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튀르크어족)] ||<-3> {{{#fff,#000 {{{+2 '''추바시어'''}}}[br]'''{{{-1 Чӑвашла [br] Чăваш чĕлхи}}}'''[br]{{{-2 Chuvash language}}}}}} || ||<-2> '''유형''' ||[[교착어]] || ||<-2> '''어순''' ||주어-목적어-서술어 (SOV) || ||<-2> '''서자방향''' ||좌횡서 || ||<-2> '''문자''' ||[[키릴 문자]] || ||<-2> '''주요 사용 지역'''[br](또는 공용어 지정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br]└[include(틀:국기, 국명=추바시야 공화국)]''' || ||<-2> '''원어민''' ||104만 명 || ||<-2> '''계통''' ||[[튀르크어족]] [br] 오구르어파 [br] 추바시어 || ||<|4> '''언어 코드''' || [[국제표준화기구|{{{#fff,#000 '''ISO'''}}}]] '''639-1''' ||CV || || [[국제표준화기구|{{{#fff,#000 '''ISO'''}}}]] '''639-2''' ||CHV || || [[국제표준화기구|{{{#fff,#000 '''ISO'''}}}]] '''639-3''' ||CHV || || '''글로톨로그''' ||chuv1255 || [목차] [clearfix] == 개요 == [[러시아]]의 [[볼가 강]] 유역에 위치한 [[추바시야]]에서 쓰이는 언어이자 [[추바시인]]들이 쓰는 언어로 [[튀르크어족]]에 속하는 언어이다. 17세기 후반부터 러시아 제국 정부에서는 토속 신앙을 믿는 추바시인들을 [[러시아 정교회]]로 개종시키기 위해 추바시어가 구사 가능한 선교사들을 파견하였는데, 선교사들에 의해 1769년부로 추바시어 문법책이 출간되었으며, 1873년에 추바시인 교육자 이반 야코블레프(Иван Яковлев, [[1848년]] [[4월 25일]] ~ [[1930년]] [[10월 23일]])에 의해 [[키릴 문자]]가 추바시어에 도입되었다. == 계통 == 추바시어가 속하는 오구르어파는 튀르크어족의 언어 중 가장 먼저 갈라져나온 것으로 추정되며, 원래는 하자르어나 [[불가르어]]와 같이 오구르어파를 이루고 있었으나 하자르족이 멸망하고 불가르인들이 점차 [[슬라브]]화되는 등의 과정을 거쳐 오구르어파에는 추바시어만 남게 되었다. 가장 먼저 다른 튀르크어와 갈라졌기 때문에 다른 튀르크어와는 차이점이 큰 편으로, 당연히 다른 튀르크어와는 말이 통하지 않는다. 그래서 원시튀르크어를 연구하는 학자들에게 있어서는 그 무엇보다도 중요한 언어로 떠받들어지고 있다. == 문자와 발음 == 문자는 [[키릴 문자]]를 사용하며, ӑ/ə/, ӗ/ɘ/, ҫ/ɕ/, ӳ/y/의 네 글자가 추가로 사용된다. 발음 면에서는 특이하게 유성음과 무성음의 구분이 없으며, 모음 사이에 오는 무성음 к, п, с, т 등은 유성음으로 발음된다. 이 점은 역시 유성음과 무성음의 구분이 없고, 마찬가지로 ㄱ, ㅂ, ㅈ, ㄷ 등이 모음 사이에 유성음으로 발음되는 [[한국어]]의 특성과 거의 비슷하다. 또한 추바시어는 [[중국어]]나 [[러시아어]]처럼 [[치경구개음]]과 [[권설음]]이 모두 있는 언어인데, ҫ/ɕ/와 ш/ʂ/의 두 발음은 추바시어에서는 서로 구별되는 발음이다. 모음의 경우 아래 표처럼 [[모음조화]] 역시 존재한다. || 전설모음 || е/ɛ/ || ӗ/ɘ/ || и/i/ || ӳ/y/ || || 후설모음 || а/a/ || ӑ/ə/ || ы/ɯ/ || у/u/ || 다른 튀르크어와 비교해 보면 공통 튀르크어의 y 발음은 추바시아어에서는 ҫ 내지는 ч에 대응된다. (예: ҫул "길", чӗре "마음") 또한 원시 튀르크어의 ĺ, ŕ 발음이 ş, z 발음으로 변하지 않고 남아 있는 것도 특징이다. (예: кӗр "가을", хӗл "겨울") ||<-3>{{{#!folding 【문자 목록 보기】 || '''문자'''[br](대문자/소문자) || '''이름''' || '''발음''' || || {{{+1 А а }}} || а || /a/ || || {{{+1 Ӑ ӑ }}} || ӑ || /ə/ || || {{{+1 Б б }}} || бӑ || /b/ || || {{{+1 В в }}} || вӑ || /ʋ/ || || {{{+1 Г г }}} || гӑ || /g/ || ||<:> {{{+1 Д д }}} ||<:> дӑ ||<:> /d/ || || {{{+1 Е е }}} || е || /ɛ/ || || {{{+1 Ё ё }}} || ё || /ʲo/ || || {{{+1 Ӗ ӗ }}} || а || /ɘ/ || || {{{+1 Ж ж }}} || жӑ || /ʐ/ || || {{{+1 З з }}} || зӑ || /z/ || || {{{+1 И и }}} || и || /i/ || || {{{+1 Й й }}} || йӑ || /j/ || || {{{+1 К к }}} || кӑ || /k/ || || {{{+1 Л л }}} || лӑ || /l/ || || {{{+1 М м }}} || мӑ || /m/ || || {{{+1 Н н }}} || нӑ || /n/ || || {{{+1 О о }}} || о || /o/ || || {{{+1 П п }}} || пӑ || /p/ || || {{{+1 Р р }}} || рӑ || /r/ || || {{{+1 С с }}} || сӑ || /s/ || || {{{+1 Ҫ ҫ }}} || ҫа || /ɕ/ || || {{{+1 Т т }}} || тӑ || /t/ || || {{{+1 У у }}} || у || /u/ || || {{{+1 Ӳ ӳ }}} || ү || /y/ || || {{{+1 Ф ф }}} || фӑ || /f/ || || {{{+1 Х х }}} || хӑ || /χ/ || || {{{+1 Ц ц }}} || цӑ || /ts/ || || {{{+1 Ч ч }}} || чӑ || /tɕ/ || || {{{+1 Ш ш }}} || шӑ || /ʂ/ || || {{{+1 Щ щ }}} || щӑ || /ɕː/ || || {{{+1 Ъ ъ }}} || хытӑлӑх палли || /-/ || || {{{+1 Ы ы }}} || ы || /ɯ/ || || {{{+1 Ь ь }}} || ҫемҫелӗх палли || /ʲ/ || || {{{+1 Э э }}} || э || /e/ || || {{{+1 Ю ю }}} || ю || /ju/ || || {{{+1 Я я }}} || я || /ja/ || }}}|| == 문법 == [[어순]]은 SOV 어순을 띠고 있다. 추바시어 명사는 주격과 속격(-ӑн), 대격(-на), 처격(-ра), 탈격(-ран), 조격(-па)의 6개 격을 가지고 있다. 격변화 형태는 모음조화나 자음동화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복수형은 -сем으로 끝난다. 그래서 추바시인을 가리키는 말도 чăвашсем이다. == 기타 == [[문명 5/등장 문명/훈족|문명 5 훈족]]의 지도자 [[아틸라]]가 해당 언어를 사용한다. 실제 [[훈족]]의 언어를 고증할 수 없기 때문에 대체제로 추바시어를 사용한듯 하다. [[https://cv.wikipedia.org/wiki/%D0%A2%C4%95%D0%BF_%D1%81%D1%82%D1%80%D0%B0%D0%BD%D0%B8%D1%86%C4%83|추바시어 위키백과]]가 존재한다. [youtube(BVXCAfJpxwY)] 들어보기 [[분류:튀르크어족]] [[분류:러시아의 언어]] [[분류:개별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