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분류:시호]] == 개요 == 과거, 나라에 큰 공을 세운 신하와 장군에게 내리는 시호인 충장(忠莊/忠壯)을 받은 사람들을 높여 이르는 말로 추존된 작위에 따라 충장공(忠莊公/忠壯公)이라고 한다. == 상세 == 문신에게는 忠莊, 장군에게는 忠壯을 내리며, 조선에는 이 시호를 받아 충장공으로 불리는 사람이 16명이다. == 목록 == * [[정분]] - [[계유정난]] 때 숙청 * 이보흠 - 단종복위운동 [[참가자]] * [[신립]] - [[니탕개의 난]], [[임진왜란]]에 종군. [[탄금대 전투]]에서 전사 * 윤경원 - [[임진왜란]] 때 전사 * 한백록 - [[임진왜란]] 시기 [[원균]] 휘하에 종군.[* 이순신 휘하라 되어 있었으나 임진왜란 당시 한백록은 지세포만호로 경상우수영 소속, 즉 원균 휘하였다. 이순신의 삼도 수군 통제사 임명 후라면 이순신 휘하라고도 할 수 있겠지만 그 전에 죽었으므로 지휘 계통상 원균 휘하가 맞다. 물론 그 원균 밑에 있었다고 다 겁쟁이는 아니다.] 미조항 해전에서 전사. * [[정운]] - [[임진왜란]] 시기 [[이순신]] 휘하에 종군. 임진년 모든 해상작전에 참전하였고, [[부산포 해전]]에서 전사 * [[김덕령]] - [[임진왜란]] 시기의 대표적 의병장. 누명으로 옥사[* [[광주광역시]] 구도심의 번화가 [[충장로(광주)|충장로]]는 여기서 따온 것이다.] * [[정발#s-3]] - [[임진왜란]]에 종군. 임진왜란의 첫 전투에서 사망 * 용영손[* 홍천 용씨 14대손. 통훈대부 경흥부사 병조판서 호종공신 충장공] - [[임진왜란]]에 [[선조(조선)|선조]]와 함께 피난 * [[이복남]] - [[임진왜란]]에 종군. 남원성 전투에서 전사 * [[권율]] - [[임진왜란]]에 종군. [[이치 전투]], [[행주 대첩]] 이후 도원수로 활약[* [[행주산성]]이 있는 [[경기도]] [[고양시]]에 있는 충장로는 여기서 따온 것이다.] * 남이흥[* 조선 개국공신 [[남재]]의 8대손이다.] - [[이괄의 난]]에 종군. [[정묘호란]] 시기 [[안주시|안주]]성 전투에서 전사 * 이의배 - [[정묘호란]], [[병자호란]]에 종군. [[쌍령 전투]]에서 전사 * 지여해 - [[정묘호란]], [[병자호란]]에 종군. [[남한산성]]에서 출성해 싸우다 전사 * 유림 - [[병자호란]]에 종군. 김화에서 청군을 격파 * [[천만리]] - 명군 출신으로 [[임진왜란]]에 종군. 전후 조선에 귀화 * [[양헌수]] - [[병인양요]] 때 정족산성에서 프랑스 군 격퇴 * [[어재연]] - [[신미양요]] 때 미군을 상대로 분전하다 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