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fff '''추성훈 관련 둘러보기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본부이엔티 소속 아티스트)] ---- [include(틀:사장님 귀는 당나귀 귀/역대 보스)] ---- [include(틀:K-1 히어로즈 챔피언)] ---- ||<-5>
{{{#white '''아시안게임 유도 남자 -81kg급 우승자'''}}} || ||<-5> [[파일:아시안 게임 로고.svg|width=200]] || ||<-5>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조인철]][br]([[1998 방콕 아시안게임|1998]]) || {{{+1 →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아키야마 요시히로[br]([[2002 부산 아시안게임|2002]])''' || {{{+1 → }}} || [[파일:몽골 국기.svg|width=25]] Damdinsürengiin Nyamkhüü[br]([[2006 도하 아시안 게임|2006]]) || ||<-5> ||}}} || ||<-2>
'''{{{+1 아키야마 요시히로}}}[* 선수명 및 일본 방송 활동 시 이름][br] 秋山成勲 | Yoshihiro Akiyama[br]{{{-1 추성훈 | 秋成勳 | Choo Sung Hoon}}}'''[* 한국 방송 활동 시 이름]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추성훈 프로필(원 챔피언십).jpg|width=100%]]}}} || || '''본명''' ||'''[ruby(秋山, ruby=あきやま)][ruby(成勲, ruby=よしひろ)]''' {{{-1 (아키야마 요시히로, Yoshihiro Akiyama)}}} || || '''한국명''' ||'''추성훈''' {{{-1 (秋成勳, Choo Sung Hoon)}}}[* 일본으로 귀화하였기 때문에 더 이상 대한민국 법적 본명이 아니다. 다만 국내 활동시에는 본명에 가깝게 이 이름을 쓴다.] || ||<|2> '''출생''' ||[[1975년]] [[7월 29일]] ([age(1975-07-29)]세)[* [[김병만]]과 생년월일이 같다.] || ||[[일본]] [[오사카부]] [[오사카시]] [[이쿠노구]] || ||<|2>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2 (1975년 ~ 2001년)}}}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2 (2001년 ~ )}}}[* 일본에서 태어난 [[재일교포]]라 원래는 [[대한민국]] 국적이었으나, [[일본]]은 [[복수국적]]을 허용하지 않는 나라이기 때문에 2001년에 [[일본]]으로 귀화를 하였고 동시에 [[대한민국]] 국적도 말소되었다.] || || '''소속사''' ||본부ENT || || '''전적''' ||'''[[http://sherdog.com/fighter/Yoshihiro-Akiyama-11895| 25전 16승 7패 2무효]]''' || || '''승''' ||'''7KO, 7SUB, 2판정''' || || '''패''' ||'''2KO, 1SUB, 4판정''' || || '''신체''' ||174cm, 87kg[* 《[[피지컬 100]]》에서 키와 몸무게가 밝혀졌다. 전성기 때는 키가 177cm 였으나, 나이가 들면서 키가 줄어든 듯 하다. 몸무게 같은 경우, 본인 말에 의하면 많이 나갈 때는 최대 90kg 이라고 한다.], [[O형]][* [[https://m.cafe.daum.net/lovnstory/G5WK/1152?q=D_Eua3hImDwjE0&]]], 191cm[* 리치] [br]|| || '''닉네임''' ||'''섹시야마'''{{{-1 (Sexyama)}}} || || '''테마곡''' ||'''[[사라 브라이트만]] - [[Time to Say Goodbye]]'''[* 사라 브라이트만이 이를 알고 있었고, 추성훈과 만남을 요청했으며, 만난 적이 있다.[[https://98187245.at.webry.info/200611/article_13.html|#]].] || ||<|2> '''가족''' ||아버지 [[추계이]]^^(1951년-2023년)^^[* 유도선수 출신으로, 《[[슈퍼맨이 돌아왔다]]》에 출연했고 《[[해피투게더|해피투게더 시즌3]]》에 출연했으며, 《어머니가 누구니》와 《아버지와 나》에 출연했다.][* 2023년 4월 18일 부고 소식이 전해졌다.] [br]어머니 류은화^^(1954년생)^^[* [[태릉선수촌]] 수영선수 출신으로, 《[[슈퍼맨이 돌아왔다]]》에 출연했다.][* 2023년, 칠순을 앞둔 나이에도 근육질 몸매를 선보여 화제가 됐다.[[https://www.news1.kr/articles/?5260019|#]]][br]여동생 추정화^^(1981년생)^^[* 유도선수 출신으로, 《[[K팝 스타]]》 시즌1에 출연했고, 《[[슈퍼맨이 돌아왔다]]》에 출연했으며, 《[[원나잇 푸드트립]]》 시즌2 9기에 출연했다.] || ||배우자 [[야노 시호]]^^(2009년 1월 결혼 ~ 현재)^^[br]딸 [[추사랑]] || || '''학력''' ||세이후 고등학교 ^^{{{-2 (졸업)}}}^^[br][[긴키대학]] || || '''SNS''' ||[[http://ameblo.jp/yoshihiro-akiyama|[[파일:Ameba 아이콘.svg|width=24]]]]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akiyamayoshihir, 크기=24)] | [[http://instagram.com/akiyamachoo|[[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https://www.threads.net/@akiyamachoo|[[파일:Threads 아이콘.svg|width=24]]]] | [[https://www.youtube.com/channel/UCLAyThLjOjoxAdtVWX_Lqc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1lzwXvqqRCQ)]}}}|| [[한국계 일본인]] 前 [[유도]] 선수, 現 [[종합격투기]] 선수 겸 [[방송인]]. 한국에서는 ‘[[풍운아]]’이자, ‘[[딸바보]]’로 잘 알려져 있고 일본에서는 ‘반골의 유도왕’[* はんこつ のじゅうどうおう]이자, ‘마왕’[* まおう]으로 알려져 있다. 전세계에서는 아내 [[야노 시호]]가 ‘여성미’의 대명사라면, 남편 아키야마 요시히로가 ‘남성미’의 대명사라고 할만큼 ‘[[섹시야마]]’로 잘 알려져 있다.[* [[샤킬 오닐]]이 섹시야마라는 별명을 알고 있었을만큼 잘 알려져 있다.] == 개인사 == ||[[파일:113902_52954_936.jpg|width=100%]]|| [[재일 한국인]] 3세[* 처음 일본에 정착한 추성훈의 증조할아버지인 추정원씨가 제주 4.3 사건의 피해자란 설이 있으나 이는 사실이 아니다. 추성훈 관련 KBS 다큐 내용에 따르면 1세인 추정원 씨는 1923년에 건너갔다고 한다. 만약 4.3 때문에 건너가야 했다면 1949년 이후의 일인데 재일교포 4세인 추성훈이 1975년생인 걸 고려하면 시기적으로 안 맞다. ] 였던 추계이[* 일본명이 ‘아키야마 케이지’(秋山啓二)이고, 한국명이 ‘추계이’(秋啓二)이다. 한국 한자음으로는 다소 어색하지만 일본에서 케이지는 흔한 남자 이름이다.]의 아들로 태어나 일본 오사카부 오사카시 이쿠노구 쓰루하시의 코리안타운에서 살았고, [[1998년]] 한국에서 운동하던 시절에는 부산에서 동생인 추정화와 함께 살았다. [[2001년]] 일본으로 귀화하였고, 2009년 야노 시호와 결혼하고는 도쿄도 미나토구 시바우라에서 살았다. 이후 딸의 교육 등을 위해 2018년부터 현재까지 하와이 호놀룰루 알라모아나에서 살고 있다. == [[/운동선수 경력|운동선수 경력]]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추성훈/운동선수 경력)] == 파이팅 스타일 == ||[[파일:20220401_234315.gif|width=100%]]||[[파일:20220401_234330.gif|width=100%]]|| ||<-2> [[추성훈/운동선수 경력#s-4.1.1|K-1 히어로즈 2006 미들급&라이트헤비급 토너먼트 결승전]][* 상대에게 언더훅을 잡혀서 오버훅을 잡았고 몸이 떠있는 상태에서 매쳐졌는데 바닥에 닿기 전에 빠르게 왼발을 내려 딛고 한번 더 돌려서 마운트 포지션을 차지한다. 무게 중심을 잘 이용한다. 국가대표 유도 선수의 재능을 볼 수 있는 부분.] || >''' ''유도 최고!'' ''' >''' ''[ruby(柔道, ruby=じゅうどう)] [ruby(最高, ruby=さいこう)]!'' ''' >---- >K-1 히어로즈 2006 미들급&라이트헤비급 토너먼트 결승전 || 스타일 || [[유도]][* 최상급 유도 스페셜리스트로, [[UFC]]에서 최상급 유도 스페셜리스트를 거론하면, [[추성훈]], [[카로 파리시안]], [[릭 혼]], [[김동현(1981)]], [[오카미 유신]], [[론다 로우지]] 등이 거론된다. 단, MMA 그래플링에서 레슬링·주짓수는 메이저 종목인 반면, MMA 그래플링에서 유도는 마이너 종목이다.] || || 스탠스 || [[종합격투기#s-5.3|오소독스]] || 파이팅 스타일은 테이크다운 디펜스 ‘[[브롤러(동음이의어)|브롤러]]’[* 타격가들에 비해 타격 기술이 부족하다.]로, 상대방의 테이크다운을 막고 타격 싸움으로 가거나 , 테이크다운 후에 상위에서 파운딩을 즐겨 했다.[* 김동현의 말에 따르면, 김동현 본인은 지장(智將)에 가깝다면, 추성훈은 맹장(猛將)에 가깝다고 한다.] 강점은 유도가 답게 테이크다운 오펜스[* 안·바깥다리후리기, 안뒤축·발뒤축걸기 같은 발기술과 허리후리기, 허벅다리걸기 같은 허리기술 등등 [[메치기]].]와 디펜스에 능하고, 스트라이크 캐치·카운터 테이크다운[* 유도가 답게 잡기에 능하고, 중심 잡기·잡아내기에 능한 것이다.]에 능하며, 유도가 답지 않게 타격도[* 원투 펀치, 로우·카프 킥 등 기본기의 파워·타이밍·콤비네이션에 능하다. 타격가가 스트레이트로 공격하면 회피 한뒤 빠르게 달라 붙어 언더훅으로 잡고 바로 매쳐서 그라운드로 끌고 간다. 국대 출신 답게 동작들이 매우 빠르고 위력있다.] 위력적인 편이다. 또한, 김동현의 말에 따르면, 피지컬[* 타격에 능한 이유이다. 팔 힘 즉, 완력은 유도선수였을 때부터 좋은 편이었고 UFC 웰터급(-77kg)에서 [[제이크 쉴즈]]가 [[타이론 우들리]], [[데미안 마이아]]를 상대로는 그라운드에 데려가는 데 성공한 반면, 추성훈을 상대로는 그라운드에 데려가는 데 수차례 실패했다. 경기 후, “웰터급에서 괴물 같다”고 평한 바 있다.]과 멘탈[* ‘킬러본능’이 있다고 한다.]이 좋다고 한다. 그래플링 능력의 경우, 오펜스는 체격이 자신보다 훨씬 큰 헤비급[* 프랑수아 보타, 제롬 르 벤너.]과 미들급[* 앨런 벨처, 크리스 리벤.]을 수차례 다운시키고 웰터급 레슬러 제이크 쉴즈를 수차례 다운시킬만큼 능하고, 디펜스[* K-1 HERO'S에서부터 KO승이 아니면, 서브미션승률이 100%였고, UFC에서조차 제이크 쉴즈에게 다운 당하기 이전까지 테이크 다운 디펜스가 100%였다.]는 제이크 쉴즈에게조차 다운 당한 적이 거의 없을 정도였다. 스트라이크 능력의 경우 PRIDE 2006 준우승자 데니스 강을 다운시킬만큼 묵직하고 마이클 비스핑이 놀라움을 표할만큼 강력하다. 그리고 킥은 알베르토 미나가 놀라움을 표했었다.[* K-1에서부터 서브미션승이 아니면, KO승이 100%였다.] 약점은 테이크다운 실력에 비해 포지셔닝이 떨어진다. 유도선수였을 때부터 메치기에 비해 굳히기가 약했다. UFC에서 앨런 벨처, 제이크 쉴즈과 싸울 때는 그라운드·케이지에서 우위를 점하지 못했고, 크리스 리벤과 싸울 때는 그라운드에서 우위를 점하지 못하다 못해 패배했으며, ONE에서 아오키 신야와 싸울 때는 케이지에서 열위에 처해 패배할 뻔 했다. 타격 측면에선 단타에 비해 연타·셋업 기술이 좋지 않아 앨런 벨처, 크리스 리벤, 마이클 비스핑, 제이크 쉴즈와의 경기에서 연타 싸움 우위를 점하지 못했다. 힘에 비해 스테미나가 좋지 않다. 유도선수였을 때부터 완력에 비해 체력이 좋지 않았고, UFC에서 앨런 벨처, 크리스 리벤, 알베르토 미나 등에 스테미너 문제로 2·3R에서 패배할 뻔 하거나, 패배했다. 그리고 ONE에서 상대적으로 젊은 아길란 타니에 비해 부족한 체력으로 패배했다.[* 단, 나이가 많은 상태였고, 벨처, 미나와 싸울 때는 로우블로를 당한 상태였으며, 리벤, 벨포트와 싸울 때는 리벤, 벨포트가 도핑을 한 의혹이 있거나, 도핑을 한 상태였다.] 전체적인 스탯은 기본기에 모두 능한 올라운더이다. 하지만, UFC에서는 스트라이커들에 비해 연타,셋업 능력이 부족하고, 그래플러들에 비해 포지셔닝 능력이 부족하며, 전체적인 스탯이 기본기와 비기에 모두 능한 웰라운더들에 비해 명백하게 부족하다. 즉, UFC의 웰라운더를 상대로는 명백하게 한계가 있다.[* 멜빈 만호프 같은 극단적인 스트라이커, 아오키 신야 같은 극단적인 그래플러를 상대로는 승리했다. 데니스 강 외 앨런 벨처 같은 웰라운더를 상대로는 승리했다만 고전했고, 크리스 리벤, 마이클 비스핑, 비토 벨포트, 알베르토 미나 즉, UFC의 웰라운더를 상대로는 한계가 있다.] == 연예인 경력 == 운동 선수 경력 못지 않게 연예인 경력이 있다. 2012년 4연패를 한 이후, 연예인 활동을 주로 했다. 과거에는 주로 승부사 기질을 보였다면, 현재에는 주로 사랑꾼 기질을 보인다.[* 물론, 현재에도 승부욕이 꺾인 것은 아니고 가끔 승부사 기질을 보여주기는 한다.] 예능 스타일은 ‘[[허당|허세를 부리다가 굴욕을 겪는]]’ 바보 역할을 주로 했다. 김동현은 ‘바보 같아서’ 웃기는 경우라면, 추성훈은 ‘진지한데 바보 짓 해서’ 웃기는 경우라고 할 수 있다. 아래에도 나오지만 '콜라를 원샷하고 나서 트림하지 않고 노래 부르기'를 자신만만하게 시도했다가 실패하거나, 매운 청양고추를 먹을 수 있다며 시도했다가 기권하는 등 허세성 거짓말을 종종 하는데, <아는 형님>에서 이수근에게 "진짜로 하지도 못하면서 왜 자꾸 그런 거짓말을 하는 거야?"라는 질문을 받자 "재밌잖아"라고 말했다. ||[youtube(Rzoxsr95xbM)]|| 2008년 《[[무릎팍도사]]》에서 [[박상민]]의 ‘하나의 사랑’을 불러 화제가 됐다. ‘2008 연가’ 앨범에 이 노래를 불러 참여했고 이 앨범에 참여했을 때, 수익 전액을 ‘공생원’[*복지원 [[윤학자]] 여사가 과거 [[일제강점기]], [[6.25 전쟁]]부터 현재까지 복지원을 운영했다. 또한, 윤 여사는 반대로 일본계 한국인인 반면, 추성훈은 한국계 일본인이다.[[http://news.joins.com/article/3077826|#]]]에 기부했다. ||[[파일:AgQW1648678534_1650592919.gif|width=100%]]|| || 《[[패밀리가 떴다]]》 || 2009년 《[[패밀리가 떴다]]》에 출연했고, [[김종국]]과 엮여 화제가 됐다. 레슬링 대결에서 김종국을 공중에 띄워 해변가에 메다꽂아[* 더블렉 카운터 기술이다. 원래는 뒤로 누우면서 같이 구른다.] 굴욕(?)[* 모두가 잊고있는 사실이지만 김종국은 가수고 예능이나 운동은 부차적인 일이였다(...). 최근에는 김종국이 가수라는 사실만으로 충격받는 사람이 많은 것을 생각하면 아이러니.]을 선사했다. 자세히 보면 머리와 경추가 안다치게 어깨를 잡고 수평으로 돌린다. ||[youtube(ksLuzUAlMWo)]|| >''' ''야수르 ‘추’'' ''' >---- >《[[정글의 법칙|정글의 법칙 in 바누아투]]》 2012년 《[[정글의 법칙|정글의 법칙 in 바누아투]]》에 출연했고 8시간 고생한 끝에 불 피우기에 성공하여 화제가 됐다. 함께 고생한 끝에 불 피우기에 성공하여 김병만과 교분을 갖게 됐다.[* [[2017년]] 《[[정글의 법칙|정글의 법칙 in FIJI]]》에서 김병만이 부상으로 불참여했을 때, 추성훈이 김병만과의 교분으로 대신 참여했다.] 또한, 씨름 대결에서 [[노우진]]을 공중의 띄워 해변가에 메다꽂아 굴욕을 선사했다. 2013년 2월 《[[런닝맨]]》에 출연했고 또 다시 김종국과 엮여 화제가 됐다.[[https://youtu.be/8MRlvZzMmrg|#]] 김종국과의 이름표 뜯기에서 승리했고 명장면을 연출했다. 그리고 2013년 6월 《[[런닝맨]]》에 다시 출연했다. 런닝맨 어벤져스에서 ‘더 파이터’[* 더 파이터의 능력은 ‘한판 붙자!’라고 하면, 1분간 링 안에서 한판 붙을 수 있는 능력이다.]로, 송지효와의 이름표 뜯기에서 명장면을 연출했고 [[정두홍]]과의 이름표 뜯기에서 승리했으며, 우승했다. 2013년 《[[아테나:전쟁의 여신]]》에서 비밀요원 역할을 했고 [[차승원]]과 교분을 갖게 됐다. 2015년 차승원과의 교분으로 《[[삼시세끼]]》에 출연했다. ||[youtube(tBovFgWEw-Y)]|| 2013년 8월 《[[라디오 스타(황금어장)|라디오 스타]]》에 출연했을 때, ‘[[콜라]]를 원샷하고 [[트림]]을 안 하고 노래하기’에 도전했고 실패해 굴욕을 겪었다.[* 《[[힐링캠프 기쁘지 아니한가|힐링캠프]]》에서 먼저 실패해 굴욕을 겪은 바 있다.[[https://play-tv.kakao.com/embed/player/cliplink/43155587|#]]] 하지만, ‘등근육에 큐카드 꽂기’에는 성공했다. 2017년과 2022년 《[[라디오 스타(황금어장)|라디오스타]]》에 다시 출연할 때마다 ‘콜라 원샷하고 트림 안 하고 노래하기’와 ‘등근육에 큐카드 꽂기’에 도전했다. [[파일:/image/117/2013/09/20/201309201304481117_1_59_20130920133003.jpg]] 2013년~2016년 간 《[[슈퍼맨이 돌아왔다]]》에 딸 [[추사랑]]과 함께 출연했다. 아내에게는 무뚝뚝한 [[남편]]의 모습인 반면, 딸에게는 정이 뚝뚝 떨어지는 [[딸바보]]의 모습으로 화제가 됐고 [[KBS 연예대상]]에서 3년 연속 수상했다. ||[youtube(eghpBKGHgVg)]|| 《[[슈퍼맨이 돌아왔다]]》에서 추성훈이 [[추성훈/운동선수 경력#s-4.3.6|4연패 이후, 2년만에 경기를 치를 때]], 경기장에서 아들이자, 오빠를 보고 있는 가족들의 모습과 집에서 남편을 보고 걱정하고 경기를 치르고 귀가했을 때, 남편을 걱정하는 아내의 모습이 화제가 됐다. 《[[슈퍼맨이 돌아왔다]]》에서 딸이 예의없게 행동했을 때마다 딸이 예의있게 행동할 수 있도록 엄격하게 훈계·훈육하여 화제가 됐다.[[https://youtu.be/QRQiUu8B_6Q|#]] 일본 정서 상에서는 공공장소에서 다른 국가보다 예의를 중시하는 한국 정서에서보다 훨씬 더 예의를 중시한다. ||[youtube(rrIRDO-1DLs)]|| 2016년 《[[마이 리틀 텔레비전]]》 [[마이 리틀 텔레비전/MLT-21~MLT-25|MLT-23]]에서 [[김동현(1981)|김동현]]과 함께 출연했다. 제목은 ‘내일은 챔피언’이고 주제는 ‘격투기&운동’이다. MMA 포지셔닝 대결에서 스태프들에게 패배해 굴욕을 겪었다.[* 또한, 옥타곤걸 김하나와 운동할 때, ‘[[야노 시호|형수님]] 오고 계신다’는 김동현의 말에 겁을 먹고 김동현이 그 모습을 놀렸다.] 2018년 《[[뭉쳐야 뜬다]]》에 출연했고 [[안정환]]과 교분을 갖게 됐다. ||[youtube(u8j_85REzs0)]|| >''안 된다고~ 형한테는 농담이 안 통한다니까'' >---- >김동현 2020년 《[[집사부일체]]》 ‘무도인의 날’에 출연했고 로우킥을 시범했다. 김동현을 상대로는 ‘안 아프고 소리만 크게’ 발등으로 시범한 반면, [[차은우]]를 상대로는 정강이로 시범했다. 《순정파이터》에 멘토로 출연했다. 다른 멘토들은 각각의 비기[* 김동현은 MMA에서 그래플링의 바탕이 되는 레슬링을 접목한 벽레슬링(케이지레슬링), 최두호는 스트라이크의 바탕이 되는 복싱을 접목한 타격 거리, 정찬성은 모든 기본기의 바탕이 되는 체력]를 전수했고, 추성훈도 자신의 비기, 유도식 메치기[* 제이크 쉴즈를 상대로 썼던 바깥다리걸기, 아미르 사돌라를 상대로 썼던 킥 캐치&안뒤축 걸기 등 유도식 메치기]를 전수했다. ||[youtube(-4MHZEJmQms)]|| 2023년 《런닝맨》에 10년만에 재출연했다. ‘연봉파이터’에서 평소 패션 철학에 대해 이야기했다. 평소 패션은 팬티를 착용하지 않는다고 하고 가끔 티팬티를 착용한다고 한다. 다른 패션 철학에 대해서는 시합에서 이길 때마다 악세사리들을 사고 질 때마다 판다고 한다. 그리고 가장 많은 연봉파이터로 우승했다. ||[[파일:피지컬100 추성훈.jpg|width=100%]]|| 2023년 《[[피지컬 100]]》에 출연했다. 추성훈은 처음에 출연 제의를 거절했다고 한다. 그 이유는 출연자들이 전부 20,30대여서 본인이 나이가 제일 많았기 때문에 일찍 떨어지면 멋이 없을 것 같아서. 그러나 "가만히 생각해보니 젊은 사람을 이기는 모습을 보여주고 싶더라. 전 세계 아저씨들에게 희망을 주는 것 아니냐는 생각에 나갔다"고 밝혔다. 사전 퀘스트에서 59위였다. 첫번째 퀘스트에서 사전 퀘스트에서 4위였던 [[신동국]]을 상대로 종합격투기 규칙으로 승부를 했고 승부 끝에 승리했다. 두번째 퀘스트에서 뽑힌 팀장 중 4위였다. 복싱 선수 신보미레, 크로스핏 선수 우진용, 산악 구조대 김민철, 야구 선수 더스틴 니퍼트를 뽑았다. === 예능 === * ‘괄호’가 표시된 건 호스트 출연이고, 표시되지 않은 건 게스트 출연이다. || 연도 || 방송사 || 제목 || 참고 || ||<|3> 2008년 || [[MBC|[[파일:MBC 로고(2005-2011).svg|width=40]]]] || 《[[무릎팍도사|황금어장 - 무릎팍도사]]》 || 2008년 2월 27일 || || [[SBS|[[파일:SBS 로고.svg|width=40]]]] || 《[[드림콘서트]]》 || 특별 게스트 || || [[XTM|[[파일:XTM 로고(2003-2011).svg|width=40]]]] || 《스타 앤 더 시티 - 추성훈의 Dream》 || 2008년 9월 20일 ~ 21일 || || 2009년 || [[SBS|[[파일:SBS 로고.svg|width=40]]]] || 《[[패밀리가 떴다]]》 || 2009년 6월 7일, 6월 14일 || ||<|2> 2010년 || [[MBC|[[파일:MBC 로고.svg|width=40]]]] || 《[[공감토크쇼 놀러와]]》 || 2010년 1월 10일 || || [[KBS2|[[파일:KBS 2TV 로고.svg|width=40]]]] || 《[[출발 드림팀|출발 드림팀 시즌2]]》 || 2010년 3월 7일 || || 2011년 || [[SBS|[[파일:SBS 로고.svg|width=40]]]] || 《[[힐링캠프|힐링캠프, 기쁘지 아니한가]]》 || 2011년 10월 3일 || || 2012년 || [[SBS|[[파일:SBS 로고.svg|width=40]]]] || 《[[정글의 법칙|일요일이 좋다 - 김병만의 정글의 법칙 in 바누아투]]》 || 2012년 5월 6일 ~ 7월 8일 || ||<|2> 2012년~2013년 || [[SBS|[[파일:SBS 로고.svg|width=40]]]] || 《[[정글의 법칙|김병만의 정글의 법칙 in 아마존]]》 || 2012년 12월 28일 ~ 2013년 3월 1일 || || [[후지 TV|[[파일:후지 테레비 로고.svg|width=40]]]] || 《[[톤네루즈의 여러분 덕분이었습니다|톤네루즈의 여러분 덕분이었습니다 - 전략, 휴게소에서]]》 || 레귤러 || ||<|4> 2013년 || [[SBS|[[파일:SBS 로고.svg|width=40]]]] || 《[[런닝맨]]》 || 2013년 2월 3일, 6월 16일 || || [[KBS 2TV|[[파일:KBS 2TV 로고.svg|width=40]]]] || 《[[개그콘서트]]》 || 2013년 6월 2일 || || [[MBC|[[파일:MBC 로고.svg|width=40]]]] || 《[[라디오 스타(황금어장)|황금어장 - 라디오스타]]》 || 2013년 8월 28일 || || [[후지 TV|[[파일:후지 테레비 로고.svg|width=40]]]] || 《[[VS 아라시]]》 || 2013년 1월 3일 || || 2013년~2016년 || [[KBS 2TV|[[파일:KBS 2TV 로고.svg|width=40]]]] || 《[[슈퍼맨이 돌아왔다|해피 선데이 - 슈퍼맨이 돌아왔다]]》 || 2013년 9월 19일 ~ 21일 / 2013년 11월 3일 ~ 2016년 3월 20일 (고정)[* 딸 추사랑과 함께 출연한 것으로 2013년 9월 19일부터 21일은 파일럿 편성, 그 이후는 정규 편성이다.] || || 2014년 || [[SBS|[[파일:SBS 로고.svg|width=40]]]] || 《[[정글의 법칙|김병만의 정글의 법칙 the 헝거게임]]》 || 2014년 2월 28일 ~ 3월 14일 || ||<|4> 2015년 || [[tvN|[[파일:tvN 로고(2012-2021).svg|width=40]]]] || 《[[삼시세끼|삼시세끼 번외편]]》 || 2015년 3월 6일, 3월 13일 || ||<|2> [[SBS|[[파일:SBS 로고.svg|width=40]]]] || 《[[질주본능 더 레이서]]》 || 2015년 8월 29일 ~ 2015년 11월 1일 || || 《어머니가 누구야》 || 2015년 9월 29일 || || [[KBS2|[[파일:KBS 2TV 로고.svg|width=40]]]] || 《[[1박 2일]]》 || 2015년 9월 13일, 9월 20일 || ||<|4> 2016년 || [[MBC|[[파일:MBC 로고.svg|width=40]]]] || 《[[마이 리틀 텔레비전]]》 || 2016년 3월 19일, 3월 26일 (출연자) || || [[tvN|[[파일:tvN 로고(2012-2021).svg|width=40]]]] || 《[[아버지와 나]]》 || 2016년 6월 2일 ~ 8월 4일 (출연자) || || [[SBS|[[파일:SBS 로고.svg|width=40]]]] || 《[[꽃놀이패(예능)|꽃놀이패]]》 || 2016년 9월 26일 || || [[JTBC|[[파일:JTBC 로고.svg|width=40]]]] || [[아는 형님]] || 2016년 11월 5일 || ||<|6> 2017년 || [[JTBC|[[파일:JTBC 로고.svg|width=40]]]] || 《[[한끼줍쇼]]》 || 2017년 3월 8일 ([[제국의아이들]] [[황광희|광희]]와 공동 출연) || || [[MBC|[[파일:MBC 로고.svg|width=40]]]] || 《[[라디오 스타(황금어장)|라디오 스타]]》 || 2017년 3월 22일 || ||<|2> [[SBS|[[파일:SBS 로고.svg|width=40]]]] || 《[[추블리네가 떴다]]》 || 2017년 8월 26일 ~ 9월 30일 (출연자) || || 《[[정글의 법칙|정글의 법칙 in FIJI]]》 || 2017년 9월 22일 ~ 2017년 11월 24일 || || [[tvN|[[파일:tvN 로고(2012-2021).svg|width=40]]]] || 《[[알바트로스]]》 || 2017년 9월 13일 ~ 11월 1일 (출연자) || || [[KBS 2TV|[[파일:KBS 2TV 로고.svg|width=40]]]] || 《[[슈퍼맨이 돌아왔다]]》 || 2017년 11월 12일 || ||<|4> 2018년 ||<|2> [[JTBC|[[파일:JTBC 로고.svg|width=40]]]] || 《[[패키지로 세계일주 - 뭉쳐야 뜬다]]》 || 2018년 1월 8일~2018년 2월 6일 || || 《[[냉장고를 부탁해]]》 || 2018년 12월 25일 || || [[tvN|[[파일:tvN 로고(2012-2021).svg|width=40]]]] || 《[[토크몬]]》 || 2018년 3월 26일 || || [[KBS 2TV|[[파일:KBS 2TV 로고.svg|width=40]]]] || 《나물 깨는 아저씨》 || 2018년 5월 4일, 5월 11일 || ||<|3> 2019년 ||<|3> [[채널A|[[파일:채널A 로고.svg|width=40]]]] || 《[[나만 믿고 따라와, 도시어부|나만 믿고 따라와, 도시어부 in 팔라우]]》 || 2019년 1월 10일 ~ 2월 7일 || || 《팔아야 귀국 in 베트남》 || 2019년 5월 25일 ~ 2019년 6월 25일 || || 《[[나만 믿고 따라와, 도시어부|도시어부 3]]》 || 2021년 12월 9일 || ||<|4> 2020년 ||<|2> [[SBS|[[파일:SBS 로고.svg|width=40]]]] || 《[[집사부일체]]》 || 2020년 8월 9일 || || 《[[정글의 법칙|정글의 법칙 in 와일드 코리아]]》 || 2020년 8월 29일 ~ 2020년 9월 19일 || || [[JTBC|[[파일:JTBC 로고.svg|width=40]]]] || 《[[뭉쳐야 찬다 - 전설들의 조기축구]]》 || 2020년 8월 30일 || || [[tvN|[[파일:tvN 로고(2012-2021).svg|width=40]]]] || 《[[캐시백]]》 || 2020년 8월 25일 || || 2021년 || [[SBS|[[파일:SBS 로고.svg|width=40]]]] || 《[[미운 우리 새끼]]》 || 2021년 11월 4일 || ||<|11> 2022년 ||<|4> [[SBS|[[파일:SBS 로고.svg|width=40]]]] || 《[[편먹고 공치리|편먹고 공치리 - 내부의 적]]》 || 2022년 1월 8일 || || 《[[집사부일체]]》 || 2022년 5월 8일, 5월 15일 || || 《[[신발 벗고 돌싱포맨]]》 || 2022년 6월 14일 || || 《순정파이터》 || 2022년 12월 21일 ~ (출연자) || ||<|2> [[MBC|[[파일:MBC 로고.svg|width=40]]]] || 《[[안싸우면 다행이야]]》 || 2022년 1월 3일, 2022년 1월 10일 || || 《[[라디오 스타(황금어장)|라디오스타]]》 || 2022년 5월 18일 || ||<|2> [[KBS2|[[파일:KBS 2TV 로고.svg|width=40]]]] || 《[[슈퍼맨이 돌아왔다]]》 || 2022년 6월 3일 || || 《[[신상출시 편스토랑]]》 || 2022년 7월 8일 || || [[tvN D|[[파일:tvN D 로고.svg|width=40]]]] || 《[[라면꼰대]]》 || 2022년 8월 30일 || || [[tvN STORY|[[파일:tvN STORY 로고.svg|width=40]]]] || 《이젠 날 따라와》 || 2022년 9월 23일 ~ (출연자) || || [[채널A|[[파일:채널A 로고.svg|width=40]]]] || 《[[천하제일장사]]》 || 2022년 10월 10일 ~ 12월 26일 || ||<|4> 2023년 || [[SBS|[[파일:SBS 로고.svg|width=40]]]] || 《[[런닝맨]]》 || 2023년 1월 15일 || || [[넷플릭스|[[파일:넷플릭스 로고.svg|width=40]]]] || 《[[피지컬 100]]》 || 2023년 1월 24일 || || [[tvN|[[파일:tvN 로고.svg|width=40]]]] || [[유 퀴즈 온 더 블럭]] || 2023년 3월 15일 || || [[JTBC|[[파일:JTBC 로고.svg|width=40]]]] || [[아는 형님]] || 2023년 3월 25일 || === 교양 === * ‘괄호’가 표시된 건 호스트 출연이고, 표시되지 않은 건 게스트 출연이다. || 연도 || 방송사 || 제목 || 참고 || ||<|2> 2008년 || [[MBC|[[파일:MBC 로고(2005-2011).svg|width=40]]]] || 《네버엔딩스토리》 || 2008년 4월 16일 || || [[KBS 1TV|[[파일:KBS 로고.svg|width=40]]]] || 《[[TV는 사랑을 싣고]]》 || || || 2023년 || [[TV CHOSUN|[[파일:TV CHOSUN 로고.svg|width=50]]]] || [[식객 허영만의 백반기행]] || 2023년 3월 10일 || === 드라마·영화 === || 연도 || 방송사 || 제목 || 역할 || 참고 || || 2010년 || [[SBS|[[파일:SBS 로고.svg|width=40%]]]] || 월화 드라마 《[[아테나: 전쟁의 여신]]》 || 블랙요원 5 역 ||<|3> 카메오 || || 2014년 || [[MBC|[[파일:MBC 로고.svg|width=40%]]]] || 월화 드라마 《[[트라이앵글]]》 || 야쿠자 보스 와타나베 역 || || 2015년 || [[SBS|[[파일:SBS 로고.svg|width=40%]]]] || 주말 드라마 《[[너를 사랑한 시간]]》 || 추성훈 역 || || 2023년 || [[tvN|[[파일:tvN 로고.svg|width=40%]]]] || 월화 드라마 《[[패밀리(tvN)|패밀리]]》 || 구인보 / 와타나베 스즈키 역 || 특별출연 || ||<-3> 영화 || || 제목 || 배역 || 참고 || || 《[[인천상륙작전(영화)|인천상륙작전]]》 || 백산 역 || 특별출연 || || 《[[가문의 영광: 리턴즈]]》 || 얏빠리 역 || 주연 || === 광고 === || 방송년도 || 기업명 || 브랜드명(종류) || 공동 출연 || || 2008년 || 하이트진로 || 하이트 (맥주) || || || 2008년 || 기아자동차 || 로체 이노베이션 (자동차) || || || 2008년 || 빙그레 || 바나나맛 우유 (유제품) || || || 2008년 || 쿠지화장품 || 쿠지옴므 트랜시 (화장품) || || || 2008년 || 위니아만도 || 딤채 김치냉장고 (가전) || || || 2009년 || (주)오리온 || 닥터유 에너지바 (스낵) || || || 2009년 || 네오위즈 || 트리니티 온라인 (온라인게임) || || || 2009년 || 신신제약 || 신신파스 아렉스 (의약품) || || || 2011년 || 광동제약 || 힘찬하루 헛개차 (음료) || || || 2011년 || 롯데제과 || 아이디 에버라스트 (껌) || || || 2013년 || LG 유플러스 || LG 유플러스 광대역 LTE || 딸 추사랑과 함께 출연 || || 2014년 || 한국 존슨앤드존슨 || 존슨즈베이비 수딩내추럴 시리즈 (로션) || 딸 추사랑 단독 출연 || || 2014년 || (주)꿈비 || 꿈비 실내용 인디언텐트, 꿈비 범퍼 매트 (어린이용 캠핑용품) || 딸 추사랑 단독 출연 || || 2014년~2017년 || (주)바디프랜드 || 바디프랜드 (생활가전) || || || 2014년~2015년 || 오뚜기 || 참깨라면 (식품) || 딸 추사랑, 아버지 추계이와 함께 출연 || || 2014년 || 서울우유협동조합 || 행복을 가득 담은 요거트 러뷰 (유제품) || 딸 추사랑과 함께 출연 || || 2014년 || (주)쿠팡 || 쿠팡 (소셜커머스) || 딸 추사랑과 함께 출연, 《슈퍼맨이 돌아왔다》 멤버의 아빠와 자녀까지 함께 출연 || || 2014 || 니콘이미징코리아 || 니콘 D5300 (카메라) || 딸 추사랑과 함께 출연 || || 2014년 || 웅진그룹 || 웅진플레이도시 (테마워터파크) || 딸 추사랑과 함께 출연 || || 2014년~2015년 || 대웅제약 || 이지덤 (의약품) || 딸 추사랑과 함께 출연 || || 2014년 || 제로투세븐 || 알로앤루 (아동복) || 딸 추사랑과 함께 출연 || || 2014년~2015년 || (주)계성산업(공식수입업체) || 브랜드조이 (카시트, 유모차) || 딸 추사랑과 함께 출연 || || 2014년 || 한국 델몬트 || 델몬트 (과일) || 딸 추사랑 단독 출연 || || 2014년~2015년 || (주)바디프랜드 || 라클라우드 (라텍스매트리스) || || || 2014년~2015년 || (주)바디프랜드 || 맘스밀 (가정용 현미도정기) || || || 2014년~2015년 || 웅진그룹 || 웅진씽크빅 '한글깨치기' (학습교재) || 딸 추사랑과 함께 출연 || || 2014년~2015년 || 현대리바트 || 리바트키즈 (키즈 가구) || 딸 추사랑 단독 출연 || || 2014년~2015년 || 쌤소나이트 || 아메리칸 투어리스터 || 딸 추사랑과 함께 출연 || || 2015년 || (주)바디프랜드 || W 웰니스정수기 || 딸 추사랑과 함께 출연 || || 2015년 || LS 네트웍스 || 잭울프스킨 || 딸 추사랑과 함께 출연 || || 2015년 || 뉴발란스 || 키즈 || 딸 추사랑과 단짝 유토와 함께 단독 출연 || || 2016년 || 한국마즈 || SNICKERS (초코바) || 아버지 추계이와 함께 출연 || || 2016년~2017년 || STL || 래쉬가드 || 부인 야노 시호, 딸 추사랑과 함께 출연 || || 2016년~2017년 || 그린조이 || 그린조이 (골프웨어) || 부인 야노 시호와 함께 출연 || || 2017년 || 넷마블게임즈 || 테라M (모바일 게임) || 남궁민, 민아와 함께 출연 || || 2017년 || 한독화장품 || 해피클린(건강기능식품) || 딸 추사랑과 함께 출연 || || 2017년 || 데스크플러스+ || 스탠딩 책상 || 하석진과 함께 출연(특별출연) || || 2022년 || 한국신스타임즈 || 쩐의 세계 || 이다혜와 함께 출연 || || 2023년 || GC녹십자 || 비맥스 메타 || || === 수상 === ||<-3> 수상 || || 내용 || 연도 || 참고 || || 제1회 스타일 아이콘 어워즈 스포츠인 본상 || 2008년 || || || 제4회 브랜드 아카데미 남자 광고모델상 || 2008년 || || || 대한민국광고대상 올해의 모델상 || 2008년 || || || SBS 연예대상 베스트 엔터테이너상 || 2012년 || || || KBS 연예대상 최고 엔터테이너상 || 2013년 || || || KBS 연예대상 인기상 || 2013년 || 딸 추사랑 수상 || || KBS 연예대상 남자 최우수상 || 2014년 || 쇼 오락부문 || || KBS 연예대상 인기상 || 2014년 || 딸 추사랑 수상 || || KBS 연예대상 핫이슈 예능인상 || 2015년 || || == 논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추성훈/논란)] == 어록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추성훈/어록)] == 여담 == * 전성기 시절에 완력이 좋은 편이었고, 각력과 체력에 비해 좋은 편이었다.[* 추성훈의 트레이닝 스타일은 짧은 시간 동안 완력을 많이 사용한 반면, 과거 [[태릉선수촌]]의 트레이닝 스타일은 긴 시간 동안 체력을 많이 사용한다. 그래서인지 어느 인터뷰에서는 일본 귀화의 이유가 파벌 문제보다는 훈련 스타일이 달라 적응하기 어려웠던 점이 크다고 언급한 적 있다. 유퀴즈 출연 때도 파벌 이슈는 말하지 않았고, 재일교포로서 겪었던 정체성의 혼란이나 일본의 훈련 스타일에 익숙해져 한국 스타일에 적응하기 어려웠던 점을 말했다.] 단, 현재 부상[* 양 이두근이 파열됐다. 수술하면 재활할 수 있지만, 재활하면 몇년간 경기를 할 수 없다고 한다.]으로 전성기 시절에 비해 완력이 좋지 않다. * 과거 유도선수였을 때, 완력은 [[벤치프레스]] 150kg을 수행할 수 있었고 각력은 [[스쿼트]] 220kg를 수행할 수 있었으며, [[데드리프트]] 220kg을 수행할 수 있었다. 또한, 유도선수였을 때, [[악력]]은 73kg~87kg였다. ||[[파일:gettyimages-1457606-612x612.jpg|width=100%]]|| || [[2002 부산 아시안 게임]] || * 20년 전 부산시청 유도팀 -81kg급에서 유도선수들 중 완력이 좋은 편이었고, 전설에 의하면, ‘상대선수를 당기면, 상대선수가 공중에 떴다’고 할만큼 유명했었다. 20년 후, 《[[천하제일장사]]》에서 용인대학교 출신 유도가 조준현이 ‘당기는 힘이 진짜 좋았다.’라고 할만큼 유명했었다.[* 참고로, [[추성훈/논란|조준현은 추성훈을 ‘아키야마’라고 부른다]]. 용인대학교에서 추성훈과 관련한 전설이 있었던 것 같다.] * 과거, 일본 유도 국가대표였던 추성훈이 상비군이었던 아오키 신야와 유도 대련을 한 적이 있고 단 1합에 승리했다. * 《[[마이 리틀 텔레비전]]》에서 용인대학교 유도학 학사였던 김동현과 유도 대련을 한 적이 있고 손쉽게 승리했다. 또한, 《[[집사부일체]]》에서 한번 더 유도 대련을 한 적이 있고 손쉽게 승리했다. * 《[[추블리네가 떴다]]》에서 몽골 씨름선수들, 씨름 챔피언과 유도 대련을 한 적이 있고 손쉽게 승리했다. * 과거, 스파링을 세게 하는 습관으로 평이 좋지 않았다는 소문이 있다. [* 또다른 '세게충'으로 알려진 [[양해준]]과 스파링을 했을 때 양해준에게 큰 부상을 입혔다고 한다.] * 예능에서 승부사 기질을 보여준 적이 많다. * 예능 팔씨름 대결에서 김종국[* “[[실압근|근육이 큰 것이 힘이 좋은 것이 아니다]]”라고 평했다.]과 [[상추]]를 이겼고 김동현을 이겼으며, [[서장훈]]을 이겼다. 단, [[강호동]]과 비겼다. * 예능 다리씨름 대결에서 김동현과 비겼고 안정환에게 졌으며, 모태범에게 졌다. * 예능 씨름 대결에서 김종국을 이겼고 [[양준혁]]에게 1승 2패로 졌으며, [[최준석]], [[박광재]]에게 졌다. * 예능 《정글의 법칙》에서 완력으로 여러 대나무[* 5m였고, 아마존에서 물을 많이 먹은 대나무였다.]를 운반했다. * 예능 《정글의 법칙》에서 완력으로 카누[* 5인승 카누였다. 현지인이 “저 사람 세다!”(Strong!)라고 감탄했다.]를 운반했다. * 예능 《정글의 법칙》에서 완력으로 [[멧돼지]]를 사냥했다. * 김병만의 말에 따르면, 작살 사냥을 잘 한다고 한다.[* ‘찍어서 잡는 것을 잘 한다’고 한다. 작살에 [[가오리]]를 사냥했고 작살 한번에 생선, 가재 두 마리를 사냥했다.] * 수영을 잘 한다.[* 어머니 류은화가 태릉선수촌 수영선수 출신으로, 어머니에 지도 아래 어렸을 때부터 수영을 배웠다고 한다. 70대가 가까운 나이임에도 1시간 거리의 수영장을 도보로 오가며 계속 하신다고 밝혔다.] 예능 《정글의 법칙》에서 출연진들이 물에 빠졌을 때마다 구하러 물에 들어갔다. 바누아투에서 제작진들이 바다에 빠졌을 때, 구하러 들어갔고 아마존에서 미르가 아마존강에 빠졌을 때 구하러 들어갔다. * 《마이 리틀 텔레비전》 MLT-23에서 악력으로 사과, 호두를 격파했다. 《편먹고 공치리 - 내부의 적》에서 또 다시 사과를 격파했다. * 《추블리네가 떴다》에서 부상[*햄스트링 햄스트링 파열]을 당했을 때 잘 견뎌냈다.[* 축구선수들 대부분이 햄스트링 파열을 당하면, 견뎌내지 못한다.] * 《뭉쳐야 찬다》에서 안정환의 슛을 여러번 잘 방어했다. 안정환이 한번은 세게 슛을 찼지만, 잘 방어했다. * 《순정파이터》에서도 최두호와 정찬성을 상대로 승부사 기질을 보여준다. ||[youtube(mLKWMB6zRVI)]|| || [[추성훈/운동선수 경력#s-4.3.7|UFC Fight Night In Seoul]] 계체량 || * 전성기 시절에 종합격투기 선수들 중 남자답게 잘생긴 편이었다.[* 셔독 판정 UFC에서 가장 남자답게 잘생긴 파이터를 거론할 때, 남자답게 잘생긴 파이터 1위~3위로 거론됐다.] 또한, 가장 몸이 좋고 패션 센스가 좋은 편이다.[* 옥타곤걸 [[아리아니 셀레스테]]가 ‘[[하악하악|섹시하다]]’고 평한 바 있고 [[정찬성]]이 “저런 몸을 가지고 있는 건 추성훈 선수 밖에 없다”고 평한 바 있다. 또한, FOX에서 섹시야마를 1970년대 섹시남의 상징 [[버트 레이놀즈]]에 빗대 평한 바 있다.] * 아내 야노 시호의 말에 따르면, 첫번째 매력은 몸이 좋은 것이라고 한다. 추성훈은 몸이 훌륭하다.[* 상반신의 어깨, 팔, 등근육이 좋은 편이고 장골·치골이 가장 좋은 편이며, 하반신 또한 좋은 편이다. 《한밤의 TV 연예》, 《아는 형님》에서 치골이 가장 좋은 편이라고 밝힌 바 있다.] 유도선수였을 때부터 몸이 좋은 편이었고 현재까지 몸이 좋은 편이다. 두번째 매력은 패션 센스가 좋은 것이라고 한다. 추성훈은 패션 센스가 훌륭하다.[* 패션에 관심이 많다. 남성스러운 슈트 뿐만이 아닌, 패션 모델이였던 아내 야노 시호의 여성스러운 가방, 지갑을 착용한다. 미국에서 훈련할 때, 미국 경찰이 여성스러운 가방과 지갑을 착용하고 있었던 추성훈을 도둑놈으로 보고 신분증을 요구한 적이 있다고 한다. [[http://news.donga.com/Sports/3/05/20091125/24347037/3&top=1|#]]] * 2023년 라디오스타에 출연한 추성훈은 "노출증을 앓고 있다"는 야노시호의 깜짝 제보에 대해 "몸에 달라붙는 티셔츠 같은 건 몸이 좋아서 입는 게 아니라 입으면 멋있다. 일부러 입는 것은 아니다"고 말하며 "내가 붙는 게 아니라 티셔츠가 붙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저는 일단 힙이 너무 예쁘다"고 밝히며 몸매에 대한 자부심을 드러냈다. [[https://www.news1.kr/articles/?5014131|#]] * 추성훈을 모티브로 한 여러 사례들이 있다. * 《[[주먹에 산다]]》의 '''카네다 타모츠'''는 유도 국가대표 선수이자, 종합격투기 선수로, 추성훈을 모티브로 한 여러 사례들을 비판, 풍자했다. * 《[[쌈, 마이웨이]]》의 부부는 추성훈, 야노 시호 부부를 모티브로 했다. [[https://www.google.co.kr/amp/m.yna.co.kr/amp/kr/contents/%3fcid=AKR20170712167800005|#]] * [[바키 시리즈]]에서 추성훈을 모티브로 한 엑스트라가 등장한다. [[피클(바키 시리즈)|메인 캐릭터]]에 대한 엑스트라였다. * 혼인 전, 일본의 유명한 모델이였던 야노 시호가 무명의 격투기 선수였던 추성훈을 보고 이상형으로 생각하고 있었고 추성훈 또한 야노 시호를 이상형으로 생각하고 있었다고 한다.[* 단, 2022년 《라디오스타》에서 밝힌 바에 따르면, 100% 이상형은 아니었다고 한다.] 둘은 지인을 통해서 교제하게 됐을 때, 야노 시호가 “내 스타일이다”라고 고백하자, 추성훈 또한 “예... 저도... 제 스타일입니다”라고 고백했다고 한다. 그리고 2년간 교제했을 때, 추성훈이 “당신의 아기를 갖고 싶다”고 고백했고, 혼인하게 됐다고 한다. * 혼인 후, 야노 시호가 원하는 것은 다 들어준다고 한다. 단, 원한다고 말하지 않으면, 들어주지 않는다고 한다. * 혼인 후, 사랑이를 갖게 됐을 때, 야노 시호의 몸상태가 좋지 않았다고 한다. 추성훈은 사랑이를 갖게 됐을 때, 아내가 둘째를 원했지만, 추성훈은 둘째를 원하지 않았다고 한다. * 혼인 후, 추성훈은 야노 시호에 대해 옷 정리를 안 하는 점에서 불만이 있고, 야노 시호는 여성스러운 옷을 착용하는 점에서 불만이 있다고 한다. * [[키요하라 카즈히로]]와 친분이 깊은 편이다. 키요하라가 종합격투기 선수로 활동하려했을 때 추성훈이 도와줬다고 한다. * 유도&종합격투기 선후배로, 김민수와 친분이 깊은 편이다. * 유도&종합격투기 선수 선후배로, 김동현과 친분이 깊은 편이다. 김동현이 일본에서 생활할 때 추성훈이 도와줬고 또한, 추성훈이 한국에서 생활할 때, 김동현이 많이 도와줬다고 한다. 일본에서 추성훈은 김동현이 일본 종합격투기 선수들과 어울려 훈련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을 때 어울려 훈련할 수 있도록 도와줬고 가져다 마실 물도 없었을 때[* 김동현은 물을 살 돈도 없었고 일본 종합격투기 선수들이 수돗물을 마시라고 해서 수돗물을 마셨지만 정작 일본 종합격투기 선수들은 물을 사서 마셨다고 한다.] 추성훈이 물을 가져다줘서 마셨다고 한다. 또한, 김동현은 [[추성훈/운동선수 경력#s-4.3.1|추성훈이 경기 후에 부상을 당했을 때]], 자주 병문안을 찾아왔다고 한다. * 한국에서 예능 활동할 때 예능 리키 김, 황광희와 친분이 생겼고 본부이엔티로 초대했다고 한다. * 아유미가 한국에서 활동하려 했을 때, 친분이 생겼고 추성훈이 본부이엔티로 초대했다고 한다. * 화보를 찍은 적이 많다. 심지어는 누드 화보를 찍은 적이 있다. * 파이트 머니는 동양의 종합격투기 선수들 중 많은 편이었다. * 씀씀이가 큰 편이다. 특히 시계에 있어서는 씀씀이가 큰 편으로, 롤렉스는 종류별로 전부 소지하고 있고 리처드밀을 소지하고 있다고 한다. 한 번은 김동현에게 시계를 주기도 할말큼 시계에 있어서 씀씀이가 크다. * 일본 국적이라서 현역 군 복무를 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현역으로 군복무하려는 체험이라도 하려는 노력을 보였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09&aid=0002218075|#]] 2010년 초 [[제15보병사단]]에서 1박 2일동안 GOP 경계체험을 하였다. 비록 체험판이긴 하지만 [[샘 해밍턴]]보다 먼저 비한국인 신분으로 한국 군대에서 현역 복무를 한 셈. [[파일:/image/009/2010/02/09/0090002218075_0.jpg]] * [[귀신]]을 본 적이 있다고 [[아는 형님]]에서 밝혔다. [[도쿄]]에서 길을 가던 중 [[횡단보도]] 반대편에서 우연히 한 사람[* 한여름에 긴팔을 입고 있어서 눈에 띄었다고 한다.]을 보고 귀신이 아닐까 잠깐 생각한 뒤, 아니겠지 하며 건너던 중, 그 사람이 그를 지나치며 '''"어떻게 알았어?"'''라고 했다고 한다. 그래서 본인도 귀신이란 단어조차 매우 불쾌하게 생각한다고 한다. [youtube(lL_3fZPH3Vg)] * [[라디오 스타(황금어장)|라디오스타]]에 출연하여 자신의 주사와 주량에 대해서 이야기한 적이 있는데, 실제로 인스타그램에서도 [[산토리]] [[위스키]] 등 술을 상당히 좋아하는 모습이 보인다. [youtube(k5fAxOt7z1g)] * 일본 오사카에서 추성훈이 [[라페라리]]에서 내리는 것을 목격했다는 사람이 있는데, 그것이 자신의 차인지 [[지인]]의 차인지는 확인된 바 없다. 참고로 [[라페라리]]를 구매하려면 보유한 [[페라리]]가 최소 5대는 있어야 하는데, 실제로는 20대 이상 보유한 구매 희망자들에게 판매되었다고 한다. [[SBS]]의 전 [[예능]] 프로그램 [[질주본능 더 레이서]]에 출연했을 당시 타고 있던 [[자동차|차]]로 볼 때, [[대한민국]]에서는 [[마세라티 콰트로포르테|콰트로포르테]]를 타고 다니는 것으로 보인다. [[http://m.bobaedream.co.kr/board/bbs_view/famous/54365/1/27|#]] * 2014년 [[아이스버킷 챌린지]]에 동참했다. 영상의 추성훈은 "안녕하십니까. 추성훈입니다. '아이스버킷 챌린지'에 동참하게 해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다음은 [[리키 김]] 그리고 [[황광희|광희]] 그리고 쌍둥이 아빠 [[이휘재]] 씨에게 부탁하겠습니다"라는 말을 남긴 채 얼음 물을 자신의 머리 위로 쏟아 부었다. [[https://m.youtube.com/watch?v=P_z7qaTKr6A|#]] * [[쌍꺼풀 수술]]하기 전의 [[성룡]]과 상당히 닮았다. [[:파일:추.png|(짤방)]] * [[슈퍼맨이 돌아왔다]] 방송에서는 부인에게 무뚝뚝한 남편으로 비춰졌는데 카메라가 꺼지면 자상한 [[애처가]]로 돌변한다고 한다. [[https://youtu.be/LRLz97BB4Z4|#]] * 기부활동 * ‘2008 연가’ 프로젝트 출연료 전액을 목포 공생원에 기부했다. [[http://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001&aid=0002028109|#]] * 2011년 다문화가정 후원 캠페인 ‘함께 사는 세상, 가족’전시회를 열고 전시 수익금 전액을 다문화가정 환자 수술비와 후원금에 쓰이도록 연세 세브란스병원에 기부했다. [[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112051558101001|#]] * 2014년 추성훈은 딸 [[추사랑]]과 함께 ㈜대웅제약의 습윤드레싱 이지덤의 모델로 활동하면서 자신과 딸 추사랑의 이름으로 광고 모델료 전액을 국내 다문화 가정의 아이들을 위해 기부했다. [[http://www.segye.com/content/html/2014/03/04/20140304003014.html?OutUrl=naver|#]] * 2014년 추성훈은 딸 [[추사랑]]의 [[카카오톡]] [[이모티콘]] 수익금 전액과 회사의 매칭펀드로 조성된 기부금을 (사)한국이주민건강협회 희망의 친구들(이하 희망의 친구들)에 전달했다. [[http://sports.khan.co.kr/news/sk_index.html?cat=view&art_id=201403051041063&sec_id=561101&pt=nv|#]] * 2014년 4월 25일 [[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 피해자를 위해 5,000만원을 기부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108&aid=0002298089|#]] * 2014년 제로투세븐의 유아동 의류 브랜드 알로앤루가 아키야마의 딸 [[추사랑]]을 모델로 발탁했는데 한정판으로 제작되는 ‘러브 티셔츠’의 판매수익금 일부를 대한적십자사에 기부했다. [[http://www.enews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23801|#]] * 2014년 홈플러스와 하이트진로음료가 추성훈 부녀 사회공헌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사랑샘물' 을 출시했는데 매출액의 1%가 기부돼 백혈병 소아암 어린이의 수술비 및 치료비 지원에 사용되었다. [[http://www.ajunews.com/view/20140911165626740|#]] * 2015년 추성훈의 딸 [[추사랑]] 달력이 출시되어 수익금 전액을 기부했다. [[http://news.topstarnews.net/detail.php?number=164162|#]] * 2017년 아내 [[야노 시호]]와 함께 포항 지진 피해 복구를 위해 5천만 원을 기부했다. [[http://m.ytn.co.kr/ent_view.php?s_mcd=0117&key=201711250933527636&pos=|#]] ||[[파일:추성훈 Vs. 한마바키.jpg|width=100%]]||[[파일:추성훈 Vs. 한마바키 2.jpg|width=100%]]|| ||[[파일:추성훈 Vs. 한마바키 3.jpg|width=100%]]||[[파일:추성훈 Vs. 한마바키 4.jpg|width=100%]]|| * 2022년경에 유명만화 [[바키 시리즈]]의 전시전에 가서 한마 바키의 1:1 피규어와 근육을 비교하며 인증샷을 올렸다. * 추성훈하면 유명한 것이 그의 등장곡 Time to say good bye 와 그가 경기 때마다 입는 일장기와 태극기가 동시에 착용된 유도복인데 이 둘 모두 추성훈의 파란만장한 인생가 어우러졌고 도복은 추성훈의 아이덴티티가 되었다. 추성훈의 아버지, 추성훈, 추성훈의 동생 추정화 모두 대인이라고 할 수 있는데 추성훈의 아버지 역시 한국 유도 국가대표가 되기 위해 한국으로 왔으나 역시 유도계의 파벌로 되지 못했고 아들인 추성훈과 딸인 추정화 역시 한국 유도 국가대표가 되기 위해 한국으로 왔으나 그보다 더 심한 파벌로 추성훈은 귀화를 했고 추정화는 아예 유도를 그만두었다. 하지만 이들 가족은 한국에 대해 애착을 많이 가지고 있다. * 한국 예능에 많이 출연함에도 불구하고 그의 한국어 실력은 크게 나아지지 않고 있다. 그래도 일본어는 한국어와 비슷하므로 미국 교포들보다는 훨씬 나은편. 어렸을때 부터 한국에서 자라지 않았기에 공부해도 한국 문화에 잘 모르는 부분이 있을 수 밖에 없다. 한국인도 일본어를 배워 기본회화를 해도 일본문화 배우려면 정말 오랜 세월이 걸린다.[* 사실 아예 한국어 기초 수준인 서양인이어도 방송은 대본이 있으므로 그럭저럭 촬영은 된다.] 되려 20대 시절보다 퇴보한 거 아니냐는 웃지 못할 이야기도. 사실 이건 비단 재일교포만의 문제는 아닌, 해외에 살고 있는 모든 한국인 2, 3세들의 문제라 딱히 뭐라고 할 수는 없다. * 추성훈 부녀가 나오는 예능 프로그램이 [[2017년 판문점 귀순 북한군 총격 사건]]의 귀순한 북한 병사의 애청 프로그램이라고 한다. [[http://mnews.joins.com/article/22144962#home|#]] * 추성훈처럼 [[성장기]] 시절에 '''2개 이상의 언어와 문화'''를 경험하며 자란 사람들을 '''[[TCK]]''' (Third Culture Kid, [[제3문화 아이]]) 라고 한다.[* 성장기(1세~18세) 시절 '''2개 이상의 언어와 문화'''를 경험하며 자란 사람들이다. [[부모]] 나라의 제 1문화에도 완전하게 속하지 못하고, 체류했던 [[해외]]의 제 2문화에도 완전하게 속하지는 못하지만, 양쪽 모두를 수용하며 받아들이는 또 다른 제 3의 문화 속에서 살아간다는 뜻이다. 이들을 '''T.C.K''' (Third Culture Kid, 제 3문화 아이)라고 한다. 주로 혼혈, 재외 동포, 조기 유학생, 해외 [[주재원]] 자녀, 한국에서 성장했지만 국제학교를 다닌 한국인학생 등이 모두 TCK에 속한다. '''성장기(1세~18세)'''는 자녀의 [[문화|문화적 가치관]]과 [[정체성]]이 확립되는 시기로, 향후 귀국 또는 귀향 이후에도 이때의 경험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성인]]의 경우 외국 문화 경험이 '문화 차이' 정도로만 인식되며, 해외 체류 경험 역시 '특별한 추억' 정도로만 기억되는 반면 [[성장기]]에 속하는 아동의 경우 [[인생]]의 결정적인 경험으로 남아 본인의 문화적 사고방식과 정체성을 구성하는 '''일부분'''이 된다. 2개 이상의 언어와 문화를 넘나들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인재들이며, 포용성‧열린 마음의 자세‧적응력이 매우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문제를 해결할 때 단순히 한 나라의 관점이나 시점이 아니라 서로 상반되는 두가지 이상의 문화의 관점에서 파악하고 이를 해결할 수도 있다. 비슷한 케이스로는 [[이연복]], [[권리세]], [[주현미]], [[필서진]] 등이 있다.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70506022001&wlog_tag3=daum|#1]] [[http://somewhereweknow.tistory.com/98?category=340617|#2]]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centofwinter&logNo=221159384745|#3]]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k6jinki&logNo=220498890256|#4]] [[http://somewhereweknow.tistory.com/72|#5]] [[http://somewhereweknow.tistory.com/84|#6]] [[http://somewhereweknow.tistory.com/101|#7]]] * 국제 스포츠 경기 때마다 사용되는 일명 '''추성훈 드립'''이라는 밈이 있다. 경기 결과에 따라 국적이 바뀌는 유머로. 예를 들어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16강|카타르 월드컵 16강]]에서 일본이 패배했을때 [[추사랑]]이 추성훈에게 "아빠, 우리나라가 졌어?" 라고 물어보면 추성훈이 "사랑아, 우리나라 경기는 4시에 하잖니" 라고 대답하는 형식이다.[[https://talk.op.gg/s/lol/free/5584972/%E2%80%9C%EC%95%84%EB%B9%A0-%EC%9A%B0%EB%A6%AC%EB%82%98%EB%9D%BC-%EC%A1%8C%EC%96%B4%EC%9A%94%3F%E2%80%9D|#]] [[한일전]]이라도 벌어지면 "사랑, 아빠는 절대 지지 않아요."라는 드립이 쓰인다. * [[정국(방탄소년단)]]과도 친분이 있다. 2022년에는 [[스파링]]을 함께 하기도 했고, 정국이 추성훈이 출연한 [[피지컬 100]]의 시청을 인증하기도 했다. 둘이 함께 저녁을 먹고 인증샷을 남기기도 했다. [[https://www.news1.kr/articles/?4973401|#]] * 최근 유튜브와 방송에서 인생 첫 부캐인 'PT야마다'를 내세워 활동중이다. 기분이 좋을 때 마다 '[[기모띠]]'를 내뱉는 것이 특징. 또한 PT야마다에 따르면 추성훈이 [[라디오 스타(황금어장)|라디오 스타]]에서 여러차례 선보였던 탄산음료 원샷 후 트림 참고 노래하기를 본인이 직접 제안했으며, 과거 추성훈이 [[무릎팍도사]]에서 커버한 [[박상민]]의 [[https://youtu.be/8osJTfjedgk|하나의 사랑]] 보컬 트레이닝 또한 본인이 직접 한 것이라고 언급했다. [[https://youtu.be/2OkDEdmZ-f4|나몰라패밀리 핫쇼]], [[https://youtu.be/Pz35u7moA7w|라디오스타]] * 캐슬 88이라는 88초 동안 싸우는 격투기 단체를 만든다고 SNS를 통해 공개했다. 일본의 브레이킹다운을 모티브로 한 것으로 보인다. == 둘러보기 == [include(틀:피지컬: 100 참가자)] [[분류:1975년 출생]][[분류:2004년 데뷔]][[분류:추계 추씨]][[분류:이쿠노구 출신 인물]][[분류:한국계 일본인]][[분류:일본으로 귀화한 인물]][[분류:개명한 인물]][[분류:일본의 유도 선수]][[분류:일본의 종합격투기 선수]][[분류:일본의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일본 남배우]][[분류:2002 부산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K-1 챔피언]][[분류:맥심의 역대 표지 모델/2010년]][[분류:피지컬: 100/참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