 * 1950.6.25. [[대한해협 해전]] 참전. 무장병력 600명을 태우고 부산으로 침투하던 적 무장수송선을 동해상에서 격침. * 1962. [[국가재건최고회의]] 총무비서관 * 1964. [[충무함]] 함장 * 1970. 예비역 해군 [[대령]] 전역 * 1994. 한국해양소년단 고문 == 기타 == * 군 생활을 마친 뒤 1994년부터 한국해양소년단 고문으로 활동했고 안보 교육, 승전비·추모비 건립에 힘썼다. 사망 전까지 진행한 안보 강연만 무려 300회를 넘는다. * 해군에서 최영섭 대령의 공헌을 치하하는 기리는 의미로 <지략·용기·덕망을 겸비한 최영섭 대령>라는 제목의 평전을 출간했었다. * [[박정희]] 전 대통령과의 인연이 있다. 박 대통령이 울릉도를 방문했을 때 바다에 빠지는 사고를 당하자 최영섭 대령이 그를 구해줬다고 한다. 최영섭 대령은 이후 박 대통령에게서 청와대 근무를 제안받았지만 사양하고 해군으로 돌아갔다. [[https://www.chosun.com/national/people/2021/07/08/HO7A4IAXHFD3FOGPJ6TV3PNJIY/|#]] * 2020년 5월 12일 [[해군작전사령부]]의 지목으로 [[덕분에 챌린지]]에 동참했다.[[https://facebook.com/story.php?story_fbid=2971754929605587&id=232705040177270|#]] * 최영섭 대령은 자서전 "바다를 품은 백두산"에서 본인의 부친인 최병규가 독립운동가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2021년 8월 5일 동작문화연구소 소장 김학규가[[http://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001&oid=047&aid=0002322385|#]], 같은 달 15일에는 [[민족문제연구소]]에서[[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0&oid=437&aid=0000273571|#]] 부친 최병규의 독립운동가 행적은 조작된 것이며 최병규와 조부 최승현은 [[친일반민족행위자]]라는 의혹을 제기했다. [[분류:1928년 출생]][[분류:2021년 사망]][[분류:해주 최씨 서운부정공파]][[분류:평강군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군인]][[분류:6.25 전쟁/군인]][[분류:해군 출신]][[분류:해군사관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 국가유공자]][[분류:대한민국의 장로회 신자]][[분류:실향민]][[분류:국립대전현충원 안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