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중국의 민족]][[분류:중국티베트계 민족]]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중국의 도시 潮州市, rd1=차오저우시, other2=당나라 때의 조주 (曹州), rd2=허쩌시)] [include(틀:중국티베트계 민족)] [include(틀:중국의 민족)] [목차] {{{+1 潮州}}} (Ciu4zau1(광동어), Cháozhōu(표준중국어), Diê5ziu1(차오저우어)) 현대 중국어 명칭: 潮汕人 == 개요 == [[한족]]의 일파로, [[중국]] [[광둥성]] 차오저우(潮州)[* 한국식 독음으로는 조주이다.] 지방 문화권의 사람 또는 그들의 언어를 뜻한다. == 상세 == 주로 [[광둥성]] 동부의 [[산터우시]], 산웨이/루펑 시, [[차오저우시]], [[제양시]]에서 거주하고 있으며 [[푸젠성]] 일대에서도 상당수가 거주하고 있다. [youtube(ufWHWLG2bxw)] [[화교]]들 중 조주계로 보이는 사람들이 만든 동영상. 자세히 보면 미국 [[화교]]인 [[중국계 미국인]]들 뿐 아니라 [[베트남계 미국인]] 중 원래 조상이 차오저우 화인 출신들이었던 사람들도 모였다. 참고로 [[베트남 전쟁]] 직후 미국으로 탈출한 [[베트남계 미국인]] 중에 화교들도 많았다. [[광동어]]로 치우차우(潮州)라고 하는 경우가 보통이고, 테오추[* 이곳 방언이다. 민남어 계열.][* 어딘가 약간 [[제주]]처럼 들린다고도 하는데 한자로는 별 연관이 없고 우연의 일치에 불과하다.]라고도 한다. 원래 '''차오저우'''가 [[표준중국어|만다린]] 발음의 공식 명칭이지만, 본인들은 만다린식 문화와 발음을 싫어하기 때문에 차오저우라고하는 경우는 별로 없다. [[푸젠성]] 내지 [[광둥성]] 동부에 분포하고 있지만, 다른 [[중국인]]과는 문화적으로 다른 점이 적지 않다. 일단 인삿말부터가 '니하오'가 아니라 '러호' 라고 하여 완전히 다르다. '가기낭'은 한자로 '가기인(家己人)'으로 표기되며 표준중국어의 '즈지런(自己人)[* 자기인]'과 동일한 의미이다. 차오저우인들이 우리는 한 식구라는 것을 강조할 때 습관적으로 사용한다. 그리고 성명 표기 등도 이질적이다. 이는 차오저우인들이 사실상 고립된 곳에 생활해 왔기 때문이다. 원래 [[민남어]]와 같은 푸젠 계통 언어를 쓴 사람들이지만 다른 푸젠 언어들과 차오저우어는 완전히 다르다. [* 성씨의 경우 [[홍콩]]에도 원래 차오저우인이 꽤 있는데 이들 성씨는 특이해서 금방 구분한다.] [[동남아시아]] 곳곳으로 이주한 사람들이다. 특히 [[태국]], [[홍콩]],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브루나이]] 등에 많이 건너갔다. 우선 [[태국]]의 주요 [[화교]]는 치우차우(차오저우)인이다. 중국계 태국인인 [[탁신 친나왓|탁신]]과 [[잉락 친나왓]] 남매가 [[쿠데타]]로 허무하게 실각한 이유 중 하나도 이들이 차오저우인이 아니었기 때문이었다. 애초 아유타야 왕조와 그 뒤를 이은 현 [[짜끄리 왕조]] 둘 다 차오저우인 출신의 중국계 태국인들이 만든 왕조다. [[중국계 싱가포르인]]들 중에서도 [[광동인]], 푸젠인, [[객가]], 하이난인 등과 함께 5대 화인 그룹이 차오저우인이다. 쪽수로는 가장 많은 푸젠인에 밀리지만 차오저우인도 만만치 않다. 그리고 [[홍콩]]에서도 차오저우계가 광동계, 객가, 푸젠인과 함께 4대 중국인 그룹이다. 홍콩은 원래 해적들이나 어부나 드나드는 자그만한 어촌이었는데 영국에 의해 식민지가 되면서 면적이 졸지에 [[구룡반도]], [[신계(홍콩)|신계]] 등 육지 부분까지 늘어났고 사람은 터무니없게 적은지라 남중국 각지에서 홍콩으로 이주민을 불러들이게 되는데 그때 바로 코앞이고 어업 등으로 [[홍콩 섬]]을 들락거리던 광동인과 함께 가장 많은 그룹이 바로 이 차오저우인들이었다. 홍콩 내에서 차오저우 음식은 아주 유명하며 차오저우인들이 그들의 언어인 차오저우어로 예배를 드리는 [[개신교]] 교회들도 흔하다. 이미 이들은 위 항목에서 보았듯이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반까지 [[동남아시아]] 각국으로 대규모로 이주했다. [[중국 대륙]] 내에서는 차오저우라는 말보다는 차오산런(潮汕人)이라는 말을 많이 사용한다. 객가인과 마찬가지로, 생각 외로 자신의 지역에 대한 애착심이 강하고, 타 화교와 마찬가지로 이재, 즉 재테크에 밝은 편이다. 실제로 차오저우인이 사는 차오저우 시, 산웨이 시, 산터우 시 등은 일찍이 중국이 개방을 택한 [[1980년]] 이후부터 눈부신 발전을 보이기 시작했던 곳들이며, 중국의 죽의 장막이 걷히자마자 홍콩과의 무역으로 떼돈을 벌어왔다. 위치상 동부 해안가에 주로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각종 해산물이 주 식거리이고, 특히 산터우 쪽은 뉴로우완이라고 해서 [[쇠고기]] [[완자]]가 특산물이다. 뉴로우완의 경우 홍콩에서 흔한 서민 먹거리 중 하나이기도 한데 그만큼 홍콩에 차오저우인이 많이 산다는 얘기가 된다. == 지리 == 본래 거주지는 차오저우, 산터우, 지에양 등의 도시다. == 특성 == * 중국에서 드물게 해조류 섭취 및 해산물 생식문화, 즉 [[생선회]] 문화를 가지고 있다. 치우차우 사람들만의 특징은 아니고 [[광둥성]], [[푸젠성]], [[하이난성]] 등 해안가 일대에서는 해조류 섭취, 생식 문화가 일부 남아 있다.[* 이는 [[중국 요리]] 문서 참고.] 다만 그 중에서도 치우차우 요리가 가장 널리 알려졌다고 볼 수 있는데, 해산물 생식 문화 중에서는 간장게장도 있다. [* 만드는 방법이나 맛도 한국과 거의 유사하다. 치우차우의 간장게장이 상대적으로 간이 더 약한 편으로 알려져 있다.] 치우차우 요리는 또 다른 한편으로 [[태국 요리]]에 영향을 주기도 했기에 [* 윗 항목에서 볼 수 있듯이 태국 화교들이 치우차우 출신이 많기 때문이다.] 태국요리와 유사한 요리들이 많다. 정확히 말하자면 이 쪽이 원류. * [[한국어]]와 유사한 단어가 많다. 자오상런도 지역별로 언어가 조금씩은 다르기 때문에 그 지역내에선 사투리 수준이겠지만, 외국인이 들었을때는 전혀 알아들을 수가 없다는 것이 함정. 이는 중국 남부 방언의 한자 독음이 비교적 한국어와 유사하기 때문이다.[* 일본어와도 매우 유사하기도 하다] 애초 한국에 들어온 한자음이 [[당나라]]와 [[송나라]] 때 발음인데, [[내몽골]]에서 들이닥친 몽골족에 의해 [[원나라]]가 들어서자 수많은 구 남송 출신 한족들이 남하해버려 남중국 일대에 고스란히 고대 중국어의 발음 및 문법이 보존되었다. == 탁월한 상거래 능력 == 동아시아 최고 갑부로 손꼽히는 '''[[리자청|리카싱]]'''이 치우차우인이다. [[http://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06/10/27/2006102760465.html|리카싱 청쿵그룹 회장]] 대화 중에 뭔가 좋은 아이디어라도 나오면 바로, 내가 도와줄테니까 잘되면 50% : 50%하자고 말하는 사람들이다. 치우차우인에게 사업은 기본적으로 동업이며, 그 동업은 그 무엇보다 끈끈하게 이어나가는 사람들이다. 자오상인의 특징 중 하나가 상업 능력일텐데, 상업에 종사하는 인구가 많은편이다. 모든 자오상인들이 이재에 밝은 것은 아니지만, 대체로 일찍 생업에 종사하는 탓에 자연스럽게 발달한 능력인듯 싶다. 특히 광저우 현지에서도 자오상인이라고 하면, 광동지역 내 시장에서는 상당히 많이 찾아 볼 수 있다. == 5대 화교 == 치우차우도 5대 [[화교]]에 속한다. 5대 화교는 호키엔(푸젠), 광둥(광동), 치우차우(차오저우, 자오상런), 하이난, [[객가]]를 의미한다. == 여담 == * 초희귀성씨 소유자로 화제가 되었던 배우 [[탕준상]]이 이 치우차우를 본적으로 두고 있는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혼혈이기도 하다. 사실 이 사람의 성씨가 희귀성씨가 된 이유도 치우차우의 지역적 특성과 연관이 있는데 이 사람의 성씨인 ‘陳’을 치우차우어식 발음으로 읽으면 탕(Tang)이 되어버리기 때문에 호적에 이름이 올라갈 때 ‘진준상’이 아니라 ‘탕준상’으로 올라가버린 것. 그리고 [[한국]]의 국적법상 중국계 화교를 아버지로 두고 있을 경우 아버지의 성씨를 따를 때 [[한국 한자음]]이 아닌 아버지의 본국식 한자발음[* 만약 아버지가 [[중국]] 본토나 [[대만]]출신이면 [[표준중국어]]식 발음으로 성을 등록할 수 있고, [[홍콩]]출신이면 [[광둥어]]식 발음, [[싱가포르]]나 [[말레이시아]]출신이면 친가쪽 조상의 본적지의 방언 발음에 기초해서 등록하게 되어있다.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의 경우 대개 화교들이 본적지를 중국 [[푸젠성]]이나 치우차우에 두고 있어 이쪽 지방 발음에 기초해서 이름을 알파벳으로 표기하는 경우가 많은데(간혹가다 [[광둥어]]도 있다), 탕준상도 이 케이스에 해당하는 거라고 보면 된다.]에만 기초해서 이름을 등록할 수 있도록 되어있기 때문에 이런 해프닝이 생겨버린 것이다. == 기업 == 아래는 치우차우계들이 세운 기업이다. * [[방콕은행]] * [[CP그룹|CP]] * [[프레이저앤니브]]