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일본 신 외의 동음이의어, rd1=츠쿠요미(동음이의어))] [include(틀:삼귀자)] ||<-2><#4E5180> '''{{{#fff 삼귀자}}}[br]{{{#fff {{{+1 츠쿠요미노 미코토}}}[br]月読命}}}'''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db.pref.mie.lg.jp/20110722_191_22_file.jpg|width=100%]]}}} || ||||<#4E5180> {{{#fff {{{+1 '''달과 농경의 신''' }}} }}} || || '''신족''' ||[[아마츠카미]] || || '''이름''' ||'''츠쿠요미'''노 미코토[br]('''月読'''命) || || '''별칭''' ||츠쿠요미노 미코토[br](月弓尊, 月夜見尊, 月讀尊)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부모''' ||부친 [[이자나기]](伊邪那岐命)[br]모친 [[이자나미]](伊邪那美命)? || || '''형제''' ||[[아마테라스]][br]남동생 [[스사노오]] || || '''배우자''' ||없음 || || '''신사''' ||츠쿠요미 신사(月読神社) 등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 신화]]에 등장하는 [[달]]의 [[신]]. [[외래어 표기법/일본어|국립국어원 표준 표기법]]으로는 [[쓰쿠요미]]가 되며, [[한자]]로 月読尊(츠쿠요미노미코토)로 표기되기도 한다. [[이자나기]]가 오른쪽 [[안구]]를 씻을 때 태어났다. 이자나기의 명을 받아 달의 신으로서 [[밤(시간)|밤]]의 세상을 다스린다. == 상세 == [[아마테라스]], [[스사노오]]와 함께 [[일본 신화]]에서 가장 중요한 신인 삼귀자(三貴子 미하시라노우즈노미코) 중 하나. "달을 읽는다"에서 "달"은 세월을 의미하는 은유로, 츠쿠요미는 "시간"이라는 개념과 관련된 신이라고 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츠쿠요미는 "날짜"를 세는 시간의 측정자 및 달력이나 시간을 지배하는 신으로도 해석이 되지만 츠쿠요미 본인에게는 시간을 조종한다라는 이야기는 없다. 츠쿠요미가 저승과 관련있는 것을 생각해 보면 츠쿠요미는 달을 보고 있다가 인간의 수명이 다 되면 죽음을 내리는 신이기 때문이라는 추측도 있다. 츠쿠요미에는 "달을 읽는다"는 의미가 있다. 여기에서 "읽는다"는 것은 동양에서 음력을 사용했다는 것을 알아야 이해가 가능한 부분이다. "달"은 우리가 흔히 아는 [[지구]]에 있는 위성인 달을 의미하지만, 일본에서는 변화하는 "세월"을 의미하는 은유이기도 하다. 츠쿠요미는 존재 자체가 달과 밤의 신이기도 하지만 [[시간]]이라고 하는 개념과 관련된 신이라는 것을 알 수가 있다. 혹은 달력이나 시간과 관련된 신이라고 볼 수가 있는 셈이다. 하지만 츠쿠요미는 시간을 조종한다는 이야기는 없다. 이에 대해서 두 가지 설이 있다고 하는데, 첫 번째는 "음양의 법칙"에 따라 태양의 신인 [[아마테라스]]가 양적인 에너지를 가지고 능동적으로 행동하는 포지션이면 츠쿠요미는 달과 밤의 신이기 때문에, 그 반대인 음적인 존재로서 조용히 있는 존재라는 것. 일본 신화용어로 "중공(中空)"이라고 한다. 두 번째로는, 다른 세계를 담당하는 신이라서 기록되지 않았다는 것인데, 고사기에서 아마테라스,스사노오,츠쿠요미가 함께 [[이자나기]]로부터 태어날 무렵, [[이자나기]]가 츠쿠요미에게 "밤의 식국을 다스리라"고 명령했다고 하는데, 이 밤의 식국은 신화 해석가들은 "저승"이라고 생각하고 있다고 하는데, 이 저승은 "요미노쿠니"라고 하는데, 여기에서 "요미"라는 말은 "밤을 보다"라는 뜻의 한자로 적혀있지만, 이는 황천을 의미한다고 한다. 이 때문에, "달을 읽다"라는 의미의 "츠쿠요미"와 이름만으로는 큰 관련성을 느낄 수가 있다. [[농경]]의 신이나 해운의 신으로서 모셔진 적도 있었지만 존재감이 없어서인지 심지어 기록에 성별도 안 나온다. 각종 대중매체에서는 [[달]]의 신이라는 이유로 소녀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고,[* 달은 기본적으로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여성적인 의미가 많이 부여되었다. 그래서 달과 관련된 신들 중엔 여신의 비중이 눈에 띄게 높은 편. 물론 반대로 태양이 여성적이고 달이 남성적으로 여겨진 문화권도 있다.] [[태양신]]인 [[아마테라스]]가 예전엔 [[남신]]으로도 많이 묘사되었다. 그러면서 위에 써진 것처럼 달의 신이자 [[밤]]을 지배하는 신(일반적으로)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지배 영역은 하늘와 바다 등[*일서 제6에서 '푸른 바다의 조수의 8백중을 다스리라'는 명을 받은 설화가 있다. 아마도 [[달]]이 밀물과 썰물, 조수 간만의 차를 지배하고 있다라는 발상에서 온 것으로 추정된다.]을 지배하는 등 일정치가 않으며[* 츠쿠요미가 관장하는 분야와 신격이 이토록 다양하다라는 것은, 다르게 보면 그만큼 츠쿠요미라고 하는 신격 자체가 복수의 관념이 통합된, 무척이나 불안정하면서도 다양함을 뜻한다.] 심지어 탄생설화 또한 일정치가 않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처럼 [[츠쿠요미]]는 [[이자나기]]가 얼굴을 씻을 때 오른쪽 눈에서 태어났다고 하지만 일본서기에서는 고사기와 같으나 태어난 부위가 왼쪽 눈으로 변형되었다.] 비교신화학에서는 혹시 여려 지역의 신화에 같은 모티브가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추측이 있다고 한다. [[일본 신화]]의 최고신이자 낮의 태양의 신인 [[아마테라스]]와, 유명한 [[스사노오]]를 [[형제]]로 둔 중요한 [[신]], 즉 아마테라스와 스사노오와 더불어 삼귀자라 불릴 정도로 일본 신화 내에서 등장한 최상위 신이다. 그럼에도 나머지 둘에 비해 이상하게 존재감이 없는 신이자 특이할 정도로 아무것도 하지 않아 기록이 극히 적은 신이다. 일본이 태양신 아마테라스를 최고신으로 삼고 고대로부터 국호[* 日本], 국기[* 지금의 [[일장기]]는 물론 중세부터 [[니시키노미하타]]라는 어기(御旗)에도 태양이 그려져있다. 그 외에도 고대부터 태양을 그린 깃발을 조정과 관군의 상징으로써 써왔다.]에도 [[태양]]을 넣을 정도로 태양 쪽에 큰 의미를 부여한 만큼, 반대되는 포지션인 츠쿠요미는 아마테라스에 비해 비중이 매우 적다.[* 우연이지만, 1~5세기경 초기 일본은 한반도의 [[신라]]와 유독 사이가 안 좋은 모습을 보이고 [[백제]], [[가야]]와 힘을 합쳐 신라와 다투는 모습을 보이는데, 그 신라에선 왕궁 이름도 [[달]]에 비유해 [[경주 월성|월성]]으로 짓고 신라 자국을 [[초승달]]에 비유하거나 [[군기]]에도 달을 새겨넣는 등 여러모로 달을 중시하는 모습이 드러나 대비가 된다.] 관련 [[신화]]가 태어나는 장면 외엔 [[음식]]의 신과의 에피소드 하나밖에 없다. 이것도 [[고사기]]에서는 [[스사노오]]의 일화로 나와서 사실 흉폭한 성격의 스사노오의 에피소드였던 것을 이름만 바꾼 게 아니냐는 추측도 있다. 그러면서 츠쿠요미는 신들이 떠난 세사에서 인간의 천황이 지배하게 되었던 시대에도 모습을 드러냈다고 하는데 그 중 하나가 일본서기 10권 5의 겐조키 3년 봄 2월경, 정사 초하루 가사에는 '다카미무스비노카미'를 자신의 선조라 칭하는 달의 신이 사람에게 빙의되어 '우리 달의 신에게 진지를 바쳐라. 만일 청한 대로 나를 받들면 경사가 있으리라.'고 전한 것이라고 한다. 흔히 알려진 것처럼 [[달]] 뿐만이 아닌 이치와 [[자연]]의 [[순환]]도 관장하고 [[질서]]와 [[예절]]을 중시했다. === 농경의 신 === ||일본서기의 이야기다 [[아마테라스]]의 명으로 음식의 신 우케모치노카미(保食神)를 만나러 간 적이 있다. 우케모치는 츠쿠요미를 대접하기 위해 음식을 준비했는데, 몸의 온갖 [[구멍]]에서 음식을 꺼내는 식이었고, 츠쿠요미는 음식을 입에서 토해내는 그런 모습에 역겨움을 느껴 우케모치를 죽여버린다. 죽은 우케모치노카미의 머리에서는 [[말(동물)|말]]과 [[소]], 이마에서 [[조(식물)|조]], 눈썹에서 [[누에]], 입에서 [[피(식물)|피]], 배에서 [[벼]], 음부에서는 [[보리]], 엉덩이에서는 [[콩]]과 [[팥]]이 생겨났다고 한다.[* 살해당한 누군가의 시체에서 곡식이 나온다는 내용의 신화는 세계 곳곳에서 관찰된다. 입에서 나온 음식이기에 먹을 수 있다는(다시 입으로 들어가는) 해석도 있다. 이러한 신화들을 통틀어서 '[[하이누웰레]]형 신화'라고 한다.][* 달의 위상이 역법에서 중요했다보니 고대 신화에서는 [[달의 신]]과 농경이 엮여서 나오는 경우가 많다.] 음식의 신과 만나도록 주선한 것이 아마테라스였는데 츠쿠요미가 음식의 신을 멋대로 죽여버렸으니 당연히 아마테라스도 화가 나 츠쿠요미는 의절을 당했고, 그래서 지금도 [[태양과 달]]은 만나지 않는다고 한다. 이후 아마테라스는 아마노쿠마히토[* 天熊人(천웅인) 쿠마는 신을 제사지내는 쌀, 나아가 그것을 봉공하는 사람을 의미한다.]를 보내 우케모치를 간호하게 하지만 이미 죽어 있었다. 그래서 아마노쿠마히토는 우케모치가 죽으면서 나온 부산물을 가지고 돌아왔다. 그러자 아마테라스는 이를 보고는 기뻐했다.|| == 기타 == * [[신토]]에서는 일반적으로는 위에서 언급한 [[태양신]]인 [[아마테라스]]가 [[여신]]이니까 [[달]]의 [[신]]인 츠쿠요미는 [[남신]]일 것이라는 추측에 따라서 옛부터 남신으로 취급하는 경우가 많지만, [[여신]]이 아닌가 하는 설도 역시 있다고 한다. 아마테라스만 해도 일반적으로는 여신으로 취급하지만 전승에 따라서는 남신으로 취급하는 경우도 있으니 그와 비슷한 듯. 신토에서의 취급을 따라서 남신으로 묘사되는 경우에는 중성적인 이미지의 청년으로 그려지는 일도 적지 않은 모양. == 대중매체에서의 츠쿠요미 == * [[가면라이더 스피리츠]]에 등장하는 [[츠쿠요미]] * [[가면라이더 지오]]의 등장하는 [[츠쿠요미(가면라이더 지오)|츠쿠요미]]와 변신체 [[가면라이더 츠쿠요미]] * [[갓이터 버스트]]의 등장 아라가미 [[아르다 노바#s-1.2|츠쿠요미]] * [[나루토]]에 등장하는 환술 계통 능력의 일종. [[츠쿠요미(나루토)|츠쿠요미]], [[무한 츠쿠요미]].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의 등장하는 [[토코야미 후미카게]]의 임시 히어로 네임 [[츠쿠요미]] * [[달이 이끄는 이세계 여행]]에 등장하는 [[츠쿠요미]] * [[던전에서 만남을 추구하면 안 되는 걸까]] - 극동의 신사에서 고아들을 보살피는 신 중 하나라고 언급된다. * [[동방 프로젝트]] 설정에 따르면 [[월인(동방 프로젝트)|월인]]들의 리더이자 수장. 직접 등장하진 않지만 지상인들의 양자 개념의 발견에 경악했다고 언급된다. * [[마법선생 네기마!]] 및 [[UQ HOLDER!]]의 등장인물. [[이와이 츠쿠요미]]. * [[무적용사 사자왕]]에 등장하는 [[최종 보스]]. 한국판 명칭은 검은 마왕. * [[아야카시 럼블!]]의 미소녀 식신 츠쿠요미 * [[어쨌든 귀여워]]의 [[유자키 츠카사]]의 혼 전 성이 츠쿠요미다. * [[에테르 게이저]]의 모디파이어 [[츠쿠요미(에테르 게이저)|츠쿠요미]] * [[요괴워치]] 5번째 극장판 [[포에버 프렌즈]]의 등장한 수호령 월신 츠쿠요미.[* 국내명: 달의 여신 해당금이] * [[용자왕 가오가이가 파이널]]에 나오는 초익사출사령함 츠쿠요미. 전작의 [[이자나기]]의 위치를 계승한다. * [[월영 MOON PHASE]]의 여주인공 하즈키의 인격 중 하나인 츠쿠요미 모드. * [[우리 집의 여우신령님]]의 신 [[츠쿠요미(우리 집의 여우신령님)]] * [[유희왕]]에서 사용되는 카드. [[쓰쿠요미(유희왕)]]. * [[이즈모 시리즈]]의 등장인물 [[츠쿠요미(IZUMO)|츠쿠요미]]. * [[진 여신전생 5]]의 [[코시미즈 하야오|츠쿠요미]]. * [[블레이블루 시리즈|블레이블루]]의 등장인물 [[레이첼 알카드]]가 소유하고 있는 [[삼휘신]] 츠쿠요미 유니트. 절대방어를 자랑한다. * [[카드파이트!! 뱅가드]]에서 사용되는 카드. [[초승달의 여신 츠쿠요미]], [[반달의 여신 츠쿠요미]], [[보름달의 여신 츠쿠요미]] * [[코즈믹 브레이크]]의 등장 로봇 [[츠쿠요미 미코토]]. * [[크로노 크로스]]의 등장인물 츠쿠요미. 달의 용 * [[천상천하(만화)|천상천하]]에서 나기 이치요 켄고의 계획에 따라 타카야나기 가문이 키워내기로 한, 이능력 없이 순수하게 무예만을 연마한 진정한 무인. * [[츠바사 크로니클]]에서 나오는 [[토모요(츠바사 크로니클)| 토모요]]의 관명 * [[파이널 판타지 14]]에 나오는 [[야만신]] [[츠쿠요미(파이널 판타지 14)|츠쿠요미]] * [[파이어 엠블렘 if]]에 등장하는 백야왕국의 주술사 츠쿠요미. 정발판 명칭은 [[하야토(파이어 엠블렘 시리즈)|하야토]]이다. * [[퍼즐앤드래곤]]에서 일본신 중 하나로 등장. 성별 구분이 모호한 점 때문에 요미→츠쿠요미까진 정해지지 않았으나, 궁극진화를 통해 성별을 가르는 특이한 컨셉을 지니고 있다. 야각무신으로 간 경우엔 남자, 야상영신으로 진화한 경우엔 여자라고. * 게임 [[산 제물의 밤]]의 최종보스. * [[츠키요미]] : [[여신전생 시리즈]]에 등장하는 악마. * [[신들의 장난]] 토츠카 츠키토 : 일본신화의 신 중 한명으로 츠쿠요미를 모피브로 한 등장인물. 토츠카 타케루와 형제로 나온다.(형) * [[음양사(게임)]], [[결전! 헤이안쿄]]의 [[스사비]] * [[vim]]의 [[TypeScript]] 자동완성 플러그인 [[https://github.com/Quramy/tsuquyomi|#]] * [[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건에 대하여]]에 등장하는 [[소우에이]]의 능력 * [[전생검신]]에 등장하는 신격. 자세한 건 [[츠쿠요미(전생검신)|츠쿠요미]] 문서 참조. [[분류:일본 신화]][[분류:달의 신]][[분류:밤의 신]][[분류:농경의 신]][[분류:바다의 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